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 Palac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6초

월지궁(月池宮) 관련 자료 재검토 - 동궁(東宮)은 태자궁(太子宮)이 아니다 - (Reexamination on Materials related to Wolji Palace - East Palace is not the Crown Prince's Palace)

  • 최영성
    • 동양고전연구
    • /
    • 제55호
    • /
    • pp.173-192
    • /
    • 2014
  • 1975년 3월부터 1976년 12월까지 계속된 안압지 발굴을 통해 안압지일대가 7세기 이래 동궁(東宮)이었으며, 또 1980년 발굴을 통해 동궁이월지궁(月池宮)이었음이 밝혀졌다. 안압지의 본래 이름이 '월지'라는 사실이 발굴을 통해 증명된 것이다. 학계에서는 이곳이 동궁으로 불렸다는 이유를 들어 태자궁으로 인식하는 학자가 많다. 동궁이 태자궁의 별칭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곳은 '독립된 전용 공간'으로서의 태자궁일 수 없다. 7세기 이후 신라에서는 월성(月城)의 정궁(正宮) 이외에도 동궁 남궁 북궁 및 양궁(壤宮) 등 별궁(別宮)이 있었다. '동궁'은 '동쪽에 있는 궁궐'이다. 그 위치를 가지고 붙인 이름이지 태자궁을 일컫는 말이 아니다. 이 글에서는 월지궁 관련 여러 문헌 자료를 새롭게 분석하여 동궁이 태자궁일 수 없음을 논증하였다.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과 왕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Royal Garden and Royal Capital in North-East Asia)

  • 전용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14
    • /
    • 2022
  •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은 왕도와 왕궁에서의 위치 관계에 따라 왕궁 내부의 북쪽, 왕궁 외부의 북쪽, 왕궁 내부나 외부의 남쪽에 위치하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전조후침(前朝後寢)의 중국 고대 궁실제도를 따른 전형적인 궁원이다. 두 번째는 왕궁과 독립적으로 위치하거나, 금원(禁苑)으로 확장되는 궁원이다. 세 번째는 왕궁의 남쪽에 위치하면서 유락(遊樂)이나 향연(饗宴)으로 특화한 궁원이다.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의 유형은 정궁(正宮)과 별궁(別宮) 혹은 이궁(離宮), 금원(禁苑)과의 관계에 따라 구분되고 각각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 번째는 익산 왕궁리 유적의 궁원을 비롯하여 한 장안성, 북위 낙양성과 남조 건강성, 당 대명궁 등에 이르기까지 정궁의 궁원으로 자리잡아왔다. 여기에서는 왕궁 안으로는 궁원이 내원(內苑)으로, 왕궁 밖으로 금원이 외원(外苑)으로 분리되어 있다. 반면에 두 번째는 궁원(宮苑)과 금원(禁苑)이 일체화되어 있다. 세 번째는 왕궁의 일부분을 구성하거나 왕도에서 정궁과 독립된 공간으로 별궁이나 이궁의 궁원으로 특화되어 왔다. 중국은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의 전형(典型)을 만들었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한국의 백제와 신라, 일본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나름대로 독창성을 발휘하여 독특한 궁원을 발전시켜 나갔다. 백제왕도 익산의 궁원은 위진남북조시대의 궁원을, 사비도성의 궁원은 진·한대와 수·당대의 궁원을, 신라왕경의 궁원은 사비도성과 당의 궁원을, 일본 아스카~나라시대의 궁원은 백제와 신라의 궁원을 영향을 각각 받았다. 그렇지만 이들 궁원은 각각 나름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궁원의 특징도 지니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은 지역에 따라 계통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 평양 안학궁은 궁원으로 보아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영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안학궁 하부의 유구 중복 관계나 유물로 보아 그 초축 시기는 5~6세기로 올려보기 어렵고 대체로 7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평양 안학궁의 궁원은 평양 장안성의 정궁에 대응하는 별궁 혹은 이궁의 궁원으로서 한국 통일신라시대 동궁과 월지나 일본 나라시대 평성궁 동원정원(東院庭園)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점으로 보아, 평성궁 동원정원(東院庭園)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궁원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의 고대 왕도라는 큰 틀에서 궁원의 위치 관계로 그 특징과 변천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로 적지 않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런 한계들을 조금씩 해결하여 나간다면,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에 대한 이해의 폭이 훨씬 넓어지리라 기대해 본다.

한·중·일 궁궐정원의 경관 구성 비교 연구 - 창덕궁(昌德宮), 이화원( 頤和園), 선동어소(仙洞御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Landscape Composition of Palace Gardens in Korea, China, Japan - Focused on Changdeokgung Palace, Summer Palace and Sento Imperial Palace -)

  • 윤상준;안승홍;윤성융;염성진;박희성;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2-64
    • /
    • 2015
  • 본 연구는 동아시아 삼국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 고정원 문화의 정수이자 역사적 배경과 정치, 문화적 관계성 등을 공간적으로 잘 대변할 수 있는 궁궐정원을 대상으로 형성배경, 입지와 배치, 공간구성, 공간구성요소 그리고 조성계획 및 경관연출기법과 조망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사한 위상을 가진 한국의 창덕궁, 중국의 이화원 그리고 일본의 선동어소를 선정하여 3국의 궁궐정원에 대한 이해와 연구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관 연출을 중심으로 한중일 궁궐정원의 원형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통해 동질성(유사성) 및 이질성(차별성)을 찾아 한중일 궁궐정원이 가지는 정체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한국 궁궐정원이 가지는 가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동질성과 이질성을 기반으로 도출된 비교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을 훼손하지 않은 정원의 조성으로 자연에 순응한 한국 고유의 양식을 보여준다. 둘째 동아시아적 사상을 반영한 다양한 상징적 정원요소가 표현되고 있다. 우리 궁궐정원의 발달에 있어 중국의 사상과 기술, 기법 등이 큰 영향을 끼쳤고 또한 유사한 방식으로 공간에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수경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유사함은 한국과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찾을 수 있다. 셋째 창덕궁 후원은 엄격한 왕권의 권위보다 풍류적 취향의 문화 예술적 수용체 역할을 하였다. 창덕궁과 이화원, 그리고 선동어소가 문화수용체의 성격을 지니듯이 한중일 3국이 문화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에도 그 형태와 재현의 방법이 다르며 각각 독자적인 궁정정원의 양식을 수립할 수 있었던 것은 각 정원이 각 나라 고유의 문화와 예술을 수용하면서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한국과 중국의 궁궐어원(御苑)의 상석(賞石) 비교연구 (A Study on the Stone Figures in the Palace Gardens of the Palaces in Korea and China)

  • 박경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227-239
    • /
    • 2003
  • Korea and China can find the common feature derived from the mutual cultural exchanges, belonging to the same cultural sphere of the East Asia. It also applies to the stone figures of the palace gardens of both countries. In case of Korea in the stone figures of the palace gardens, there are few of them existing in Kyungbok Palace, Changduk Palace, and Changkyung Palace of the Chosun Dynasty, and most of them were washed away, there are hardly any records remaining and transmitted, and there are hardly any materials of drawings and pictures of them. On the contrary, in case of China, although there are those washed away, there are vast numbers of real objects, and records and materials of them. Therefore, for the study on the stone figures of Korea, the method to analogize the research lacking regarding the stone figures of the palace gardens of Korea from those of China after conducting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ose existing and those of China, may be available. I consider that although the restoration of the palaces of Chosun Dynasty of Korea had been the restoration project oriented toward the buildings until now, it will be the phase where one should have more interest toward the restoration of the palace gardens in the future, and that the restoration of the palace gardens should be made centered on the landscape architectural structures, deviated from the restoration project attaching weight to the restoration of the trees. Above all, I consider that the interest should be turned to the restoration of the stone figures where the view toward the nature of the Orientals are expressed well. For the restoration of the stone figures in the Changduk and Changkyung Palaces,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toration of the rough locations and shapes is possible based on the Dongkwol Drawings being transmitted, and that the research on the shapes, characters, pedestals, characteristics, etc. of the specific stone figures is possible as far as it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stone figures of the palace gardens of China.

고려 강도궁궐의 위치와 범위 검토 (The Location and Range of Goryeo Palace in Gangwha)

  • 이상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3호
    • /
    • pp.108-127
    • /
    • 2014
  • 강화는 비록 짧은 기간이긴 했지만 궁궐을 비롯한 여러 시설물이 즐비한 고려의 도성이었다. 하지만 도성의 핵심시설인 궁궐의 실체가 확인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중세도성으로서의 역사적 위상을 발현하지 못하고 있다. "고려사"에 의하면 강도궁궐은 개경궁성을 모방하였다고 한다. 이 사실을 전제한다면, 강도궁궐의 실체는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개경궁성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개경궁성의 특징은 도성의 남북중심 축선에서 서편으로 치우친 곳에 입지하고, 궁성의 동편에는 '동지(東池)'가 위치한다. 그리고 궁성의 중앙부에는 탁월한 고도의 구릉이 남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구릉을 감싸고 두 줄기의 가지하천이 흘러 주류하천에 합수된다. 강화에서 이상 개경궁성의 특징들을 적용해 볼 수 있는 곳은 관청리 '궁골'일대이다. 이곳에서는 예로부터 많은 청자들이 수습되었다고 하며, 중앙부에는 탁월한 고도의 구릉이 남아있다. 이 구릉을 감싼 두 줄기의 하천은 남쪽으로 흘러 주류하천인 동락천에 합수된다. 한편 관청리 405번지 유적의 발굴조사 결과는 이곳이 연못이었음을 추측케 한다. 그렇다면 이 유적은 궁궐의 동편에 입지하는 개경의 '동지'와 같은 성격의 유적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지적도에서 확인한 대형도로는 개경도성의 남북방향 주간선도로에 비견된다. 그러므로 강도궁궐은 개경궁성과 같이 이 두 유구의 서편에 입지하여야만 한다. 그곳이 바로 '궁골'인 것이다. 지적도에는 '궁골' 일대에 호상(弧狀)의 도로에 의해 구획된 복주머니 형태의 평면이 확인되는데, 개경의 궁성모습과 흡사하다. 이 호상도로 내부에 궁궐 전각의 일부로 생각되는 관청리 659-2번지 유적이 위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개경궁성의 특징, 고지도 및 지적도, 고고자료의 검토를 통해 얻은 결론은 강도궁궐이 강화읍 관청리 '궁골'일대에 위치해 있었을 것이라는 것이며, 그 범위는 상기한 호상도로의 내부라는 것이다.

1960년대 광화문 중건과 광화문 앞길의 변화 (A study on a reconstruction of Gwanghwamun and fluctuation of boulevard in front of Gwanghwamun)

  • 강난형;송인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4호
    • /
    • pp.7-18
    • /
    • 2015
  • Gwanghwamun was dismantled and displaced to the east side of the palace, at that time,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Building was constructed in the Gyeongbokgung palace. After the Korea war, it remained as a stonework as a result of the fire. In 1968, The Gwanghwamun came back in front of the palace. Then, why it was rebuilt in the 3rd Republic period? What was the reason for selecting concrete? Since the May 16 coup, the military regime had been utilized palace and surrounding urban space to show a visible practice of modernization. Attempting the combination of modern technology in the 1960s and traditional cultural property and reconstructing a city as a pretext called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was a typical mechanism of the 1960s. In this study, I start by assume that reconstructing Gwanghwamun(1968) was a part of project to change the surrounding urban space of Gwanghwamun than to preserve cultural assets. Two main contributions of the study are following. First, I collect availabe data on the reconstructing surrounding urban space of the Gwanghwamun and re-organize them in chronological order to make them as fragments of a map. Second, I analysis and identify the nature and phase of the Gwanghwamun reconstruction.

미켈란젤로의 캄피돌리오 언덕계획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mpidoglio Hill Plan by Michelangelo)

  • 김석만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6호
    • /
    • pp.85-10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mpidoglio hill plan by Michelangelo. 1. The plan of the Campidoglio hill is composed of the harmonized and united space, in spite of the existing conditions of a steep flight of land, a irregular site shape, a building of each other different dimension and form. And it is newly changed by site left through the modification of existing building elevation, utilization of existing building for new planning, connection with existing building and newly planned building from plaza composition of trapezoid form. 2. The concept of planning of the Campidoglio hill is planned by compromising for requirements of Baroque after Renaissance which urban planning characteristics of Baroque is as the relation with urban street through a inclined stairs and process such as street-approach stairs-plaza-symbol of inside plaza-building. 3. The section plan of the Campidoglio hill is planned by which can be easily approached to the plaza through the inclined stairs of gentle angle from street at the center east-west direction of main axis such as main axis, utilizing the existing site shape, and it is composed of the convex shape ascending gently at the center central part of the plaza. 4. The plan of the Campidoglio hill is composed of the elation with the axis of existing Senatorio palace, building planning of perfect balance, plaza composition of reversed trapezoid form bybuilding planning, central concentrated planning of buildings surrounding plaza. 5. The three palace of the plan of the Campidoglio hill is composed of the concept as theater which the stage background forms the front elevation of Senatorio palace higher two palace and the wings of either side of stage form the front elevation of Conservatori palace and Nuovo palace, surrounding three palace elevation around plaza of trapezoid form.

  • PDF

한 . 중 . 일 궁궐건축의 색채 특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lor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of Korea, China and Japan)

  • 박영순;이현정;조은숙;진경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68-17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color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among those in the neighboring three nations of East Asia, notably Korea, China and Japan. Undoubtedly the ultimate goal to be pursued, by so doing, has to be inquiry into the identical prototype of Korean color design element. The East Asian color palette is rich in symbolic meaning, mostly these color are in harmony with the nature and human life. In this study, the color of the traditional palace is characterized by the actual color use. The colors of China are various, but they concentration R~G, middle/high level of chroma. In Korea, the colors in palace are distributed in YR/GY, middle/low chroma, relatively higher value. While the major features of Japan color are YR/achromatic with middle/low levels of value and chroma.

조선시대 궁원 내 친잠(親蠶)문화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 (Background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riculture in the Rear Garden of Palace in Joseon Dynasty)

  • 허선혜;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2-20
    • /
    • 2012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내에서 일어났던 친잠문화의 배경과 공간적 특징에 대한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선은 유교적 중농주의 국가로서 국초부터 농업 못지않게 양잠업 장려에 열의를 보여 양잠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진행해 왔다. 그러한 노력의 일면으로 조선 왕실은 궁궐 내에서 친잠활동을 하게 되었다. 조선은 초기 태조 연간부터 궁원 곳곳에 뽕나무를 심었으며, 세조는 동궁(東宮) 근처에 잠실(蠶室)을 설치하여 세자를 비롯한 궁중 사람들에게 양잠의 중요성을 수시로 알게 했다. 성종 연간에는 조선 최초로 창경궁 후원에 채상단을 만들어 친잠례를 거행하였고, 이후 채상단은 위치를 달리하며 광해군 때까지 유지되었다. 그 후 영조 연간에는 경복궁에 채상단과 정해친잠비(丁亥親蠶碑)를 건립하였는데, 이는 경복궁 유지에 대한 영조의 애착과 양잠의 권면에 대한 적극적 의지의 산물이었다. 경복궁 유지에서 터가 고르고 뽕나무를 심기 적합한 동편이 선택되어 채상단을 축조했으리라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이 장소는 세종 연간 잠실이 있던 장소이기도 하다.

조선 궁궐, 동조(東朝)의 상징성과 $17{\sim}18$세기 대비전 조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mbolism of Dongjo in Royal Palaces of Choseon Dynasty and Its Way of Operation - Focusing on Donggwol in 17th-18th century -)

  • 조옥연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6호
    • /
    • pp.67-86
    • /
    • 2007
  • Choseon Dynasty, from many aspects, saw the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its royal palaces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with 'donggwol (east palace)' as the most representative form in the era. In that period, palaces were managed in the best way that fits the royal etiquette and order to maintain the Confucian framework of the times. While the royal palace was the place for the king to conduct state affairs, it was also a compound for the royal family to lead a life in. Since the royal family was also based on the Confucian system, women in the royal palace seldom revealed their existence to outside world. Yet daebi,(a Queen Mother) who was often called 'dongjo,' enjoyed the highest level of honor not only as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but in the hierarchical order of the dynasty. As they often engaged themselves in political affairs, daebi raised their reputation through rites and rituals. So, in the 16th century, they largely used Changgyeong-gung palace in the eastern part of the royal compound since they sometimes had to go out of the royal residence. While it was called 'dongjo' because it was seated in the eastern part, it was also used as a word symbolizing daebi. And, therefore, it has become a general principle of royal palaces to build the palace for daebi in the eastern wing of the compound. However, the residence for daebi was not always built in the eastern part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and, instead, edifices for daebi were sometimes erected in several points within the royal compound. Beside, daebi's residence in this period had additional spaces for ceremonies since they had a number of official events there. Construction of daebi's residences in this era was not confined to the symbolic institutions and they became the peculiar palace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for official ceremonies of the queen mothers. Consequently, it could be said that the architectural style of dongjo, which was the place of the supreme female in the hierarchical order, stemmed from donggwol where daebi spent the longest time of the royal lif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