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o Welfare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초

생태계서비스 기반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정립 및 정책방향 설정 (Concept and Policy Developments on Eco-welfare of National Parks based on Ecosystem Service)

  • 박은하;최수정;오충현;정부희;이나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1-270
    • /
    • 2016
  • 생태복지는 인간의 복지와 건강한 생태계의 상호관계성에 대한 국제적 담론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이 생태복지의 최대 실현가능 지역이라는 점에서 국립공원에 적합한 '국립공원 생태복지' 개념을 정립하고 정책방향을 설정함으로써 향후 국립공원에서의 생태복지 실현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전워크숍과 총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립공원 생태복지'는 국립공원에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과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며, '국립공원 인간복지'와 '국립공원 생태계복지'의 조화를 지향하는 복지로 정의되었다. 2차 델파이 결과 모든 항목에서 평균 4.00 이상, 내용 타당도(CVR) 0.37 이상, 변이계수(CV) 0.5 미만으로 타당한 내용으로 확인되었다.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정책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생태복지의 바탕이 되는 생태계서비스의 요소들 중 국립공원에 적합한 주요 요소를 도출한 결과 공급서비스에서 먹이 식량, 물, 유전자원 3항목, 조절서비스와 기반(서식지)서비스의 모든 항목, 문화서비스에서 미적정보, 휴양관광, 심신치유, 지식체계 교육적 가치 4항목이 최종 도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생태복지의 개념과 향후 국립공원 생태복지 정책이 어떻게 나아가야할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단위사업에 대한 실행계획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노인의 환경친화적 가치관과 관련변인분석 (The Analysis of Eco-friendly Values and Related Variables of the Elderly)

  • 조명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4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o-friendly values of the elderly.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survey the eco-friendly levels of the elderly, 2) to find out related variables of the eco-friendly values of the elderly 3) to suggest to develop the eco-friendly values of the elderly for volunteer activity of environmental problem solutions. Two hundred eight elderly persons in the region of Cheong-ju(Chung-cheong Buk Do) were selected, and questionnaire was utilized for collecting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co-friendly levels of the elderly were relatively high and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health status, religion, participating volunteer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the eco-friendly values of the elderly were educational level, health status, religion, participating volunteer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oluntarism of the elderly provides the solution of environmental problem and life satisfaction, self development for the elderly.

  • PDF

융복합시대 에코부머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궤적과 예측요인 (Job Stress Trajectories of the Eco-boomer Generation in the Convergence Era and Predicting Factors)

  • 손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05-409
    • /
    • 2017
  •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를 통하여 융복합시대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변화궤적을 추정하여 예측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직업 스트레스 정도와 그 변화 따라서 개인의 경험하는 직업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사회 중심이 될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부담 완화를 위한 사회복지 개입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종단연구로서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 7차년도 데이터를 잠재성장모형(LGM)을 적용하여 분석 하였다.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예측요인을 확인한 결과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 에코부머 세대의 경우 초기 측정시점이 대부분 학생에 해당되어 직업 스트레스의 수준이 덜했으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직업에 대한 부담이 점차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또한 그 변화의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 상관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생태체계적 접근-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psychosocial maladjustment -from the eco-systemic perspective-)

  • 김예리;임경수;김현수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165-193
    • /
    • 2016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으로 개인, 가족, 학교, 지역사회 수준에서 고찰하였다. 1999년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 중 선정기준에 따라 총 36편이 선정되었고, 외현화 문제관련 21개변인 65개 데이터, 내재화 문제관련 22개변인 70개의 데이터가 최종 메타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 관련 아동 개인요인 중 스트레스 대처방식, 가족요인 중에는 가족의사소통, 학교요인 중에서는 학교적응, 지역사회요인 중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 만족정도가 가장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반면, 내재화 문제와 관련해서는 아동 개인요인 중 아동의 기질, 가족요인 중 부모가족과의 관계, 학교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 지역사회요인 중 사회적 지지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군별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외현화, 내재화 문제 모두 개인 > 가족 > 학교/지역사회 요인군 순으로 평균효과크기가 나열 되었다. 또한 요인군별 이질성에 대해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농업 ${\cdot}$ 농촌 환경변화에 따른 농촌여성 복지 지원 전략에 관한 연구;진주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Welfare Supporting Strategies for Rural Women;A Case of Jinju City)

  • 김경미;박경철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9권1호
    • /
    • pp.101-11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problems of rural women in changing rural society and environment in Korea, to search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s, and propose strategies for improving rural women's welfare. Related literatures and existing data were reviewed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s, social-economic status, and economic activities of rural women in Jinju city, Gyeongsangnam-Do province. Jinju city had relatively higher percentage of farming people and rural women than other cities's of Gyeongsangnam-Do, and agriculture occupied important portion in industrial sector in the area. According to the Jinju 21C Vision Project, the city was planning to build eco-friendly environment and welfare rural society. To achiev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project,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sidered: 1) Success of the project may depend on how to motivate and support rural women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project. 2) Jinju city should set up some practical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status of rural women who take key roles in environment and agriculture. 3) The city should establish strong support system and practical programs for rural women in building eco-friendly Jinju city.

  • PDF

교사 산림교육 직무연수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Forest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 이윤주;하시연;최선혜;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3호
    • /
    • pp.341-349
    • /
    • 2020
  • 본 연구는 2017년 8월 국립횡성숲체원에서 진행된 교원 산림교육 직무연수에 참가한 유치원 및 초·중·고등학교 교사 46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직무연수 참여 전과 후에 교사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교수태도, 교사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여,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사효능감과 관련해 교사의 자신감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실질적인 교수역량 개발을 위한 연수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환경감수성과 자연친화적 태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산림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보다 효과적인 직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친환경소비행동 집단 간 내적동기, 외적동기와 환경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Environmental Knowledge in the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between Groups)

  • 유두련;김년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6호
    • /
    • pp.151-166
    • /
    • 2012
  • The major findings are(were) as follows: 1) The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 was divided into three(3) clusters, namely "The Middle Group" of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cluster I), "The Inferior group" of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cluster II), and "The Excellent Group" of eco-friendly consumption behavior(cluster III). 2)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mong the three clusters were founded on the experience of green consumption information and sources of information. 3)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I(The Middle Group) were(are) found to be eco-conscious, and aware of the consequences of behaviors, green market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issues. This cluster was the middle-average group.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III(The Excellent Group) were(are) found to have the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s, being aware of the social norms of the reference group, having an awareness of eco-institutional conditions, being knowledgeable about environmental policy, and finally, being personally involved in green consumption behavior. This cluster was the high-average group, whereas cluster II(The Inferior Group) was the low-average group.

독거 베이비부머와 에코부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on Depression of Baby boomers and Echo-boomers who Live Alone)

  • 최소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01-207
    • /
    • 2021
  • 본 연구는 독거 중고령자와 청년의 고독사나 자살 등이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는 가운데 사회적 고립의 가능성이 큰 독거 베이비부머와 베이비부머의 자녀 세대에 해당되는 독거 에코부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두 집단 간 비교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2020한국복지패널 1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1955-1963년생인 독거 베이비부머와 1979-1992년생인 독거 에코부머의 자료로 독립표본 t-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거 베이비부머는 에코부머 세대에 비해 교육, 소득, 건강 상태가 낮은 수준이었으며 우울 수준은 높은 반면 자아존중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두 집단 모두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그 영향은 베이비부머(Adjusted R2 .259)가 에코부머(Adjusted R2 .083)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거 중고령자와 청장년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와 환경친화적 소비행동 연구 (A Study on the Consumption Value and Environment-FriendlyConsumption Behaviors of Adolescent Consumers)

  • 오진숙;김정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0호
    • /
    • pp.13-2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and consumption value of adolescent consumer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knowledge, environment and experience, perception of environment, the awareness of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nsumption value on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behaviors of them. The data were collected by 999 adolescent consumers in Jeju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12.0 Program . The results are as follows. Economy had the most cause and effect influence on environment-friendly purchasing behaviors, followed by experience of environmental activities, eco-friendliness, esthetic sense, enjoyment, and awareness of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garding the environmentfriendly consumer behavior, economy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llowed by eco-friendliness, awareness of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experience of environmental activities, environmental knowledge and monthly average allowance. Eco-friendliness had the most cause and effect influence on environment-friendly disposal behavior, followed by awareness of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economy and experience of environmental activities.

윤리소비신념이 친환경 인조피혁 의류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소비자 효율 및 의류환경지식의 매개효과 (Impacts of Ethical Consumption Beliefs on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s and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Apparel Environmental Knowledge)

  • 정혜정;오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5-137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ual constructs of ethical consumption beliefs and their impacts on the consumer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goods. The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apparel environmental knowledge were examined in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onsumer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subsequently, 300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1)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test on ethical consumption beliefs clearly showed factorial structures that include Social Responsibility, Eco-friendly Consumption, Animal Welfare, and Individual Enhancement. 2) The results of the mean scores of ethical consumption beliefs showed that respondents tended to consider Social Responsibility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three factors. Ethical consumption belief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s; in addition, Social Responsibility had the highest effect on product attitudes among the four factors of ethical consumption beliefs. 3) The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environmental knowledge of apparel had important medic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onsumption beliefs and attitudes towards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s. This study highlighted a potential marketability of eco-friendly faux leather apparel products and that ethical consumption beliefs,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and apparel environmental knowledge should be promoted among consumers to increase favorable attitudes towards these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