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el(Anguilla japonica)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6초

인위적으로 성숙시킨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성숙란의 생화학적 과숙 특징 (Biochemical Overripeness Characterization of Artificially Maturat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Egg)

  • 권오남;아다찌신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6-180
    • /
    • 2008
  • 본 연구는 인위적으로 배란시킨 뱀장어 Anguilla japonica 배란란의 과숙특징을 생화학적으로 밝히고, 과숙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용된 뱀장어 성숙란의 수정률과 부화율, 부화 후 3, 10일 후 생존율과의 관계는 Y=0.7954X+32.448($R^2=0.8176$, P=6.35E-7), Y=1.0241X-26.401($R^2=0.8121$, P=5.95E-27) 및 Y=0.9314X-24.814($R^2=0.7619$, P=7.33E-14)였다. DNA 함량은 부화율의 감소와 함께 20% 이하의 부화율을 보이는 배란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0.653 pg/ug protein을 보였다(P<0.05). 그리고 이들의 비는 부화율이 20% 이하의 난에서 1.05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비를 보였다(P<0.05). 또한 부화율에 따른 total alkaline protease와 ACPase 활성은 모든 부화율 범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단백질 함량은 부화율 20% 이하 배란란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186.16 ug/mg eggs의 함량을 보였다(P<0.05). 따라서 뱀장어의 과숙란은 지속적인 단백질의 공급으로 정상란의 과숙화를 촉진하여 부화율이 저하된다. 결국 세포는 과숙으로 인해서 죽었기 때문에, 간에서 생성된 난황단백질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속도를 늦추어서 복강 내 배란 후 과숙을 방지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양식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 Anguilla bicolar)에서 발생하는 바이러스성내피세포괴사증(VECNE)의 감염 특성 (Characteristics of Viral Endothelial Cell Necrosis of Eel (VECNE) from Culturing Eel (Anguilla japonica, Anguilla bicolar) in Korea)

  • 김수미;고상무;진지혜;서정수;이남실;김영숙;구정희;배유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85-193
    • /
    • 2018
  • 2017~2018년에 거쳐 인천 및 경기지역 뱀장어 양식장 4개소를 대상으로 질병 예찰 및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특징적으로 아가미울혈증상을 동반한 질병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 질병은 크기에 상관없이 발생하지만 입식 후 3개월 이내의 당년생 뱀장어에서 감염 빈도와 누적 폐사율이 높게 나타났다. 감염어는 새변의 중심정맥동(CVS)의 심한 울혈과 팽창, 간과 신장 조직의 출혈 등과 같은 병리조직학적 감염 특성을 보였다. 또한 아가미 혈관내피세포의 핵과 세포질에서 정이십면체 구조를 가진 직경 70 nm 전후의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PCR에 의한 분자생물학적 진단법과 유전자 분석을 통해 이 질병의 원인 병원체는 일본에서 주로 보고한 뱀장어바이러스성내피세포괴사증(VECNE)의 원인체인 JEECV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국내 뱀장어 양식장에서 JEECV 및 VECNE 감염특성을 밝힌 첫 보고이다.

뱀장어(Anguilla japonica) 정자 활성에 따른 정액 분석 및 인공정장액 개선 (Seme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Artificial Seminal Plasma According to Sperm Activity in Eel Anguilla japonica)

  • 김한식;김신권;이배익;유용운;신민규;박수진;최윤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01-410
    • /
    • 2023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el Anguilla japonica sperm using the CASA (computer-assisted sperm analysis) system and attempted to provide the composition for artificial seminal plasma by regulating of inorganic elements. Sperm samples were first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motility and progressive motility: (A) 0-10%, (B) 10-40%, (C) 40-70%, and (D) 70-100%. For observing sperm velocity variations, VCL, which is curve motion velocity,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all groups. The directional factor, beat cross frequency, was lower in higher activity groups, showing an opposite correlation with sperm activity. The head sizes of spermatozoa in higher activity group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in lower activity groups. The Na+ and K+ ions were important in the inorganic composition of seminal plasma in this species. Furthermore, regulating the composition in artificial seminal plasma improved the formula compared to the existing element, exhibiting 120 mM Na and 30 mM K when the sperm was conserved for a long time and 120 mM NA and 40 mM K when the sperm was conserved for a short time.

Daily Growth Increments and Lunar Pattern in Otolith of the Eel, Anguilla japonica, in the Freshwater

  • LEE Tae-Won;LEE Kwan-Soon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40
    • /
    • 1989
  • The eels, Anguilla japonica, were reared in a tank with daily feeding for up to 97 days, and otoliths were regularly collected for the observation of their microstructures.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thin-sectioned otolith under dark field provided significant information on daily growth increments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visual contrast shown by the increments. Clearly defined elver mark formed during the metamorphosis from leptocephalus to the elver can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the age for the sedentary yellow eel in continental water. The close correspondence between the number of increments outside elver mark and chronological age in days from the beginning of feeding indicates that increment deposition on a daily basis was initiated with the start of feeding for the sedentary yellow eel. Either 7 or 14 daily growth increments were grouped together into 2 alternative units, each distinguished by prominent checks or by visual contrast. The absence of any apparent environmental variations with 7 or 14 day period in the reared tank implies that the phase of the moon could be a zeitgeber for the endogenous rhythm.

  • PDF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에 있어서 인공성성숙시기와 번식률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Maturation Season and Reproduction Coefficient in the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 배준영;김대중;이정의;손상규;이종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9-225
    • /
    • 2007
  • 본 연구는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인위적인 성성숙 처리시기와 번식률과의 상호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5월(봄)부터 익년 1월(겨울)까지 각 계절별로 수행되었다. 실험어의 인공 성성숙 유도를 위해 암컷($400{\sim}600\;g$) 뱀장어에 salmon pituitary extraction (SPE, 20 mg/fish/week)를 매주 복강에 주사하여 인위적인 성성숙을 유도하였다. 호르몬 처리 $8{\sim}13$주 이후 대부분의 개체들은 난황형성이 완료되었고, $17{\alpha}$, $20{\beta}-dihydroxyprogesteron$ (DHP, $2\;{\mu}g/g$ body weight)를 주사하여 배란을 유도하였다. 수컷 뱀장어($200{\sim}350\;g$)는 human chronic gonadotropin (HCG, 1 IU/g body weight/week)을 매주 복강에 주사하여 정자형성 및 배정을 유도하였고, 이후 상기의 개체들에 대해 자연산란에 의한 수정 및 인공수정을 병행하였다. 배란율, 부상률, 수정률 및 부화율을 포함한 계절별 번식률에 있어서 봄과 여름($5{\sim}7$월)에 인공성성숙을 유도한 실험구가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산란수와 부화 유생수 및 부화유생의 생존일수는 번식률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양식산 뱀장어에 있어서 호르몬 처리에 의한 인공성성숙유도의 시기는 자연계에서 주산란시기인 봄과 여름철이 적합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양식산 뱀장어의 적절한 인공성성숙시기는 배란율, 부상률, 수정률 및 부화율을 포함한 번식률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극동산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친자확인을 위한 유전자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Parentage Analysis i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노은수;신은하;박경현;김은미;김영옥;유용운;김신권;남보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57-566
    • /
    • 2022
  •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is a highly valued research object that is important for aquaculture in Asia,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nalyzing parentage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derived from the Japanese eel. We acquired Japanese eel genome data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and constructed a draft genome comprising 1,087 Mbp. Using the Simple Sequence Repeat Identification Tool program, 444,724 microsatellites were identified. Of these, 1,842 microsatellites located in the 3' untranslated region, which are stably inherited, were finally selected. Ninety-six primers were selected to validate polymorphism at these microsatellites, and 9 primers were finally identified for multiplex analysis.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three different fluorescence chemistries, we performed parentage analysis of an artificial Japanese eel population. CERVUS software was used to calculate the logarithm of the odds (LOD) scores and the confidence of the parentage assignments. The results presented here show that 83 out of 85 paternity cases were assigned at 95% confidence to a candidate father and mother with LOD scores ranging from 4.79 to 28.2. This study provided a microsatellite marker-based assay for parentage analysis of Japanese eels, which will be useful for selective breeding and genetic diversity studies.

양식 잉어 및 뱀장어에 경구투 fluoroquinolone계 항생제의 체내 잔류량의 변화 (Distribution of Fluoroquinolones in the Carp (Cyprinus carpio) and Eel (Anguilla japonica) following their Oral Administration)

  • 조미라;박큰바위;이희정;김지회;이태식;정승희;이두석;윤호동;김풍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23-628
    • /
    • 2010
  • The distribution of fluoroquinolones was investigated in the carp (Cyprinus carpio) and eel (Anguilla japonica) after an oral dose of 20 mg/kg body weight/day for 35 day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5 and 10 hours and 1, 2, 3, 5, 7, 9, 13, 20, 30, and 35 days after treatment. The fluoroquinolone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n ultraviolet detector. The recovery rates of fluoroquinolones in the fish samples ranged from 91.4-96.6, 91.2-96.5, and 90.4-98.6% for concentrations of 0.1, 0.5, and $1.0\;{\mu}g/g$, respectively. In the blood of carp, ciprofloxacin, enrofloxacin, norfloxacin, and sarafloxacin reached maximums level of 11.03, 9.37, 9.10, and $9.81\;{\mu}g/g$ 10 hours, 1 day, 10 hours, and 10 hour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In the eel blood, these reached maximum levels of 12.65, 11.18, 11.91, and $8.74\;{\mu}g/g$ all at 10 hours. Carp sample concentrations of ciprofloxacin, enrofloxacin, norfloxacin, and sarafloxacin were not measurable 20, 30, 20, and 20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in all experiments (

Oxytetracycline의 경구 투여에 따른 뱀장어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Oral Administration of Oxytetracycline in Eel, Anguilla japonica)

  • 김진도;서정수;김주완;이주석;정승희;지보영;김진우;김응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27
    • /
    • 2008
  • Oxytetracycline (OTC) has been widely used in eel culture as a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agent because of its broad-spectrum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The oral treatment dosage of OTC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edwardsiellosis, furunculosis and vibriosis in eel is 50 mg/kg/day for 3-7 days in Korea. To determine new optimum dose of OTC in eel, the pharmacokinetics of OTC after single oral administration (100 mg/kg B.W., 200 mg/kg B.W.)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was examined. In oral dosage of 100 and 200 mg/kg body weight, the highest plasma concentrations of OTC were 1.19±0.42 ㎍/㎖ and 2.69±0.57 ㎍/㎖, respectively. Plasma concentrations of OTC were not detected after 720 h post-dose in all experiments. The kinetic profile of absorption, distribution and elimination of OTC in plasma wwas calculated fitting to a 1- and 2-compartment model by WinNonlin program.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obtained for a single dosage of 100 and 200 mg/kg respectively: 1-compartment model, AUC= 82.48 and 432.68 ㎍*h/㎖, Tmax= 3.93 and 14.24 hr, Cmax= 0.94 and 2.34 ㎕/㎖; 2-compartment model, AUC= 448.73 and 530.65 ㎍*h/㎖, Tmax= 6.37 and 8.96 hr, Cmax= 0.90 and 3.21 ㎕/㎖.

실뱀장어의 하굿둑 어도 및 갑문 이용 실태 연구 (Migration of Glass Eel (Anguilla japonica) through Fish Way and Lock Gate in an Estuarine Barrage)

  • 조현빈;곽석남;김구환;이완옥;박기연;곽인실;김동균
    • 생태와환경
    • /
    • 제52권1호
    • /
    • pp.65-70
    • /
    • 2019
  • 본 조사는 월령이 망(보름)인 2016년 4월 22~23일과 5월 25~26일에 낙동강 하굿둑 갑문과 어도 등 총 4개 지점에서 실뱀장어 이동 가능성에 대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뱀장어는 총 23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지점별로 보면 동편 하굿둑에서 22개체, 서편 하굿둑에서 1개체가 채집되었다. 소상지원 시설물 형태 변화, 즉 갑문의 패들 및 어도의 수문 개방 여부, 인조잔디 및 솔의 설치에 따른 실뱀장어의 채집 개체수의 변화를 보면, 동편 하굿둑 갑문의 경우 5개체에서 15개체로 3배 상승하였고, 2번 어도의 경우 0개체에서 2개체로 상승하였다. 본 조사는 2회 조사 결과로 표본수가 작아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은 결여되어 있으나, 낙동강 하굿둑 어도와 갑문 모두에서의 실뱀장어를 채집하여 실뱀장어의 하굿둑 어도와 갑문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하굿둑 어도 및 갑문의 소상지원 시설물 형태변화에 따른 실뱀장어 채집 개체수가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향후 실뱀장어 회유시기에는 하굿둑 어도 및 갑문을 능동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르말린 약욕이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아가미 및 간에 미치는 병리조직학적 효과 (Histopathological effects caused by formalin bath on gill and liver of Eel (Anguilla japonica))

  • 정승희;이남실;이주석;지보영;김진우;김응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5-325
    • /
    • 2007
  • 뱀장어, Anguilla japonica (평균체중 96±3.6 g)를 포르말린 0 (대조구), 100, 200, 300, 400 및 500 ppm의 농도로 설정한 사육수조에서 약욕하면서 1시간, 6시간 및 24시간 경과 시 각 농도별 아가미와 간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아가미에서는 포르말린 200 ppm의 6시간째, 300 ppm의 1시간째, 400 ppm의 1시간째, 500 ppm의 1시간째부터 1차 새변 및 2차 새변의 상피세포 괴사와 박리, 융합, 증생, 비대가 관찰되었다. 한편, 100 ppm의 24시간째는 대조구보다 오히려 1차 새변 및 2차 새변의 상피세포층이 얇아지고 규칙적인 배열을 보였다. 간에서는 포르말린 100 ppm의 24시간, 200 ppm의 24시간, 300 ppm의 6시간, 400ppm의 1시간, 500 ppm의 1시간째부터 간세포의 위축, 핵 농축, 울혈, 세포질 변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100 ppm의 1시간 및 6시간, 200 ppm의 1시간 및 6시간, 300 ppm의 1시간째 약욕한 간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특이한 병리학적 조직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