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 of alcohol

검색결과 1,861건 처리시간 0.037초

청간해주탕(淸肝解酒湯)이 알코올 유발 간섬유화와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ungganhaeju-tang(Qingganjiejiu-tang) on Alcoholic Liver Damages by Applying Proteomics)

  • 전재현;김영철;이장훈;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69-489
    • /
    • 200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ungganhaeju-tang(Qingganjiejiu-tang) on alcoholic liver damaged by applying proteomics. Materials and Methods :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alcohol) and the sample group(CGHJT +alcohol). The ethanol was orally administered twice a day for 6 weeks in the control and sample groups. Water instead of ethanol was orally administered twice a day for 6 weeks in the normal group. CGHJT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6 weeks in the sample group. The livers of each group were processed and assessed by histology, Western Blot, $Oxyblot^{TM}$, CBB and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Results : In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liver, CGHJT inhibited hepatic fibrogenesis induced by alcohol. TIMP-1 decreased in the sample group assessed by western blo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ed by dot blotting(p<0.05). In the $Oxyblot^{TM}$, protein oxidation induced by alcohol treatment decreased with CGHJT. In the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finding, increased proteins alcohol such as HSP 60, 60kDa heat shock protein, 3-mercaptopyruvate sulfurtransferase were normalized by CGHJT. CGHJT was considered to normalize the anti-oxidation activity elevated by alcohol. In the 2-dimensional electrophoresis finding, increased oxidized proteins such as actin, prolyl 4-hydroxylase beta polypeptide, 94kDa glucose regulated protein(GRP94), heat shock protein 90-alpha(HSC86), calreticulin precursor(CRP55), ATP synthase beta chain mitochondrial precursor, caspase-8 precursor, and dihydrolipoamide succinyltransferase(E2) decreased with CGHJT. CGHJT was considered to reduce the oxidative stress of alcohol. Conclusion : Chungganhaeju-tang(Qingganjiejiu-tang) exerts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the fibrosis and protein oxidation induced by alcohol treatment of rat liver. CGHJT was considered to normalize the elevated anti-oxidation activity by alcohol and to reduce the level of oxidative stress due to alcohol.

  • PDF

Methionine과 Selenium 수준이 흰쥐의 알코올대사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ionine and Selenium Levels on Alcohol Metabolic Enzyme System in Rats)

  • 김명주;박은미;이미경;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9-326
    • /
    • 1997
  • Met과 Se의 공급수준이 흰쥐의 알코올대사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Sprague-Dawley종의 웅성 흰쥐에게 Se 무첨가 및 정상공급식이 (0, 0.45mg/kg diet)에 Met(0, 3, 9g/kg diet)을 투여한 후 5주와 10주간 사육하여 간조직중의 알코올 대사효소와 항산화 방어 효소계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알코올은 aldehyde dehydrogenase와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활성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Met과 Se의 동시 결핍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Met과 Se의 동시 공급군의 경우 알코올 투여기간이 길수록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ldehyde dehydrogen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로 감소하였으며 Met과 Se 동시 결핍군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사육기간이 길수록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Cytochrome P-450과 xanthine oxid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는데 Se 결핍시 Met 결핍군과 과량공급군에서 그 증가가 현저하였으며, 5주 실험군에 비해 10주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시 증가되었으며, superoxide dismutase와 catal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기간이 길수록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알코올 투여시 glutathione peroxidas 활성도는 감소되었으며, Met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Met과 Se 동시 결핍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이성 Met과 Se은 동물의 성장 및 정상적 대사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로서 알코올 투여 시 Met과 Se 첨가에 따라 알코올대사 효소활성도와 항산화 방어효소 활성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식이 kg당 3g의 Met과 0.45mg의 Se 동시 공급시 원활한 알코올대사를 유도하여 알코올성 간손상을 가장 효율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Alcohol Intake on Body Fluid Balance and Fat Mobilization After Exercise Induced Dehydration

  • Park, Hyun-Jeong;Bae, Yoon-Jung;Lee, Joo-Hyung;Lee, Dae-Taek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124-130
    • /
    • 2006
  • To examine the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on body fluid restoration and fat mobilization following exercise induced dehydration, nine healthy collegiate men ($24{\pm}2yrs,\;177{\pm}5cm,\;72{\pm}8kg,\;10.5{\pm}2.3%$ body fat) underwent three experiments. In each experiment, subjects ran on a treadmill to reduce individual body mass to $2.2{\pm}0.1%$ and consumed one of three beverages containing 0, 4, or 8% alcohol over 60 min followed by 4 hr of resting recovery. They consumed approximately 150% of weight loss $(2053{\pm}204,\;2091{\pm}149,\;and\;1943{\pm}295mL)$ and content of alcohol was $9.9{\pm}1.0(0%),\;71.9{\pm}5.1(4%)$, and $132.2{\pm}20.1g$ (8% trial). Body weight, urine volume and samples, blood samples, and thirst sensation were measured five times; at baseline,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0, 1st, and 4th hr of recovery.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fter ingestion was $0.0{\pm}0.0(0%),\;0.1{\pm}0.02(4%)$, and $0.2{\pm}0.03%$ (8% trial). No differences in blood sodium and potassium concentrations, and urine specific gravity were noticed over time periods and trials. Thirst sensation tended to be elevated in all trials immediately after exercises and urine output was elevated during the recovery. The magnitude of changes in these variables was proportional to the alcohol concentration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serum osmolality was not different among trials and time periods in 0 and 4% trials, it was higher during recovery than the baseline in the 8% trial (P<0.01). Triglycerides did not change throughout the time period and among trials. Free fatty acids were elevated after exercise in all trials and 4th hr of recovery in 0% (P<0.05). Subjects' net body fluid balance at 4th hr of recovery was negatively maintained and proportional to alcohol concentrations. Only 8% trial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at 1st and 4th hr of recovery compared to 0 hr. The results suggested that diuretic effect of alcohol after moderate level of dehydration appeared dose dependent, but beverage containing alcohol up to 4% did not induce impaired rehydration than alcohol free drinks. Alcohol effects on fat mobilization during recovery appeared to be minimal and the mechanism is unclear.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간접음주피해 비교 (A Comparison of Alcohol Secondhand Effects among Korean and U.S. College Students)

  • Chun, Sung-Soo;Sohn, Ae-Ree;Reid, Easton A.;Inot, Rubelyn;Kim, Mi-Kyung;Percoheles, Grace;Lee, Sang-Sook;Wechsler, Henry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15-127
    • /
    • 2009
  • 목적: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음주로 인한 간접피해수준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방법: 하버드대학교의 대학생음주연구(CAS)의 2001년도의 원자료 10,924명의 데이터와 한국대학생음주연구(KCAS)의 2003년도의 원자료 2,385명의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에 함께 넣어서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CAS의 대학생용 조사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한국의 주종과 량과 관련하여서는 표준잔과 량을 기준으로 적용하였다. 지난 한 달 동안의 음주하였다고 한 학생의 알코올관련문제 및 간접피해의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연령과 음주빈도 와 음주량 통제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의 결과로 제시하였다. 결과: 한국대학생들이 술 취한 동료를 돌봄, 성적인 폭행, 데이트 강간, 구토물들을 발견하는 것 등의 간접피해를 많이 받는 반면에 미국대학생들은 모욕을 당함, 심하게 다툼, 밀침을 당함, 학업에 방해를 받음, 폭행을 당함, 원치 않은 섹스를 함 등의 간접피해를 더 많이 겪고 있다. 결론: 미국대학생들은 상호관계에 의한 간접피해를 많이 느끼는데 비해서, 한국대학생들은 개인적이고 신체적인 간접피해를 더 많이 느끼고 있다.

꾸지뽕나무 뿌리 추출물의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 및 혈액 산성화 기전 조절을 통한 숙취해소 효과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CTE) on Ethanol-Induced Hangover via Modulating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and Blood Gas Levels in Rats)

  • 최나은;노주예;이주영;류진협;조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18-2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을 섭취한 흰쥐에서 알코올 대사와 혈액가스 불균형에 대한 꾸지뽕 나무 뿌리 추출물 (이하 CTE)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알코올을 10 ml/kg의 농도로 흰쥐에게 경구 투여하였고, 섭취 30분 후 CTE를 500 mg/kg 및 750 mg/kg의 농도로 투여하였다. 혈액은 알코올 섭취 1시간, 3시간, 5시간 후 꼬리 정맥을 통하여 채취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 음료 (컨디션)를 사용하였다. 약물 처리는 모두 단회 경구 투여로 진행되었다. CTE의 섭취는 흰쥐의 혈액과 간 조직 내 알코올 대사 효소인 알코올 분해효소 (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 분해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증가 또는 유지시킴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켰다. 또한, CTE는 알코올섭취에 의한 혈액가스 (pH, $CO_2$, $HCO_3{^-}$, lactic acid)의 불균형을 회복시켰다. 결론적으로, CTE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숙취해소음료 보다 우수한 숙취 해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CTE를 숙취 해소 및 예방을 위한 천연물 유래의 안전하고 새로운 물질로써 제시하는 바이다.

혼합주의 종류에 따른 치아의 부식능 차이 평가 (Difference of dental erosive potential according to the type of mixed drink)

  • 김영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39-744
    • /
    • 202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pH, 적정산도, 형광소실도(△F)를 이용하여 혼합주의 부식위험성과 부식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소주, 깔라만시+소주, 요구르트+소주, 콜라+소주, 에너지드링크+소주. 혼합주는 소주와 음료수를 7:3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pH와 적정산도(TA5.5, TA7.0; 음료의 pH를 5.5와 7.0까지 끌어 올리는데 필요한 1M NaOH의 양)는 교반하면서 pH미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혼합주의 부식능은 우치를 1, 2, 4, 6시간 동안 침적하였다가 각 시간마다 꺼내어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D)를 이용하여 촬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혼합주는 평균 pH는 3.17 ± 0.50, 소주의 pH는 8.6 ± 0.01를 나타내었다. TA5.5와 TA7.0는 각각 0.5~18, 0.5~23.5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요구르트 혼합주를 제외한 나머지 혼합주의 △F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요구르트 혼합주에서는 부식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깔라만시 혼합주가 가장 강한 산성과 부식능을 보였으며, 요구르트가 가장 약한 부식능을 나타냈다. 혼합주는 치아 법랑질에 강한 부식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와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