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6초

응답 거부와 부재율이 무응답 오차에 미치는 영향: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urvey Refusal and Noncontact on Nonresponse Error: For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 김서영;권순필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3호
    • /
    • pp.667-676
    • /
    • 2009
  • 본 논문은 조사원이 기록한 가구의 현장방문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응답자의 부재(noncontact)와 거부(refusal)가 무응답 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자 한다. 통계 자료의 품질은 무응답률과 무응답 오차에 의해 결정되고, 응답률은 통계자료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척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에서 무응답 유형은 크게 부재와 거부의 형태로 나뉘고, 이들 무응답 유형이 무응답 오차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다. 이에 본 논문은 무응답 유형에 따른 무응답 편향을 측정하고, 무응답 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가구의 무응답 유형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위한 다중대체 방식 연구 (A study on multiple imputation modeling for Korean EAPS)

  • 박민정;배윤종;김정연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5호
    • /
    • pp.685-696
    • /
    • 2021
  • 경제활동인구조사는 고용 관련 통계를 생성하는 국가조사로서, 국민의 경활상태(취업/실업/비경활)를 파악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정확한 통계를 내기 위해 무응답률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고, 이미 발생한 무응답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응답 대체가 가능하다. 경제활동인구조사는 응답 방식이 순차적 흐름을 따라가기 때문에 구조적인 무응답이 존재한다. 또한 전체 가구원내 무응답 항목이 하나라도 있으면 해당 가족 구성원 전체를 무응답 처리하기에 최종 자료에는 항목 무응답이 아닌 단위 무응답만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무응답 이해 및 연계자료를 통한 과거 자료의 활용 등을 통해 기존의 방법보다 효과적인 무응답 대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체 모형의 성능을 일치도/비일치도를 기반으로 평가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1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모의실험을 실시한다. 총 59,996명의 응답자 중 일부를 랜덤하게 선택한 뒤, 경활상태를 판정하는데 결정적인 설명변수 6개와 경활상태를 무응답 처리한다. 기존 무응답 대체 모형에서 사용하였던 설명 변수 이외에 산업변수와 종사상지위 변수를 추가함으로써 모형을 개선한다. 이는 과거자료의 연계 및 활용을 가정한 것으로, 기존의 모형모다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한다. 또한, 경활상태별 무응답자 수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통계청 가구부문 조사의 표본설계 (Redesigning KNSO s Household Survey Sample)

  • 윤연옥;김규영;이명호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5권1호
    • /
    • pp.103-130
    • /
    • 2004
  • 통계청에서 매월 실시하는 주요 가구부문 경상조사에는 경제활동인구조사와 가계조사가 있다. 이 두 조사의 표본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표본틀로 하여 5년마다 개편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를 바탕으로 2002년에 실행한 표본개편에 관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이번 표본개편의 주요 개선사항으로는 연동표본(Rotation Sampling)의 도입, 도시가계조사를 전국가계조사로의 확대, 고용통계의 소지역통계 생산을 위한 기반마련이다. 또한 조사구 내의 표본가구수를 24가구에서 20가구로 축소하고, 표본 조사구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정도 높은 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대표성 있는 표본조사구 추출을 위한 분류지표 선정 과정에서는 지역별로 대표성이 높은 분류지표를 선정하여 대표성 있는 표본을 추출하는 데 기여하였다.

  • PDF

반복실업(反復失業)과 실업(失業)의 장기화(長期化) (Recurrent Unemployment after the Economic Crisis)

  • 이병희
    • 노동경제논집
    • /
    • 제23권1호
    • /
    • pp.1-25
    • /
    • 2000
  • 본 연구는 "경제활동인구조사"(통계청)를 패널화하여, 경제위기를 전후한 실업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경제위기 이후 실업을 경유한 노동이동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업경험자의 3분의 1은 2회 이상의 실업상태를 되풀이하는 반복실업(recurrent unemployment)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반복실업 경험자는 사실상의 장기실업상태를 경험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특히 제도화된 사회적 보호수준이 미약한 상태에서는 단기간의 취업과 실업을 빈번하게 이동하는 반복실업이 실업 장기화의 주요한 현상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Logistic Regression Type Small Area Estimations Based on Relative Error

  • Hwang, Hee-Jin;Shin, Key-Il
    • 응용통계연구
    • /
    • 제24권3호
    • /
    • pp.445-453
    • /
    • 2011
  • Almost all small area estimations are obtained by minimizing the mean squared error. Recently relative error predic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and adapted to small area estimation. Usually the estimators obtained by using relative error prediction is called a shrinkage estimator. Especially when data set consists of large range values, the shrinkage estimator is known as having good statistical properties and an easy interpretation. In this paper we study the shrinkage estimators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type estimators for small area estimation. Some simulation studies are performed and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data of 2005 is used for comparison.

한계노동력 경제활동참가 형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Activities of Marginal Labor Force)

  • 윤희숙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7권2호
    • /
    • pp.155-203
    • /
    • 2005
  • 경제활동참가 증진을 위해서는 노동시장에의 참여나 잔류를 어렵게 하는 요인들을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별 인구그룹들의 이질적인 노동시장 참가 양태에 대한 관찰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고는 경제활동인구조사로부터 구성한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경제활동상태 간을 이동하는 양태, 지속기간, 산업 간 및 종사상지위 간 이동방향 등을 한계노동자그룹별로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경제활동상태 변화의 빈도를 다항로짓 분석(Multinomial logit)을 통해 경제활동상태 변화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파악하였다.

  • PDF

비정규직 고용의 규모와 특성 그리고 정책대안의 방향 (The Estimated Size and Characteristics of Irregular Employment Work Force, and the Alternatives against Discrimination)

  • 원인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3권
    • /
    • pp.141-162
    • /
    • 2003
  • This article discusses the issues of the estimated size and characteristics of irregular employment work force in Korea after IMF economic crisis in 1997. The issues of the estimated size of irregular employment work force originated from different concepts and its operationalizations among the labor economists, despite their utilization of the same labor force data,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EAPA)' collected from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KNSO). And the issues contribute toward the understandings of the irregular employment and the limits of the EAPA, despite its various usefulness. This article also describes the summary characteristics of irregular employment work force from both sides of labor supply and its demand.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irregular employment work force on the labor supply side appears in the concentration of social minorities, i.e. woman, the aged, lower educated and skilled populations. On the labor demand of irregular employment work force, the majority of it concentrated on the establishments under 10 employees, and probably the important incentives for irregular employment work force of the firms is labor cost efficiency. Finally, this article propose an alternative against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regular and irregular work force.

  • PDF

청년층의 입직 및 이직 실태와 해소방안 탐색 (Exploration on the Youth Employee's Labor Mobility)

  • 이석열;박철우;이미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30-45
    • /
    • 2014
  • Using the data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nd GOMS, we analyze youth employee's labor mobility. We found the causes of the youth employee's labor mobility as follows: work environment, salary, enterprise's vision, job satisfaction, job mismatching, organizational culture, mismatching of work and housing and so on. On the basis of results, we proposed a step by step solutions. The resulting policy implication is that rather than raising job finding rate of the unemployed youths, we need to focus more on reducing job mismatching.

Small Area Estimation Techniques Based on Logistic Model to Estimate Unemployment Rate

  • Kim, Young-Won;Choi, Hyung-a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1권3호
    • /
    • pp.583-595
    • /
    • 2004
  • For the Korea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EAPS), we consider the composite estimator based on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unemployment rate for small areas(Si/Gun). Also, small area estimation technique based on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is proposed to include the random effect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 of the small areas. The proposed estimation techniques are applied to real domestic data which is from the Korean EAPS of Choongbuk. The MSE of these estimators are estimated by Jackknife method, and the efficiencies of small area estimators are evaluated by the RRMSE. As a result, the composite estimator based on logistic model is much more efficient than others and it turns out that the composite estimator can produce the reliable estimates under the current EAPS system.

Searching for the Cause of the Gender Gap in Employment Losses during the COVID-19 Crisis

  • KIM, JIYE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3권2호
    • /
    • pp.53-79
    • /
    • 2021
  • The recession caused by the COVID-19 crisis has features that could disproportionately harm female employment. Risk of infection and social distancing measures may have disrupted jobs in face-to-face industries, which have traditionally hired more women than men. School closures and a consequent increase in childcare and homeschooling demands may have discouraged labor market participation by working mothers. Using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 examine how female employment was affected by each factor. I find that the gender gap in the Employment to Non-participation (E to N) transition rates is twice as large as the gap in the Employment to Unemployment (E to U) transition rates. Women's overrepresentation in the face-to-face industries accounts for most of the gap in the E to U transition but only a third of the gap in the E to N transition. The rise in non-participation is especially pronounced among married women aged 39-44, the group most likely to have elementary-school-age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