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Need

검색결과 2,587건 처리시간 0.03초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Instructors and Clinical Dental Hygienists for Oral Pathology Learning Objectives

  • Lee, Sun-Mi;Lee, Jung–Hwa;Cho, Eunae Sandra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oral pathology learning objectives for instructors and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guide learning objectives for acquiring practically necessary basic knowledge in the clinical field. Methods: Through the first-stage expert meeting, 27 items with less than four points out of 129 learning objectives in 15 detailed areas were deleted, 12 additional opinions were reflected, 114 learning objectives were set,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3 people.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92 items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professors and clinical dental hygienists. Among the areas of inflammation and repair, "Can explain the five symptoms of inflammation" had the highest with a score at 4.76 in the case of the professors. Among the areas of tooth damage, "Can explain abrasion" had the highest with a score at 4.61 in the case of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Conclusion: I would like to propose the existing 15 detail areas and 129 learning objectives as 14 detail areas and 98 learning objectives and strengthen the job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in the future. First, you need to develop competencies that are highly relevant to your work.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textbooks and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revised learning objectives and competencies. Third, based on revised learning objectives, the dental hygienist national examina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these changes in education, the educ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disease subjects should strengthen job competencies among dental hygienists with learning objectives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clinical practice based on basic knowledge rather than knowledge orient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dental hygiene studies.

4차산업혁명을 준비하는 교육 (Education for 4th Industrial Revolution)

  • 박재환;안지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885-892
    • /
    • 2018
  • 18세기 1차 산업혁명 이후로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혁명적 산업 변화가 이루어졌다. 4차 산업혁명은 지능과 정보가 융합된 형태로 전개되는 새로운 형태의 산업혁명이다. 사회, 문화, 경제, 교육 시스템은 접속과 경험이라는 커다란 주제 안에서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4차 산업혁명의 특징적 요소인 지능적 기계화의 흐름 속에서, 인간과 기계의 분업화라는 관점은 반드시 필요하다. 도구에 관한 것은 기계와 인공지능에게 맡기고 인간은 본질적인 문제를 바라보아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의 패러다임과 기술발전의 흐름 속에서 교육의 관점은 근본적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암기력을 기반으로 하는 소유의 개념이 아닌, 접속과 활용의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로봇과 인공지능이 많은 부분을 담당할 수 있으므로 인간은 기계가 할 수 없는 토론, 협업, 의사소통, 감성, 예술성이라는 영역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간과 기술의 융합, 인문학과 과학기술의 융합이다. 융합적 교육과 독서가 중요하다.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한 융합수업안 개발 : 5-6학년 환경교육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al Program Using AI Platform: Focusing o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Grades 5-6)

  • 최형윤;신승기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213-221
    • /
    • 2021
  •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인공지능 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학습 환경은 다양한 인공지능 플랫폼 체험형 수업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수업안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활용한 인공지능 플랫폼은 AI for Oceans이며 환경을 위한 프로그램 만들기라는 주제로 6차시 분량의 노벨엔지니어링 기반 STEAM 수업을 설계하였다. 이 모델은 수업의 전체 상황을 아우르며 문제해결의 맥락을 제공한다. 학생들은 AI for Oceans를 체험하며 지도 학습에 대한 충분한 탐색 과정을 거친 후 지도 학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엔트리의 인공지능 블록을 사용하여 환경을 위한 나만의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융합교육을 위하여 인공지능의 원리를 토대로 문제 해결에 활용하여 창의적인 문제해결역량 및 융합적 사고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수업안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 PDF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Instruc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College Students)

  • 김성은;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7-200
    • /
    • 2006
  • 이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정규 교과목으로 시행되고 있는 정보활용능력 관련 교과목의 내용을 분석하여 실제 대학에서 교양 과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활용능력의 새로운 교수학습 형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미국과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의 고등교육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기준과 모형을 분석하였으며, 국외 5개 대학의 5 교과목의 교육내용과 국내 23개 대학에서 현재 정보활용능력 관련과목으로 교수되는 33개 교과목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핵심 요소로 사용되는 정보활용능력의 7개 영역인 정보자원영역, 정보요구영역, 정보접근영역, 정보분석영역, 정보관리영역, 정보전달영역, 정보윤리영역을 추출하여 영역별로 강의할 수 있는 14주 과정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정보활용능력 교수학습모형의 내용에는 영역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전략 강의시간. 평가내용, 강의도구 등이 포함되어 있다.

정신건강복지센터 간호사의 자살예방 지식 및 기술, 자살에 대한 태도와 자살예방업무 소진의 관계: 혼합연구방법의 적용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and Skills about Suicide Prevention,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Burnout of Suicide Prevention Work of Nurses at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 Mixed Methods Study)

  • 동희라;서지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0-9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knowledge and skills about suicide prevention,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burnout of suicide prevention work of nurses at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Methods: An explanatory sequential mixed-method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quantitative study, the subjects (nurses) were 133 nurses executing suicide prevention work.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13 nurses with high burnout scores were interview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e analysis method. Results: Quantitative results showed the average burnout of suicide prevention work was 54.62 ± 12.51. The burnout of suicide prevention work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ttitudes toward suicide (r = .30, p < .001) and suicide prevention skills (r = - .18, p = .037). Qualitative results showed six themes related to burnout of suicide prevention work. They were 'feeling a lack of confidence in one's suicide counselling skills', 'feeling of the limits of one's ability to cope with a suicide crisis', 'feeling regret for not being able to help the clients', 'being over-empathetic to the clients', 'Not being able to understand the clients because the subjects (nurses) opposes committing suicide', and 'thinking that the suicidal thoughts of suicide attempters do not improve'. Conclusion: To reduce burnout of nurses' suicide prevention work at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considering nurses'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one to enhance their confidence in suicide prevention skills.

전주지역 초등학교 고학년 남.여 학생의 식습관 및 식행동,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Eating Habits,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ju Area)

  • 유옥경;박수희;차연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65-67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ting habits and eating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of students in 4, 5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Jeonju Area. The subjects for questionnaire were 2,568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s 1,364, girls 1,204).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and were as follows. In anthropometric dat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eating habits and eating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 of 'Hasty eating habit(p<0.01)', 'Most heavy meal(p<0.01)', 'Eating when receive stress(p<0.05)', and 'Frequency of snack eating per day(p<0.01)' between boys and girls. In total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nutrition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 of 'Carbohydrate and fat give heat and force.(p<0.001)', 'Carbohydrate is nutrient that make muscle and blood of our body.(p<0.01)', 'Overeating of carbohydrate does not contribute gain of weight. (p<0.05)', To intake vitamin, it is good to eat fresh fruit and vegetable.(p<0.01)', 'Calcium deficiency is leading to anemia.(p<0.001)' between boys and girls. In conclusion, systematical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t elementary school. These should include information about achieving a balanced diet, good eating habit and behavior, meal management and Korean dietary culture. Also, nutritional education at home must be emphasized.

건설 계측 및 계측업의 현황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A Study of The Present State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s About Construction Monitoring and Monitoring Industry)

  • 우종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D호
    • /
    • pp.163-169
    • /
    • 2010
  • 건설 계측 및 계측업은 IT산업 및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빠르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건설 계측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한 제도적 및 법적 뒷받침은 현실적으로 아주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건설계측분야의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발전 방안을 검토하였다. 건설 계측 및 계측업이 발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국건설계측협회 및 학회 설립 검토, 건설계측업 지정을 위한 관련법 검토, 건설계측품셈 제 개정 검토, 건설계측관련 설계기준 및 시방기준 제 개정 검토, 건설계측 전문인력 실무교육기관 지정 검토, 계측기기의 성능검사전문기관 지정 검토, 계측기기의 하자담보책임기간 검토, 계측기기의 손망실 비율 반영 검토 등의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지역사회 재가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 관련요인 성별 비교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Falling According to Gender in Frail Elderly)

  • 최경원;박언아;이인숙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539-551
    • /
    • 2011
  • 본 연구는 허약노인의 성별에 따른 낙상두려움, 건강상태, 규칙적 운동 횟수 등을 비교하고 낙상두려움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53개 보건소의 2009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중에서 허약 노인 사례관리를 위해 수집된 65세 이상 노인들의 기초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3903명(남 259명, 여 3644명)으로, 평균 연령은 남성이 75.17세, 여성이 평균 77.54세였으며, 남성의 75.3%, 여성의 85.4%가 낙상 두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저소득층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성의 경우 정적 균형감, 과거 낙상경험이었으며, 여성 노인의 경우 정적 균형감, 복합적 이동능력, 우울과 과거 낙상경험, 교육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허약노인의 낙상두려움 여부 및 영향요인을 주기적으로 평가하여 고위험군을 발견하고, 낙상 및 낙상두려움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이들을 대상으로 정서적 접근을 포함한 다요인적 통합 프로그램을 성별에 따른 맞춤형으로 개발,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및 조절효과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eer relations quality in Adolescents)

  • 최미은;남숙경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6권2호
    • /
    • pp.111-12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에서 자기 수용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완벽주의 자기제시는 자기수용을 통해서만 또래 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수용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기수용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수준에 따라 또래관계 질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기수용 향상을 위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사용자 맞춤형 강의 추천을 위한 대화 시스템 연구 (Dialogue System for User Customized Lecture Recommendation)

  • 최예린;연희연;김동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4-86
    • /
    • 2022
  • 인공지능 대화 기술이 발달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챗봇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 문의 및 상담이 많은 교육 도메인에서의 챗봇 도입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챗봇은 단순 대응이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위주로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교육콘텐츠가 다양화되고 증가함에 따라 인공지능을 통해 맞춤형 추천이 가능한 추천 시스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대화 시스템과 추천 시스템에 대한 각 연구 분야는 같은 도메인에서 핵심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별도로 진행되고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맞춤형 강의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는 추천 시스템과 부가 기능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대화 시스템이 결합된 사용자 맞춤형 강의 추천 대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다양화 및 개인화 되어가는 교육도메인에서의 챗봇 적용으로 업무 효율성 및 사용자 만족도가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