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ern lowlan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8초

NUMERICAL SIMULATION OF 1993 TSUNAMI FLOODING ONTO AONAE DISTRICT, OKUSHIRI ISLAND

  • Yamashita, Takao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3-6
    • /
    • 1996
  • On July 12, 1993, a large earthquake (M=7.8) occurred off the south-west of Hokkaido, Japan. The tsunami generated by this earthquake caused a disaster which took a heavy toll of lives, more than 200 persons dead, by the flooding of tsunami in the area of Aonae district in Okushiri island. Investigation after the disaster made clear that southern lowland was flooded by the tsunami coming from west about 5 min after the shock and the second tsunami from the east attacked eastern lowland of the Aonae District about 10 min after the shock. (omitted)

  • PDF

Stability Analysis for Grain Yield of Lowland Rice for the Largest Rice-Growing Region of Eastern india

  • Bose, L.K.;Mohanty, A.;Kar, M.K.;Nagaraju, 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6-140
    • /
    • 2004
  • Twenty-one lowland rice genotypes were evaluated for their stability parameters with respect to grain yield in a multi locational trial at five different sites of Eastern India viz. CRRI, Cuttack (Orissa); OUAT, Bhubaneswar (Orissa); CRS, Masodha (UP); RAU, Pusa (Bihar) and RARS, North Lakhimpur (Assam). Pooled analysis of variance reflects existence of genotype x environment interactions and contribution of both linear and nonlinear components to genotype (G) x environment (E) interactions. Through stability parameter analysis it was found that Rayda $\textrm{B}_3$, CR 778-95 and CR 661-236 were suitable for over all environments where as Sabita, OR 1334-16 and OR 1358-RGA-4 were suitable for rich environments. PSR 1209-2-3-2, CR 780-1937, Ambika, OR 877-ST-4-2 and CR 662-2211 were identified for poor environments.

한반도 후빙기의 저지대 식생사 (The Post-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Lowland in Korean Peninsula)

  • 최기룡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2호
    • /
    • pp.169-174
    • /
    • 1998
  • This is the review of vegetational history of the post-glacial period in Korea. most of studies for vegetational changes are located in the lowland alluvial plain, especially below the hilly zone of western and eastern coastal regions of Korea. A couple of methods, pollen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have been employed in these studies. These results lead us to establish the pollen zonation in Korea as the followings. Yasuda et al.(1980) classified six period in Yongrang lake of sokcho. These are as follow I. 17,000-15,000yr B.P.: Picea, Abies, Pinus(Haploxylon), Larix stage, II.15,000-10,000yr B.P:Herb, Pteridophyta stage, III.10.000-6,700yr BP.:Quercus stage, IV.6,700-4,500yr B.P.:Pinus, Quercus, Carpinus stage, V.4,500-1,400yr B.P.:Quercus. Pinus stage, VI.1,400yr B.P.-present: Pinus, Herbs stage. Jo(1979) also divided the period into two stages from the outcomes of analysis done in Jumoonjin and other sites I.10,000-6,000yr B.P.:Quercus stage, II.6,000-present: Pinus-Quercus stage, and three substages: IIa.6,000-3,400 yr B.P.:lower Pinus stage, IIb.3,400-2,000yr B.P.:Pinus-Quercus stage, IIc.2,000-present: Pinus stage. Choi(1993, 1996) divided the period into three stages: I.6,000-5,000yr B.P.:Alnus, Quercus stage, II.5,000-4,000yr B.P.: Alnus, Quercus, Pinus stage, III.4,500-2,600yr B.P.: Alnus, Pinus stage. In the period around 6,000yr B.P. distinct dominant species clearly occupied the lowland of the eastern and western coasts. Thus, this strongly supports the fact that even if Korea experienced its warm and wet climate after the lateglacial, it underwent a different environmental change, dry climate, compared to the regions of Japan.

  • PDF

제주도의 지질과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 (I): 동부지역 저지대 시추코어 화산암류의 암석화학 및 $^{40}Ar/^{39}Ar$ 절대연대 (The Study on Geology and Volcanism in Jeju Island (I): Petrochemistry and $^{40}Ar/^{39}Ar$ Absolute ages of the Subsurface Volcanic Rock Cores from Boreholes in the Eastern Lowland of Jeiu Island)

  • 고기원;박준범;박윤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1호
    • /
    • pp.93-113
    • /
    • 2008
  • 제주도 동부 저지대 (해발 200m 이내), 한동-종달-우도-수산-삼달-하천 지역의 20개 시추공에서 얻어진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특징과 $^{40}Ar/^{39}Ar$절대연대를 보고하고, 이에 근거하여 이 지역의 지형형성과 화산활동에 대해 고찰한다. 이 지역의 지하에 분포하는 화산암류는 주로 현무암류(알칼리 현무암, 전이질 현무암, 솔리아이트질 현무암)와 솔리아이트질 안산암 및 현무암질 조면안산암으로 구성된다. 솔리아이트질, 전이질 및 알칼리암류가 서로 호층을 이루어 분포하는 것은 이 지역에서 이들 화산활동이 동시에 일어났었음을 지시한다. 특히, 조면현무암 혹은 현무암질 안산암이 이 지역의 기저부에 분포하는 점은 비교적 분화된 알칼리 화산활동이 먼저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의 $^{40}Ar/^{39}Ar$ 절대연대는 최고 $526{\pm}23Ka$에서 최저 $38{\pm}4Ka$이다. 동부 지역 저지대에서 용암류의 분출과 같은 하와이형 화산활동은 퇴적층의 관계, 화산암류의 전암 화학성분 및 $^{40}Ar/^{39}Ar$ 절대연대의 변화로 부터 다섯 단계로 구분된다. 즉, 서귀포층이 퇴적할 동안의, I-U기$(550{\sim}400Ka)$, II기$(400{\sim}300Ka)$, III기$(300{\sim}200Ka)$와 퇴적 이후 IV기$(200{\sim}100Ka)$, V기(100Ka이후)이다. 화산암류의 성분 변화 및 분포 지역의 차이 그리고 이들 시기 간에 분포하는 다양한 퇴적층(수성화산기원퇴적층 포함)의 존재는 화산활동이 오랜 기간 동안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저지대의 육지지형이 화산활동 및 퇴적작용에 의해 내륙에서 해안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면서 만들어졌음을 지시한다. 특히 시추코어 화산암의 $^{40}Ar/^{39}Ar$ 절대연대 자료는 제주도 동부 저지대 지역 대부분이 IV와 V 화산활동기 동안 분출된 200Ka 이내의 비교적 젊은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음을 지시한다. 이는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 및 지형 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는 상이한 결과이며, 화산암류의 K-Ar절대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한 기존의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 구분이 재고되어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추공에 근거한 화산 층서의 해석은 암석기재, 암석화학적 특징과 함께 절대연대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Cytotype distribution and ecology of Allium thunbergii (= A. sacculiferum) with a special reference to South Korean populations

  • SHUKHERDORJ, Baasanmunkh;JANG, Ju Eun;DUCHOSLAV, Martin;CHOI, Hyeok Ja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78-288
    • /
    • 2018
  • Polyploidiz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generating the current high diversity of plants. Studies of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diploid and derivative polyploid races have provided important insights into the evolutionary process and cryptic speciation by polyploidization within and between closely related taxa defined on the basis of their morphology. Allium thunbergii and A. sacculiferum, occurring throughout eastern Russia, eastern China, Korea, and Japan, are examples of closely related species with unsolved taxonomic relationships. A total of 97 and 65 individuals from 26 and 13 populations of A. thunbergii (including var. thunbergii, var. deltoids, and var. teretifolium) and A. sacculiferum, respectively,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ir ploidy. The geographic structure and habitat differentiation of the cytotypes were also analyzed. The main cytotype of A. thunbergii was diploid (92.3% in total; the rest were tetraploids). In contrast, the majority of A. sacculiferum plants were tetraploids (69.2% of the total; the rest were diploids). No populations of the studied taxa harbored both cytotypes. Allium thunbergii was more often found at higher elevations than A. sacculiferum, and it tended to occur more frequently on rocky slopes and below forests in mountainous areas. On the other hand, A. sacculiferum occurred at forest margins and in lowland pastures. The cytotypes differed with respect to the elevation; diploids were found more frequently at higher elevations than tetraploi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additional biosystematics data indicate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thunbergii and A. sacculiferum may be influenced by polyploidization and by their adaptation to various habitat conditions and that A. thunbergii and A. sacculiferum do not clearly fulfill the requirements of any species concept. Consequently, we propose that A. sacculiferum be considered as an additional synonym of A. thunbergii. Additionally, Allium thunbergii var. deltoides is unified into A. thunbergii var. thunbergii.

Intergenerics Nuclear Transfer Technology for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 Lee, B.C.;S.K. Kang;J.K. Cho;B. Bavister;W.S. Hwa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56-62
    • /
    • 2002
  •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 considers the western/lowland bongo Tragelaphus eurycerus eurycerus to be a threatened species, and the eastern/mountain bongo Tragelaphus eurycerus isaaci an endangered species[1]. Although extinction is considered by many biologists to be a natural process during evolution, the exponential growth of the human population has drastically and prematurely reduced the numbers and genetic diversity of many species[2]. Species have evolved to adapt to a specific habitat or environment that meet their survival needs. Alteration or destruction of their habitat results in a species becoming incapable of adapting and hence becoming threatened with extinction. A widespread scientific and public consensus has emerged suggesting that governments should assign high priority to the maintenance of biological diversity via habita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far species conservation[3]. Unfortunately, the loss of biological diversity far surpasses the available conservation resources and species are lost forever on a daily basis[4]. Notwithstanding the focus on habitat preservation and wildlife management, conservation biologists have also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using the technologies of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to help manage or rescue endangered species[5].

  • PDF

백제 후기 익산도성 조영계획모델에 대한 도성계획사적 해석 (Restoration of Iksan Imperial Capital City Structure and Construction Model in Late Baekje from the Point of Ancient Capital City Planning)

  • 이경찬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3호
    • /
    • pp.31-41
    • /
    • 2015
  • This study aims to draw out planning principles and structure of Iksan imperial capital city in late Baekje, especially in view of the relationship among imperial capital city planning area, skeletal axis and the location of royal castle. With site survey and analysis of historical records, old maps, topographical maps, archeological excavation data, land registration map of 1915, some significant inferences were drawn out. Firstly from the point of topological conditions, the contiguous line of a stratum from Mireuk mountain(彌勒山) to Wangkung-ri castle(王宮里遺蹟) and two waterways made a topological axis of Iksan Imperial capital city. Secondly district of Iksan imperial capital city can be deduced to the inner area north to Kummado soil wall(金馬都土城), south to the confluence of Iksan river(益山川) and Busang river(扶桑川), west to Okum mountain fortress(五金山城) and Galjeon river(葛田川), east to line near to eastern wall of Jesuksa temple(帝釋寺). Iksan ssang-reung(益山雙陵) was located outside western boundary line of capital city. Thirdly axis from Wangkung-ri castle to northern Kummado soil wall made a skeletal axis of city structure. It got through northern lowland along Buk river(北川) between Yonghwa(龍華山) and Mireuk mountain. Fourthly the location of royal palace can be deduced to the north part of the city around Kumma town area along the planning principle of northern royal palace.

한국과 일본의 동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산림군락의 종조성과 분포에 관한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in Korea and Japan around the East Sea)

  • 윤종학;허크시마 터카사;김문홍;요시카와 마사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7-357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에 분포하는 산림군락의 분포와 종조성에 관한 비교연구이다. 식생조사 자료 1844를 이용하여 79개 산림군락을 식별하였으며, 54개 종군으로 구분되어 조사지역 간의 종조성의 유사성과 이질성을 나타냈다. 또한, 산림군락의 상관을 나타내는 구성종의 특징에 따라 14개 산림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조사지역의 수직적 식생대는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지만 지역 간 서로 다른 우점종과 종조성 차이를 나타냈다. 저지대에 구실잣밤나무 또는 메밀잣밤 나무를 우점종으로 하는 모밀잣밤나무속-산림형(Castanopsis-Type)은 한반도 북부와 울릉도를 제외한 조사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후박나무-산림형(Persea thunbergii-Type)은 조사지역의 전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구릉대에 분포하는 일본젓나무-산림형(Abies firma-Type)의 상록수림은 큐슈북부와 쓰시마섬에 분포하고 있다. 산지대에 참나무속(활)-산림형(Quercus(D)-Type)과 너도밤나무속-산림형(Fagus-Type)으로 구성된 낙엽활엽수림은 조사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지만, 신갈나무와 너도밤나무가 우점하는 산림군락은 한국에 분포하며, 물참나무, Fagus crenata(일명: 부나), Fagus japonica(일명: 이누부나)가 우점하는 산림군락은 일본에 분포하고 있다. 아고산대에서는 전나무속-참나무속(활)-산림형(Abies-Quercus(D)-Type), 구상나무-산림형(Abies koreana-Type), 눈잣나무-산림형(Pinus pumila-Type)이 한반도와 제주도에 분포하고, 주목-산림형(Taxus cuspidata var. nana-Type), Abies mariesii-Type(일명: 아오모리토도마츠-산림형), 눈잣나무-산림형(Pinus pumila-Type)은 일본 중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DCA 분석결과, 제1축에 대하여 낮은 수치에서부터 상록활엽수림, 낙엽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이 배치되었다. 또한, 지역적으로는 제1축의 낮은 수치에서 부터 일본 산림형, 제주도 산림형, 한반도 산림형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었다. 기후요인 중 온량지수와 연교차는 제1축에 대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해양성 기후에서 대륙성 기후를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온난한 저해발, 저위도 지역에 분포하는 산림형일수록 산림군락간의 종조성적 유사성이 크며, 이에 반하여 지리적으로 격리되어 있으며, 고위도, 고해발지역에 분포하는 산림형일수록 산림군락간의 종조성의 차이가 뚜렷하고 산림군락의 종조성적 독립성이 강하였다. 이러한 형성요인은 오랫동안의 각 지역의 지사적(地史的)인 식물상의 구성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daimojiOkumura, 1949)의 서식지 특성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분포 예측 (Habitat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for Macromia daimoji Okumura, 1949 (Odonata: Macromiidae))

  • 권순직;권혁영;황인철;이창수;김태근;박재흥;전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1-31
    • /
    • 2024
  • 우리나라는 노란잔산잠자리(M. daimoji Okumura, 1949)를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고, 국가적색목록 평가에서 위기(EN)로 등재하였다. 이들은 주로 동북아지역에 서식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위도상 사천시(35.1°)부터 연천군(38.0°)까지, 경도상 연천군(126.8°)부터 양산시(128.9°)까지 관찰되었다. 서식지는 저지대의 평지하천에 하상재료가 모래로 이루어져 있고, 유속이 완만한 하천의 가장자리와 하중도의 가장자리, 하천 구역에 일시적으로 형성된 웅덩이를 선호한다. 노란잔산잠자리 출현 지점에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는 낙동강 본류의 경우 서식지에 따라 군집 조성의 차이가 적었고, 지류의 경우 주변 환경과 하천의 규모에 따라 낙동강 본류보다 군집 조성의 차이가 컸다. 현재 분포지역을 토대로 MaxEnt 모델을 이용하여 잠재적 분포를 예측한 결과, 낙동강 본류와 지류에 서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환경변수 중 기여도는 BIO03(36.2%), BIO10(15.8%), BIO14(13.8%), BIO12(12.5%), BIO08(6.1%) 등의 순으로, 모형에 대한 중요도는 BIO10(43.7%), BIO14(14.6%), BIO17(13.78%), BIO13(9.8%), BIO02(6.7%), BIO18(5.2%) 등의 순으로 높았다. 노란잔산잠자리의 공통사회경제경로를 통한 미래 분포 예측에 있어서 재생에너지 기술 발달로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한 SSP1은 서식가능지역이 넓은 범위에서 확대되었으며 산업기술의 빠른 발전에 중심을 두어 화석연료 사용이 높고 도시 위주의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될 것을 가정한 SSP5는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들의 서식지는 하천공사, 골재채취 등과 같은 물리적 환경변화와 강우 강도의 증가에 의한 홍수 등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노란잔산잠자리 보호를 위해서는 생태계 환경변화관찰을 위한 장기적인 모니터링 수행과 개체군 유지를 위한 보전방안 수립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