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boomer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세대 간 가계 자산구성 및 주택자산의 투자 성향 분석 - 수도권 거주 베이비부머와 에코세대를 중심으로 - (Generational Divides of Household Wealth and Propensity to Invest in Housing Asset - Baby-boomers and Eco-boom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 이현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109-11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generational distinctions of housing investment and household wealth for two different age cohorts - 'baby-boomers' and 'eco-boomers'. In so doing, national survey data of two different periods were analyzed and the primar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ggregate assets of both generations have risen, and the rising household debt for baby-boomers was related to loans for living expenses while eco-boomer's debt was ascribed to home-buying loans. In the midst of economic slowdown, the age cohorts had conservative asset allocation in preference for risk-averting investment like savings. The main purpose of saving and investment was distinctive across the groups? retirement for baby-boomers and home purchase for eco-boomers. Both groups prioritized reduction of household liabilities and also were cautious on investing in real estate. Still home-buying wa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driver for asset accumulation. While baby-boomers were unwilling to dispose any form of owned real estate, eco-boomers found it challenging to take on a long-term investment like home-buying, especially in economic uncertainties. Rather the young generation would diversify asset allocation with better-returning investment commodities like stocks, bonds and derivatives.

독거 베이비부머와 에코부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Depression of Baby boomers and Echo-boomers who Live Alone)

  • 최소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01-207
    • /
    • 2021
  • 본 연구는 독거 중고령자와 청년의 고독사나 자살 등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사회적 고립의 가능성이 큰 독거 베이비부머와 베이비부머의 자녀 세대에 해당되는 독거 에코부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두 집단 간 비교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2020한국복지패널 1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1955-1963년생인 독거 베이비부머와 1979-1992년생인 독거 에코부머의 자료로 독립표본 t-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거 베이비부머는 에코부머 세대에 비해 교육, 소득, 건강 상태가 낮은 수준이었으며 우울 수준은 높은 반면 자아존중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두 집단 모두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그 영향은 베이비부머(Adjusted R2 .259)가 에코부머(Adjusted R2 .083)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거 중고령자와 청장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융복합시대 에코부머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궤적과 예측요인 (Job Stress Trajectories of the Eco-boomer Generation in the Convergence Era and Predicting Factors)

  • 손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05-409
    • /
    • 2017
  •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를 통하여 융복합시대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변화궤적을 추정하여 예측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직업 스트레스 정도와 그 변화 따라서 개인의 경험하는 직업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사회 중심이 될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부담 완화를 위한 사회복지 개입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종단연구로서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 7차년도 데이터를 잠재성장모형(LGM)을 적용하여 분석 하였다.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예측요인을 확인한 결과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 에코부머 세대의 경우 초기 측정시점이 대부분 학생에 해당되어 직업 스트레스의 수준이 덜했으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직업에 대한 부담이 점차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또한 그 변화의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베이비붐 부모세대의 가족건강성과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에 대한 인과모형분석 - 대학생 자녀를 중심으로 - (A Causal Model Analysis of the Family Health of Baby Boomer Parents and the Marital Preparation Skill of Eco-Boomer Children - Focusing on College-Aged Students -)

  • 이성훈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9-111
    • /
    • 2013
  • 본 연구는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에 베이비붐 부모세대의 가족건강성이 원인변인임을 밝혀내어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의 건강성을 높이기 위한 사전예방 차원에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결혼생활준비기술을 높이기 위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모세대가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출생하였으며, 대학생인 자녀세대가 1992년 이전 출생에 해당하는 475부를 SPSSWIN 18.0 프로그램과 LISREL 8.5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 중 저축, 소비하는 재정관리기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세대가 지각한 베이비붐 부모세대의 가족건강성은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에 대한 원인변수임이 밝혀졌다. 특히 가족건강성은 결혼생활준비기술 중 부모역할기술과 갈등해결기술, 부모준비기술에 대한 영향이 컸으며 상대적으로 재정관리기술에 대한 영향은 낮게 나타났다.

  • PDF

1인 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The Leisure behaviors of single households in Korea : A generational analysis)

  • 정영금;윤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4호
    • /
    • pp.1-15
    • /
    • 201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isure behaviors of single households in Korea on the basis of generation, and identify leisure characteristics or factors that influence levels of happiness in these households. The sample comprised 1,144 single householders, among whom 74 belong to the teenage generation, 288 are of the eco generation, 154 belong to generation X, 104 are baby boomers, and 524 are of the older generation. Various leisur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cross the generations, namely, conditions for leisure, degree of leisure participation, level of work-leisure balance, persistence of participation, and type of activity.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leisure characteristics and leisure factors that influence levels of happiness among the gene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