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topic tumor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5초

Tazarotene-Induced Gene 1 Enhanced Cervical Cell Autophagy through Transmembrane Protein 192

  • Shyu, Rong-Yaun;Wang, Chun-Hua;Wu, Chang-Chieh;Chen, Mao-Liang;Lee, Ming-Cheng;Wang, Lu-Kai;Jiang, Shun-Yuan;Tsai, Fu-Mi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39권12호
    • /
    • pp.877-887
    • /
    • 2016
  • Tazarotene-induced gene 1 (TIG1) is a retinoic acid-inducible protein that is considered a putative tumor suppressor. The expression of TIG1 is decreased in malignant prostate carcinoma or poorly differentiated colorectal adenocarcinoma, but TIG1 is present in benign or well-differentiated tumors. Ectopic TIG1 expression led to suppression of growth in cancer cells. However, the function of TIG1 in cell differentiation is still unknown. Using a yeast two-hybrid system, we found that transmembrane protein 192 (TMEM192) interacted with TIG1. We also found that both TIG1A and TIG1B isoforms interacted and co-localized with TMEM192 in HtTA cervical cancer cells. The expression of TIG1 induced the expression of autophagy-related proteins, including Beclin-1 and LC-3B. The silencing of TMEM192 reduced the TIG1-mediated upregulation of autophagic activity. Furthermore, silencing of either TIG1 or TMEM192 led to alleviation of the upregulation of autophagy induced by all-trans retinoic acid.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xpression of TIG1 leads to cell autophagy through TMEM192. Our study also suggests that TIG1 and TMEM192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ll-trans retinoic acid-mediated upregulation of autophagic activity.

DOBI is cleaved by caspases during TRAIL-induced apoptotic cell death

  • Park, Sun-Young;Shin, Jin-Na;Woo, Ha-Na;Piya, Su-Jan;Moon, Ae-Ran;Seo, Young-Woo;Seol, Dai-Wu;Kim, Tae-Hyoung
    • BMB Reports
    • /
    • 제42권8호
    • /
    • pp.511-515
    • /
    • 2009
  • Downstream of Bid (DOBI) known as Pus10, has been identified as a modulator of TRAIL-induced cell death using RNAi library screening. The crystal structure of DOBI has revealed that it is a crescent-shaped protein containing the pseudouridine synthase catalytic domain and a THUMP-containing domain. Here, we demonstrated that DOBI is expressed in various tissues such as heart and lung, and is also expressed in various tumor cells such as HeLa and A549. Although ectopic expression of DOBI does not promote TRAIL death signaling in HeLa cells, knock-down of DOBI expression using shRNA inhibited TRAIL death signaling. DOBI is cleaved into a 54 kD cleaved DOBI during cell death, and the recombinant DOBI protein can be directly cleaved by caspases-3, or -8 in vitro.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the cleaved DOBI may acquire a new function, possibly by cooperating with tBid in the mitochondrial event of cell death caused by TRAIL.

아밀라제를 생성하는 소세포성 폐암 1예 (A Case of Amylase Producing Small Cell Lung Cancer)

  • 이한민;송영구;박태병;황성철;이이형;한명호;임현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61-668
    • /
    • 1997
  • 종양세포에 의한 hyperamylasemia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주로 폐암에 의하고 조직형은 선암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때 생성되는 아밀라제는 타액형으로 췌장질환에 의한 것과는 구별이 되며 hyperamylasemia에 의한 임상적인 증상은 없다. 저자등은 소세포성 폐암으로 진단받은 54세 남자 환자에서 아밀라제 농도가 상승되어 있음을 발견하고, 임상경과 및 검사결과 아밀라제를 분비하는 소세포성 폐암으로 진단하고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내시경으로 진단된 소아 상부 위장관의 종양성 질환에 대한 고찰 (The Role of Endoscopy for Tumorous Condition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in Children)

  • 김혜영;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1호
    • /
    • pp.31-40
    • /
    • 2005
  • 목 적: 소아에 대한 상부 위장관 내시경술이 보편화되면서 종양성 질환의 진단이 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보고가 미미한 실정이어서 상부 위장관에서 종양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있어서 내시경술의 역할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1994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 중 종양성 질환이 발견된 2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내시경 검사는 Olympus사의 GIF (Q240, Q260, P230)를 사용하였고, 전처치로 midazolam이나 ketamine을 단독 또는 병용하였다. 결 과: 1) 이 기간 중 총 1,283명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술이 시행되었으며, 이 중 26명(2.0%)에서 종양성 질환이 진단되었다. 2) 남아가 11명, 여아가 15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6.93세(1달~15세)였다. 3) 진단된 질환으로는 이소성 췌장 6례(23.0%), 위식도 경계부 용종 5례(19.2%), 후두개곡 낭종 3례(11.5%), 유두종 3례(11.0%), Brunner's gland 과증식증과 위 점막하 종양이 각각 2례(7.7%)였으며, 그 외 위장관 간질성 종양, Henoch-$Sch{\ddot{o}}lein$ 자반증에 합병된 십이지장 벽내 거대 혈종, 십이지장 T세포 림프종, 식도 지방종, Peutz-Jeghers 증후군에서의 과오종이 각각 1례(3.8%)였다. 4) 내시경 검사를 하게 된 주 증상으로는 복통이 21례(80.7%), 오심 또는 구토가 8례(30.8%), 위장관 출혈이 7례(30.7%) 등의 순이었다. 5) 병변의 위치는 위가 8례(30.7%), 십이지장이 7례(26.9%), 위식도 경계부가 6례(23.0%), 인두가 5례(19.2%), 식도가 2례(7.7%)였다. 6) 병변의 크기는 10 mm 미만이 14례(53.8%), 10~20 mm가 7례(26.9%), 20 mm 이상이 5례(19.2%)였다. 7) 내시경적 육안 소견만으로 진단된 경우가 6례(23.1%)있었고, 내시경 초음파 검사로 위 점막하 종양 1례를 진단하였으며, 그 외 19례(73.1%)는 내시경 검사와 조직 생검을 통해 진단하였다. 8) 종양에 대한 처리로는 레이저 절제술 3례, 수술적 절제 및 항암요법 1례, 부분 위절제술 1례, 올가미를 이용한 내시경하 용종 절제술 2례, 생검 겸자를 이용한 내시경하 제거술 1례 등이 있었고, 18례는 특별한 치료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결 론: 소아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종양성 질환이 진단되었으며, 이들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 내시경 검사는 정확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이고 검사이다.

  • PDF

Expression of CDX2 and Villin in Gastric Cardiac Intestinal Metaplasia and the Relation with Gastric Cardiac Carcinogenesis

  • Xiao, Zhong-Yue;Ru, Yi;Sun, Jiang-Tao;Gao, She-Gan;Wang, Yu-Feng;Wang, Li-Dong;Feng, Xiao-S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247-250
    • /
    • 2012
  • Objective: To determine whether CDX2 and villin protein expression are associated with intestinal metaplasia (IM) in gastric cardiac mucosa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with evolution of gastric cardiac adenocarcinoma (GCA). Methods: We studied 143 gastric cardiac biopsy or resection specimens from Henan province China, including 25 cardiac gastritis specimens with IM, 65 dysplasia specimens with IM and 35 gastric cardiac adenocarcinoma specimens and stained them for CDX2 and villin by the immunohistochemical SP method. 15 normal gastric cardiac biopsy specimens were also collected as control. Results: (1) Normal gastric mucosa presented no CDX2 and villin expression. The positive rates of CDX2 protein in cardiac gastritis with IM, dysplasia with IM, and carcinoma tissues were 84.0% (21/25), 66.7% (32/48) and 36.4% (20/55), respectively. While the positive rates of villin protein in cardiac gastritis with IM, dysplasia with IM, and carcinoma tissues were 76.0% (19/25), 70.8% (34/48) and 45.5% (25/55),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for both CDX2 and villin (P<0.01).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rho) showed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proteins (r=0.843, P<0.01) and both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umor differentiation (both P<0.05), but not associated with age, sex, invasion and metastasis of lymph node (P>0.05).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ectopic expression of CDX2 and villin may be involved in early-stage IM and tumorigenesis in gastric cardia and the expression of villin may be regulated by CDX2.

Ginsenoside Rb1 ameliorates liver fat accumulation by upregulating perilipin expression in adipose tissue of db/db obese mice

  • Yu, Xizhong;Ye, Lifang;Zhang, Hao;Zhao, Juan;Wang, Guoqiang;Guo, Chao;Shang, Wenb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3호
    • /
    • pp.199-205
    • /
    • 2015
  • Background: Ginsenoside Rb1 (G-Rb1), the major active constituent of ginseng, improves insulin sensitivity and exerts antidiabetic effects. We tested whether the insulin-sensitizing and antidiabetic effects of G-Rb1 results from a reduction in ectopic fat accumulation, mediated by inhibition of lipolysis in adipocytes. Methods: Obese and diabetic db/db mice were treated with daily doses of 20 mg/kg G-Rb1 for 14 days. Hepatic fat accumul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liver weight and triglyceride content. Levels of blood glucose and serum insulin were used to evaluate insulin sensitivity in db/db mice. Lipolysis in adipocytes was evaluated by measuring plasma-free fatty acids and glycerol release from 3T3-L1 adipocytes treated with G-Rb1. The expression of relevant genes was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Results: G-Rb1 increased insulin sensitivity and alleviated hepatic fat accumulation in obese diabetic db/db mice, and these effects were accompanied by reduced liver weight and hepatic triglyceride content. Furthermore, G-Rb1 lowered the levels of free fatty acids in obese mice, which may contribute to a decline in hepatic lipid accumulation. Corresponding to these results, G-Rb1 significantly suppressed lipolysis in 3T3-L1 adipocytes and upregulated the perilipin expression in both 3T3-L1 adipocytes and mouse epididymal fat pads. Moreover, G-Rb1 increased the level of adiponectin and reduced that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obese mice, and these effects were confirmed in 3T3-L1 adipocytes. Conclusion: G-Rb1 may improve insulin sensitivity in obese and diabetic db/db mice by reducing hepatic fat accumulation and suppressing adipocyte lipolysis; these effects may be mediated via the upregulation of perilipin expression in adipocytes.

파골세포 분화에 복령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elen in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 천윤희;곽성철;오재민;최민규;김정중;곽한복;이명수;전병훈;문서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0-324
    • /
    • 2012
  • Osteoporosis is an important public health issue in postmenopausal women. It is a major public health concern and is widely believed that osteoporosis results from imbalance between bone resorption and bone formation. Recently natural products from plant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s therapeutic drugs to treat and prevent various diseases. Hoelen (scientific name, Poria cocos) is a mushroom that is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oelen exhib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has a protective effect on tumor progression. However, the effect of hoelen in osteoclast differentiation remains unknown. Thus, we examined the effect of hoelen in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B$ ligand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Hoelen significantly inhibited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 in dose dependent manner without toxicity. Also, we showed that hoele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phatase (TRAP) and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1 (NFATc1) in BMMs treated with RANKL. In Particular, hoelen greatly inhibited the protein expression of NFATc1. Ectopic expression of NFATc1 partially reverses hoelen-mediated inhibi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Taken together,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hoelen may be useful treatment option of bone-related disease such as osteoporosis, reumatoid arthritis, and periodontitis.

NF-κB 신호경로에서 CLK3의 새로운 음성 조절자로서의 기능 (CLK3 is a Novel Negative Regulator of NF-κB Signaling)

  • 전별은;권찬성;이지은;우예린;김상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33-840
    • /
    • 2022
  • 만성 염증은 종양의 발생 및 진행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핵인자 kappa B (NF-κB)는 5개의 전사인자로 구성되며 염증 반응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다양한 암에서 NF-κB의 조절장애가 보고되고 있으며 NF-κB 조절이 암 치료에 있어 핵심 표적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CDC Like Kinase 3 (CLK3)를 NF-κB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는 새로운 키네이스임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CLK3가 정규 및 비정규 NF-κB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하는 것을 밝혔다. CLK3 과발현 또는 knock-down 세포주를 이용한 루시퍼레이즈 분석 결과, 이 키네이스는 TNFα와 PMA가 유도하는 정규 NF-κB 신호전달경로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CLK3 과발현은 잘 알려진 비정규 NF-κB 신호경로 유도제인 NF-κB-inducing kinase (NIK) 또는 CD40에 의한 NF-κB 활성을 저해하였다. 추가적으로 CLK3의 NF-κB 신호전달 저해기전을 설명하고자 TNFα 처리 후 웨스턴 블롯 분석으로 이 키네이스 영향권 내에 있는 NF-κB 신호경로 분자들을 식별하였다. 그 결과 CLK3가 TAK1, IKKα/α, p65, IκBα 및 ERK1/2-MAPK의 인산화/활성화를 저해하여 TNFα 처리로 유도된 NF-κB 및 MAPK 신호경로를 모두 억제함을 밝혔다. 앞으로의 연구는 CLK3가 정규 및 비정규 NF-κB 경로를 억제하는 기작을 밝히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위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CLK3가 NF-κB 신호전달경로의 새로운 음성 조절자로써 기능함을 제시하였다.

Zanthoxylum schinifolium잎의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화학적 조성 및 암세포에 대한 세포자살 유도활성과 그 작용기전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tumor Apoptogenic Activity of Methylene Chloride Extracts from the Leav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 김준석;전도연;우미희;이인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46-554
    • /
    • 2006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는 산초 (Zanthoxylum schinifolium) 잎에 함유된 항암활성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산초잎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 및 세포자살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Methanol,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tanol로 추출한 각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주, estrogen receptor-positive 유방암 세포주 MDA 361과 estrogen receptor-negative 세포주 MDA 438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이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SL-14)에서 주로 확인되었다.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SL-14)의 Jurkat T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의 기전은 mitochondria로부터cytochrome c 방출, 이에 뒤이은 caspase-9 및 caspase-3의 활성화, PARP 분해, jnternucleosomal DNAfragmentation등의 일련의 생화학적 과정을 통해 유도되며 또한 Bcl-xL의 ectopic overexpression에 의해서는 negative regulation되는 세포자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SL-14를 GC-MS 분석하여, 9,19-cyclolanost-24-en-3-ol (15.1%), 2-a-methyl-17, b-hop-21-ene (15.1%), 15-methyl-2,3-dihydro-1H benzazepin (11.95%), phytol (10.38%), lupeol (9.92%), 12-methylbenzofuran (8.23%) 등을 포함한 22가지의 구성성분과 그 조성비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식용 산초잎에 함유된 항암 활성으로서의 세포자살유도 활성의 규명과 이해에 유익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LBCL)에서 microRNA-23b의 잠재적 종양 억제자로서의 효과 (MicroRNA-23b is a Potential Tumor Suppressor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 남제현;김은경;김진영;정다움;김동욱;곽보미;김상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9-154
    • /
    • 2017
  •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DLBCL)은 비호지킨 림프종에서 가장 흔한 형태이다. DLBCL에서 약물치료에 대한 연구가 많은 진전을 보였지만, 아직 많은 환자의 경우 DLBCL로 인한 사망률이 상당하다. 따라서 DLBCL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표적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PDE (인산이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4B는 최근 시행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에서 약제내성을 가지는 DLBCL에서 과발현 되는 유전자로 밝혀졌다. PDE4B의 주된 역할은 이차전달자인 고리형 AMP (cylclic AMP, cAMP)를 5'AMP로의 가수분해를 촉진시켜 cAMP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cAMP는 B 세포에서 세포증식 저해와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PDE4B는 B 세포에서 이러한 cAMP의 기능을 소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DE4B의 과발현이 어떤 기작에 의한 것인지는 연구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적으로 발현된 마이크로 RNA (microRNA, miRNA)가 PDE4B의 과발현에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PDE4B 3'-UTR에는 세 개의 miR-23b 예상 결합부위가 존재하고, 이는 luciferase reporter assay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흥미롭게도, miR-23b 결합 부위들은 인간에서부터 도마뱀에 이르기까지 진화적으로 보존되어 있었고, 이는 세포 생리학적 측면에서 PDE4B-miR-23b 사이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암시하고 있다. miR-23b의 과발현은 PDE4B의 mRNA 발현을 감소시키고 세포내의 cAMP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뿐만 아니라, miR-23b의 발현은 아데닐산고리화효소(adenylyl cyclase)의 활성약제인 forskolin이 처리된 경우에만 DLBCL 세포들의 증식과 생존을 억제하였다. 이는 miR-23b는 PDE4B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증식과 생존을 조절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생각해 볼 때, miR-23b는 PDE4B를 억제함으로써 DLBCL에서 나타나는 항암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고, 따라서 miR-23b는 잠재적 종양 억제자로서 효과적인 치료적 타겟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