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Students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 Kim, Jeong-R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61-168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has low school satisfaction level and course maturity. Also, they have various problem such as relatively large digital divide when compared to general student. To solve such problem, we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a software education program o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its effect on their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llowed the main stages of ADDIE model and was designed into experience Sharing, Requirements analysis, Sharing, Grouping, and Organizing. 20 of 6th graders in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were chosen as subject for software education program. The effectiveness has been analyzed through pre, and pro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developed software education program has meaningful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Goal Orientation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gram's elementary students.

복지국가 관점에서 바라본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정책 분석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분류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in a Broader Sense of The Prospective Welfare-State -Focusing on Esping-Anderson's Typology of Welfare-State-)

  • 엄경남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6호
    • /
    • pp.35-64
    • /
    • 2011
  • 이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복지국가 관점에서 바라보고 정책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사업의 지향점과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인지, 정권에 따라 이 사업의 강조점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복지국가 관점에서 이 사업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이 사업은 결과적으로 어떠한 유형의 복지국가에 기여할 것인지를 주요 연구 문제로 한다. 이를 위해 사업의 예산, 대상, 내용, 지향점, 전달체계 등 정책의 구조가 갖는 차원을 분석해 봄으로써 이 사업이 지향하는 복지국가 형태를 유추해 보았다. 이 사업은 국가 주도하에 진행되어 올해 법제화되면서 예산과 규모 면에서는 확대되었으나 여전히 선별적이고 계층화를 유발하는 사업의 형태를 띠고 있다. 특히 학업 향상과 성과를 강조하는 현 정부에서 이 사업의 지향점이 왜곡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사업이 복지국가라는 큰 틀 속에서 바른 방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 for the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 김수정;송미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88-20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지표 개발 연구의 연장선으로, 학교 현장에의 적용을 위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지표(안)은 6개 대영역, 33개 하위영역, 23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교육복지 분야 박사급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2회의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고, 현장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교육복지사 99명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 선정 기준($CVR{\geq}.29$, $CVI{\geq}.80$, 수렴도<.50, 합의도${\geq}.05$, 안정도${\leq}.80$, $M{\geq}3.00$, SD<.80, 신뢰도${\geq}.6$)을 적용하여, 6개 대영역, 23개 하위영역, 93개 문항에 대해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이 중 신뢰도가 낮은 3문항을 제외하여 최종 90문항으로 확정하였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성과지표가 현장에서 보다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한 제언과 후속 연구를 제시하였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정책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An Analysis for the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 송지훈;정영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305-3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사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문헌연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17개 시도교육청 및 교육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세미나를 실시하여 결과를 보완하였다. 이를 근거로 현 상태를 진단하고 향후 해결해야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2003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시작으로 사업의 효과성이 증명되면서 지속적으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 및 교육부 훈령 제정 등을 통해 법적, 제도적 안정성을 확보해 나갔다. 하지만 시도교육청으로 사업이 이양된 이후 사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점차 축소되고 정체성의 위기마저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분명한 사업의 목적과 방향설정, 중앙정부의 기능 정상화, 초중등교육법 제28조 개정을 통한 '학습부진아 등'의 개념보완을 제시하였다.

지방교육 복지재정의 실태 분석 연구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육비특별회계를 중심으로- (Local Education Welfare Financial Analysis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pecial Account)

  • 이영내;주철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1245-1260
    • /
    • 2014
  •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ize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pecial Account and Educational finance Changes based on the welfare types from 2009 to 2013. It also identifies the impact on welfare finance education programs that target low-income students. The size of Education welfare finance was increased to 355.3 billions (2013) from 90.9 billions (2009), with the last 5 years average annual growth rate as high as 41.9%. But there has been relative decrease in the size of selective welfare budget for low income students such as tuition assistance & IT support to low-income and vulnerable groups, rural schools support to improve facilities,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gram. The finding suggests that the size of selective welfare budget should not be decreased due to universal education welfare policy. If it is to expand the universal education welfare, then there should be redesigning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and further revenue for local education finance to keep the budget for the education welfare target groups.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교육복지정책 발전방안 (Development Plan of the Education Welfare Poli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of Low Income Group)

  • 문아람;이윤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33-344
    • /
    • 2018
  • 저소득층 아동 소년을 위한 대표적인 교육복지정책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드림스타트, 방과후학교 등 세 가지 교육복지정책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보다 내실 있고 효율적인 교육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는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 교육복지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각 부처에서 분절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을 총괄할 통합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담당인력의 전문성 향상과 민간 인력의 고용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각 기관과 전문가 간 연계와 협의를 통해 교육복지에 대한 인식을 고양해야 한다. 넷째, 새로운 서비스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Kano의 이원적 품질모형과 Timko의 만족계수를 활용한 공학교육의 질 향상 방안 탐색 (An Improvement Method of Engineering Education Quality using Kano's Dualistic Quality Model and Timko's Satisfaction Coefficient)

  • 허영주;예철해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31-3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engineering education by using Kano's dualistic quality model and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op priority for major education is improve 'smooth support of class medium' as an attractive and one-dimensional quality element, and 'use of various examples' and 'specialty improvement of major curriculum' as an one-dimensional quality element. Secondly, the top priority for general education is improve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s an attractive quality element 'use of various examples' as an one-dimensional quality element. Thirdly, the top priority for extra-curriculum is develop and provide 'study support program of student' and 'voluntary service'. Fourthly, the top priority for administrative service and facilities is improve 'increase of scholarship' and expand 'service of welfare facilities as dormitory and refectory' as an one-dimensional quality element.

영국과 프랑스의 교육복지사업 비교연구를 통해서 본 우리나라 교복투사업의 정치사회학적 성격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litico-Soci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Welfare Invest Priority Zone Plan, Korea with the Cases in UK and France)

  • 강순원
    • 비교교육연구
    • /
    • 제22권4호
    • /
    • pp.1-24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영국과 프랑스의 교육복지사업과 비교 연구함으로써 교복투사업이 지니는 정치사회학적 의미를 추론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외환위기 이후 부각된 '교육복지'의 중요성은 2003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으로 구체화되어 지속적으로 확대되다가 2008년 이후엔 '교육복지우선 지원사업'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교육취약지역의 학교들에 우선적으로 투자하던 교복투사업의 골격이 변화되었다. 우리나라가 벤치마킹한 영국의 EAZ와 프랑스의 ZEP 사례를 보면, 모두 진보정당의 집권기에 '평등'의 철학에 기반하여 수립된 정책이었음에도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영향 하에서 보수정당이 들어서면서 수월성 위주의 평가지표로 운영방향이 바뀐다. 우리나라 교복투사업 역시 학력수준 향상이라는 수월성 지표가 평가의 근간을 이룬다고 비판받고 있다. 이렇듯 교육평등이념에 입각하여 추진된 교복투 사업의 방향이 이후 수권정권의 정치철학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관주도의 하향적 교육복지정책을 관민협력의 쌍방적 협력모델로 전환하여야 할 것이다.

여군장교의 복지욕구 (Welfare Needs of Female Officers in the Korean military)

  • 윤경아;노병일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1호
    • /
    • pp.155-190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practicing social welfare services for married nurse officers serving in the Korean military. For such a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iculties which married nurse officers have faced and the necessary services which are supposed to alleviate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nding a questionnaire to 114 married nurse officers from July 16 to August 10,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rried nurse officers were relatively dissatisfied with such domains as child care and education, health, and housing. And among the thirty-four problems, the married nurse officers expressed the most serious dissatisfaction with the difficulty in attending the events held in child's school, lack of children's dormitory run by the military, difficulty in adjusting to the school due to frequent house-moving, and limited access to dental care. Second, the married nurse officers needed services in domains such as housing,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health. Specifically, they wanted the military-run housing, child care facility within military hospitals, maternity leave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extension of risk allowances, and support for BOQ. Third, with regard to the seriousness of problems as well as the priority of services, the married nurse officers gave higher priority to such domains as child care and education, health, and hous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rried nurse officers were to the largest extent concerned with these three domains and that they had the urgent need for services relevant to those domains. The importance of routine need assessments as well as solutions to the family-related problems for married nurse officers is therefore suggested in this study.

  • PDF

학교에 대한 학생인식의 종단적 변화 연구 : 잠재성장모형의 접근 (A Latent Growth Modeling of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tudents' Perception about Schools)

  • 김수정;이윤수;송미령;송지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75-285
    • /
    • 2020
  • 본 연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교에 대한 학생인식의 변화를 추적하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여부가 그 변화를 어떻게 설명하는지, 변화의 결과가 학생들의 학습몰입, 자신감, 교우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복지정책중점연구소에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전국 총 103개 학교(초등학교 51개, 중학교 52개)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1차년도의 표본 수는 총 820명, 2차년도는 911명, 3차년도는 837명이었다. 본 연구는 무조건 성장 모형(unconditional growth model)과 조건 성장 모형(conditional growth model)의 두 단계를 거치는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참여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인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선을 보여주었다. 둘째, 학교에 대한 학생인식의 개선은 학생들의 학습몰입, 자신감, 교우관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교에 대한 인식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교사 주도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대상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에게 제공하며, 집중지원이 필요한 학생에 대해서는 교육복지사 중심으로 맞춤형 통합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