•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 rooting depth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Study on the Standards of Proper Effective Rooting Depth for Upland Crops

  • Zhang, Yongseon;Han, Kyunghwa;Jung, Kangho;Cho, Heerae;Seo, Mijin;Sonn, Yeonky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1-30
    • /
    • 2017
  • The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effective soil depth with crop type. Lysimeters, filled with three types of soils (sandy loam, loam and clay loam), were used. Effective soil depths for 25 cm, 50 cm, 75 cm, and 100 cm were considered for each soil. Six crops were investigated for plant height and yield, and rooting depths: Chinese cabbage, maize, lettuce, potato, red pepper, and soybean.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in Suwon from 2012 to 2014. Effective rooting depth including 70% of root ranged from 19 cm to 29 cm for Chinese cabbage, from 24 cm to 38 cm for maize, from 17 cm to 24 cm for lettuce, from 27 cm to 32 cm for soybean, and around 50 cm and 30 cm for potato and red pepper. The maximum depth was 60 cm for soybean, 50 cm for Chinese cabbage, lettuce, and potato, and 75 cm for maize and red pepper. Each crop showed high yield in the treatment with soil depth over maximum rooting depth under all soils.

원추형 탐침봉을 이용한 밭작물 유효근권심 현장 진단 (In-situ estimation of effective rooting depth for upland crops using hand penetration of cone probe)

  • 한경화;장용선;정강호;조희래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3호
    • /
    • pp.183-189
    • /
    • 2015
  • Plant root penetration through soil profile is restricted by compacted layer such as plow pan under conventional tillage. For detecting the compact layer, we made a graduated T-shape probe and measured compared between the depths with rapid change in feeling hardness of hand penetration using T-shape probe and with a rapid increase of penetrometer cone index. On upland crops, including red pepper, corn, soybean and cucumber, plow pan depth ranged from 10 cm to 25 cm depth. The effective rooting depth (ER)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low pan depth (PP) except soils with the shallow ground water and/or poorly drained soil. The regression equation was ER = 0.9*PP ($R^2=0.54^{**}$, N = 14) with the applicative PP range of 10-25 cm.

Effect of Deep Ploughing with a Spading Machine and an Excavator on Improvement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Highland Applied Saprolite

  • Zhang, Yongseon;Moon, Yong-Hee;Sonn, Yeon-Kyu;Jung, Kangho;Cho, Hye-Rae;Han, Kyeong-Hwa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64-569
    • /
    • 2015
  • In highland crop fields, saprolite is piled up approximately every three years as deep much as 20 to 30 cm because farmers expect that adding new materials may improve productivity and mitigate hazards by continuous cultivation of a single crop. Piling saprolite, however, has been reported to induce poor soil drainage. Effects of deep ploughing with a spading machine and an excavator were studied in sites located in Daekwanryeong-myeon, Pyeongchang in which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deteriorated by piled saprolite. The soil made of parent material of Samgag series was piled up over surface soil of Haggog series naturally developed in the area. Carrot was cultivated in the field. Productivity and growth factors of carrot were compared among control and deep ploughing by a spading machine and an excavator. Effective soil depth extended to 60 cm or greater by 60 cm deep ploughing by an excavator or 50 cm deep ploughing by a spading machine. On the other hand, effective soil depth was within 50 cm at control plot. Productivity of carrot responded to amelioration of soil physical properties. The productivity was greater in deep ploughing treatments than that of control or 30 cm ploughing. It suggested that increased productivity by deep ploughing was mainly related to breaking plough pan which inhibited extension of rooting zone.

수변구역 조성 녹지의 모니터링을 통한 식재방안 모색 - 가평군 시공지를 대상으로 - (Exploring Planting Strategies through Monitoring of a Greenspace Established in the Riparian Zone - The Case of an Implementation Site in Gapyeong County -)

  • 조현길;박혜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689-1699
    • /
    • 2016
  • The growth conditions of planted trees, invasion of nuisance herbaceous species, competition between species, and effects of erosion control were monitored over five years in a riparian greenspace in Gapyeong County that was established through multilayered and grouped ecological planting. Of 156 trees planted in the upper and middle layers, 5.8% died. This tree death was attributed to poor drainage or aeration in the rooting zone from the clay-added root ball and too deep planting as well as a small-sized root ball and scanty fine roots. Of all the trees, 21.6% grew poorly due to transplant stress in the first year after planting, but they started to grow vigorously in the third year. This good growth was largely associated with soil improvement before planting, selection of appropriate tree species based on growth ground, and control of dryness and invasive climbing plants through surface mulching and multilayered/grouped planting. Mixed planting of fast-growing species as temporary trees was desirable for accelerating planting effect and increasing planting density. Thinning of fast-growing trees was required in the fifth year after planting to avoid considerable competition with target species. To reduce the invasion of herbaceous and climbing plants that oppress normal growth of planted trees, higher density planting of trees (crown opening of about 15%), woodchip mulching to a 10-cm depth, and edge planting 2 m wide were more effective than lower density planting (crown opening of 70%), no surface mulching, and no edge planting, respectively. This reduction effect was especially great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after planting. Nuisance herbaceous plants rarely invaded higher density planting with woodchip mulching over the five years. Higher density planting or woodchip mulching also showed much greater erosion control through rainfall interception and buffering than lower density planting with no mulching did. Based on these results, desirable planting and management strategie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functions of riparian greenspaces.

토양-식생기반의 수문모델 BAGLUVA를 적용한 토지이용별 물수지 분석 방법론 (Landuse oriented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 by the Hydrological Model BAGLUVA based on Soil and Vegetation)

  • 권경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98-111
    • /
    • 2015
  • 도시개발과 기후변화로 인해 증가하는 도시침수, 지하수 고갈, 하천오염 그리고 도시 열섬 현상 등의 환경문제는 도시 물순환 회복을 통해 경감시킬 수 있다. 효과적인 물순환 회복 계획수립을 위해서는 개별 사업이나 소규모 시설에 대해 물수지 현황과 변화를 면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도형태의 분석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토양-식생 기반의 물수지 모델 BAGLUVA의 구조를 분석하고, BAGLUVA 모델의 수문요소와 입력자료와 관련된 우리나라 관련 연구결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BAGLUVA 모델은 기후, 토지이용, 지형, 토양수문 그리고 관개 등의 5가지 부문으로 구성된다. 5가지 구성요소의 상호 연계 구조와 개별 입력데이터 그리고 지형 계수, 최대증발산 비율, 유효근권 등의 개념과 적용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제 증발산량-잠재증발산량-강수량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Bagrov 계수의 산정 방식을 나타내었다. 면적단위의 토지이용별 물순환지도(Hydrotope Map)를 통해, 임의의 소규모 지역 물수지 현황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물순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분산형 빗물관리, 저영향개발(LID) 시설의 계획 설계 상의 목표량 설정을 공정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자원 관리를 조경 및 도시계획에 통합시키는 유용한 도구이다.

벼 어린모 뿌리의 분화 및 신장에 미치는 Metalaxyl의 종자침청처리 효과 (Effect of Exogenous Metalaxyl Seed-Soaking on Root Initiation and Elongation of Young Rice Seedling)

  • 김제규;박광호;이문희;오윤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45-553
    • /
    • 1993
  • 벼 기계이앙을 위한 어린모 육묘에서 뿌리엉킴촉진에 탁원한 효과가 있는 metalaxyl의 묘 뿌리분화 및 신장생장에 관한 일부 생리적 기작을 밝히고자 metalaxyl 침지처리에 따른 어린모의 근활력, 발근력, 아미노산 함량 변화, 광합성 및 엽록소함량등을 조사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etalaxyl(25%, 수화제) 200ppm에 침지처리한 어린모는 무처리에 비하여 전육묘기간중에 근활력이 높았으며 특히 파종후 10~13일에 현저하게 높았다. 2. metalaxyl 200ppm에 종자를 침지처리한 어린모에서 재발생된 관근의 길이는 무처리보다 유의적으로 길었으며, 뿌리의 신장을 촉진시켰다. 3. metalaxyl 200ppm에 종자를 침지처리한 어린모에서 재발생된 관근의 수는 무처리와 비슷한였으나, 관근에서 발생된 분지근(측근)의 수는 2~3배 증가되어 분기근의 분화를 촉진시켰다. 4. 어린모 뿌리의 alanine함량은 metalaxyl처리에 의하여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alanine 함량과 근활력, 또 metalaxyl 농도와 분지근수 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metalaxyl 침지처리는 어린모 뿌리에서 거의 모든 종류의 아니노산 함량을 증가시켰다. 6. metalaxyl처리는 어린모 체내의 엽록소 및 전질소 함량을 높이고, 광합성량을 증가시켰다.

  • PDF

벼 냉해발성 기작과 피해 경감대책 (Mechanisms of Cold Injury and Cultural Practices for Reducing Damage of Rice)

  • 이문희;박남규;박석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s02호
    • /
    • pp.34-44
    • /
    • 1989
  • 우리나라의 벼안전재배는 기상환경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 그러므로 기상재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신품종의 육성 및 재배법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그중에서도 벼의 냉해는 그동안 여러번에 걸쳐 심한 피해를 가져다 주어 그 중요성이 확인되어 많은 연구가 실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냉해의 발생원인과 기작을 살펴보고 그 경감대책을 종합하여 보다 더 효율적인 연구와 실질적인 재배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저 한다. 1. 우리나라 벼 냉해 상습지는 전국적으로 1,709개소에 약 15,522ha에 분포하고 있다. 2. 벼유묘기 냉해는 발아불량, 적고현상, 고사 및 뜸묘의 발생 등으로 나타난다. 3. 영양생장기의 냉해는 활착불량으로 분얼수가 감소하여 단위면적당 수수가 적고, 생육지연 및 유수형성 지연으로 출수가 지연된다. 4. 생식생장 초기의 냉해는 지경 및 영화의 퇴화, 발육정지가 되고, 감수분열기에는 화분발육의 조해로 불념이 증가되고 수장이 단축되며 출수지연으로 수량감소에 큰 영향을 준다. 5. 출수 및 등숙기 냉해는 개화, 출수 지연으로 수분, 수정이 불량하며 이삭목의 추출불량, 등숙불량 및 쌀의 미질이 불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냉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기술시책으로는 6. 중산간지 및 산간고냉지에 적용되며, 내냉성이 높은 품종육성 7. 밭못리 육묘와 ABA, 후치왕, 다찌에스 등의 생장조정제를 이용한 건묘육성 8. 냉수답이나 냉해상습지에는 토양개량 및 육기작 시용으로 보비로 튼튼한 벼생육을 가져 온다. 9. 냉해시에는 깊게 물대기와 냉수관개시에는 우회수로, 비닐튜브 등을 이용한 물온도 높여 주기 등 합리적인 물관리가 필요하다. 10. 각 지역의 최고, 평균, 최저온도를 기본으로 한 안전작기를 책정하여 적기에 적품종을 재배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