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Librarian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도서관의 참고사서을 위한 계속교육 (Continuing education for reference librarians in academic libraries)

  • 박준식;박은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569-59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theoretical systems concerning the necessity, methods, contents, and institution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for academic reference librarians in Korea, and to present a direction after performing a survey research to the librarians and grasping the phenomena on the basis of the system. The necessity, participation, contents, and performing institutions of continuing education were examined in detail, and the correlations among the sub-groups divided by gender, age, academic level of study, career as a librarian were analyzed. Also the direction of continuing education for reference librarians was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analyzed contents, the following three methods for an ideal form to the continuing education of the reference librarians were presented in this thesis. 1) It is desirable that the continuing educations are performed at a professionalized institutions such as 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 in a college and an education center for librarians which offers the Certificates of Advanced Study(CAS) as a librarian.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various types of educational program in which a working reference librarian may take more chances to study during vacation, weekends, or in the evening time.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per educational contents that reference librarians want, and to educate the librarians in order for them to keep pace with the change of times.

  • PDF

공공도서관에서의 에듀넷을 이용한 교육정보봉사 (The EDUNET in Public Librarie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 김달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7-116
    • /
    • 1997
  • In the so-called “information society,”the information service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is gaining an increasing importance. In order to meet the growing demand for educational information,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Center for Educational Multimedia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opened in 1996 the EDUNET as a comprchensive educational information network. In this context, public libraries as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are expected to provide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by utilizing the EDUNET information resources. The availability of EDUNET will even increase when the librarians assist users with systematic information search services, and digitalize printed materials in the library.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for them to accommodate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reby, to raise the level of information services up to that of their users’needs by enhancing the librarians’expertise in helping users search information effectively. In this end, we suggest a financial decision be made to build an oversea education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 PDF

미국, 영국, 한국 사서직 교육의 비교 (Education for librarianship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the Republic of Korea : a comparative study)

  • 엄영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1-2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situation of education for librarianship by comparing library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Korea. The qualifications of libraria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present trends of education for librarianship in the three countries are described and compared. It was not intended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the three countries share no similar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Compared with the education of the two countries, Korea has more ways to qualify librarians, more library schools, and lower academic levels for librarians. Library Associations or Institutes of the U. S. A. and the U. K. are involved in library education by accrediting library schools or library school curricula, but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has nothing to do with library education. In case of present trends in library education, Korean institutions seem to lag behind in coping actively with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modern society. Based on the findings, some suggestions are recommended.

  • PDF

사서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Gates of Teacher Librarians' Frail Vocational Presence in Korea)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17-337
    • /
    • 2010
  •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생은 사서교사를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자료 관리자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직업 기능과 전문직의 특성을 충족하지 못한 채 존재감이 매우 허약한 실정이다. 이것은 사서교사 배치를 외면한 학교도서관 정책과 사서교사와 사서의 자격과 역할을 동일시하는 법과 제도 때문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원인은 교수자의 자질을 갖춘 유능한 사서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갖고 있지 않은 배경학문 공동체의 방관자적 태도이다. 따라서 사서교사의 직업적 위상 강화를 위해서는 사서직 공동체가 사서교사를 교수매체 전문가로 인정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사서교사 스스로 개인 역량 개발을 위한 자기평가를 활성화하고 전문 단체의 활동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PDF

도서관 관계 전문직과 관계 학문의 재규정 (The Librarianship and the Related Area Studies)

  • 김중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권
    • /
    • pp.133-146
    • /
    • 1970
  • The writer tries to propose som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 and recommend those of librarianship. In this connection, the writer tries to define 'negative' and 'positive' functions of librarianship as a profession. The writer also aims at classifying various disciplines included in library sciencee Library science has to do with such phases as educational aids, storage and retrieval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librarianship itself. The title 'Librarian' carries with it the connotation of 'professional' in the sense that professional tasks require a special knowledge and background, that librarians try to maintain quality service to clients,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produced, developed, and disseminated via librarians, and that librarians are responsible for continuing education. The fact that the present stage of librarianship is generally known to adhere to negative posture and randomness might permit other institutions to replace the library's role.

  • PDF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과 방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ssence and Direction of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 곽동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69-83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과 방향에 대해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정보학 교육의 도입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둘째, 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 현장의 문제점들을 분석하며, 셋째, 이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과 발전 방향 등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을 도서관이란 '시설'보다는 '시설로서의 성격'에 초점을 맞춰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나아가 한국도서관협회가 중심이 되어 문헌정보학계와 도서관 현장을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한국적 문헌정보학 교육의 본질을 정립하고, 전문직 사서 양성을 위한 표준교과과정을 확립하며, 사서양성기관의 정비 및 사서자격제도의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의학사서의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한 국내외 의학도서관협회 교육프로그램 비교 및 분석 - MLA 및 KMLA를 중심으로 - (Comparison and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s of Korean and Americ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s to Improve the Role of Medical Librarians for User Services: Focusing on MLA and KMLA)

  • 이혜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9-92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의학도서관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의학사서의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의학사서 역할을 조사하여 교육영역을 항목화한 후 미국의 MLA와 한국의 KMLA 교육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의학사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개선점으로 첫째,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유형, 교육영역, 교육내용, 전문 분야를 선정한 인증 프로그램의 확대, 관련 기관과의 협업 프로그램, KMLA 가치를 표방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이 요구된다. 둘째, 현행 교육영역 중 '연구지원서비스', '교육·교육설계·상담' 등에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전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소비자건강정보서비스', '재난정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의학 관련 분야 정보서비스' 교육을 위해서는 국내 의학사서 교육 커리큘럼에 관한 규정 제정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대면 교육 참여가 어려운 사서를 위하여 온라인 교육내용 제공이 필요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교육내용만 제공하고 의학사서점수 부여에는 차등을 두거나 점수를 부여하지 않는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Digital Collection and Development Initiatives in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An Analytical Survey

  • Kumar, 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5-2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itiatives on digital collection and development in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in the Rayalaseema Region of Andhra Pradesh. Eighty-one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in Rayalaseema Region have been surveyed to assess the initiatives taken on digital collection and development. This paper highlights opinions of librarians on most preferred digital materials and various digital resources acquainted with their library. The digital library initiatives cover a variety of activities starting from the digital collection building, digitization, digital collection, maintenance, and digital preservation. It is found that 34.57% of libraries are in the process of building digital collections, which is an encouraging trend among Engineeri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Rayalaseema Region.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 제도 및 정책 분석 -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ystem, and Policie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 박주현;김지현;이명규;이지수;;이지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15-34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교육 제도와 정책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기능이 포함된 UNESCO, IFLA, EU, OECD가 발행한 문서를 검토하였으며 국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법령과 정책 및 유관 기관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제기구는 정규교육과정과 정규교육과정 밖에 있는 시민이 정보에 접근하고 지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으로 공공도서관을 인식하였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포함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있는 평생교육과 시민교육 기관으로 공공도서관을 활용하였다. 도서관법에는 국민의 알권리와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해 공공도서관과 사서에게 시민들의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부여되어 있으나 국내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정책에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사서의 역할은 축소되거나 배제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과 사서가 시민들의 정보 격차를 줄이며 시민역량으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향상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책무성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사서직 계속교육 동향 분석 - 온라인교육과 역량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 (Trends in the Online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Librarians and Applications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 권나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15-24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교육과 역량기반 교육을 중심으로 사서직 계속교육의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 사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70% 이상이 온라인교육방식으로 수행되고 있었고, 주로 온라인 코스웨어 형태의 표준화된 콘텐츠가 동영상으로 제작되어 반복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미국과 호주에서는 주로 웨비나 등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이러닝 방식을 사용하여 도서관 안팎의 최신 이슈를 다양한 교육강좌로 구성한 비표준화된 콘텐츠가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최근 주목할 동향으로 미국, 영국, 호주 등 해외에서 전문직 역량기준에 기반하여 계속교육을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기 개발된 사서직 역량기준들을 계속교육에 접목시킴으로써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이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해외 모범사례들은 향후 국내 온라인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의 계속교육 수요와 요구에 부응하며 현장사서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