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t Korea Bay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4초

Discovery of Halicyclops continentalis (Cyclopidae, Halicyclopinae) from Estuaries and Salt Marshes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 Cheon, Young-Cha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8권1호
    • /
    • pp.12-19
    • /
    • 2012
  • A cyclopoid species from several salt marshes and estuaries o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were identified as Halicyclops continentalis Ueda and Nagai, 2009, recently described from Ariake Bay at northwestern Kyushu, Japan. Detailed examination on the Korean specimens justifies Ueda and Nagai's proposition that the H. sinensis sensu Tai and Chen, 1979 formerly known from the Chinese coast of the Yellow Sea should be identical to H. continentalis. Furthermore, this report reinforces their assumption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H. continentalis, that is, the Ariake Bay population is a continental relict of the East Asia continent. Herein, a redescription of the species i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Korean specimens, with a comment on the morphological comparison among three populations around the Yellow Sea.

Sea level observations in the Korean seas by remote sensing

  • Yoon, Hong-Joo;Byon, Hye-Ky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79-881
    • /
    • 2003
  • Sea level variations and sea surface circulations in the Korean seas were observed by Topex/Poseidon altimeter data from 1993 through 1997. In sea level variations, the West and South Sea showed relatively high variations with comparison to the East Sea. Then, the northern and southern area in the West Sea showed the range of 20${\sim}$30cm and 18${\sim}$24cm, and the northern west of Jeju island and the southern west of Tsushima island in the South Sea showed the range of 15${\sim}$20cm and 10${\sim}$15cm, respectively. High variations in the West Sea was results to the inflow in sea surface of Yellow Sea Warm Current (YSWC) and bottom topography. Sea level variations in the South Sea was due to two branch currents(Jeju Warm Current and East Korea Warm Current) originated from Kuroshio Current (KC). In sea surface circulations, there existed remarkably three eddies circulations in the East Sea that are mainly connected with North Korea Cold Current (NKCC),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and Tushima Warm Current(TWC). Their eddies are caused basically to the influence of currents in sea surface circulations; Cyclone (0.03 cm/sec) in the Wonsan bay off shore with NKCC, and anticyclone (0.06 cm/sec) in the southwestern area of Ulleung island with EKWC, and cyclone (0.01 cm/sec) in the northeastern area of Tushima island with TWC, respectively.

  • PDF

동해 명태(Gadus chalcogrammus) 서식처 표층수온 장기 변동 특성 (Long Term Changes in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Habitat Ground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 the East Sea)

  • 설강수;이충일;정해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5-205
    • /
    • 2020
  • 동해 명태 서식처 환경은 한랭기와 온난기를 교차하며 변동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1980년대 후반 이후 수온은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2000년대 후반 이후 다시 하강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명태 주요 산란장이 위치한 동한만과 어장 중심이 형성되는 동해 중부 연안의 수온은 서로 다른 변동 특성을 나타내었다. 동한만의 겨울철 수온은 1980년 후반 이후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2000년 후반 이후 다시 하강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장기 변동특성은 2월과 3월에 더욱 뚜렷하였다. 반면 어장의 중심이 형성되는 동해 중부 연안의 수온은 1990년대 중후반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2000년 후반 이후 수온이 하강하는 특성은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산란장과 어장의 수온변화는 명태 자원량과 변동 특성이 유사하였다. 특히 산란장의 수온 변화는 난과 자·치어를 포함한 초기 생활사 시기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로 작용한다. 1980년대에는 명태의 산란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는 면적과 지속시간이 평년보다 증가하였으며, 반대로 동해에 서식하는 명태의 자원량이 급격히 감소한 1980년대 후반 이후에는 산란장 면적과 적합한 환경이 지속되는 시간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명태 자원량 변화는 서식처의 물리적 환경변화와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며, 특히 산란장의 수온 상승에 따른 산란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는 면적과 지속시간의 감소 그리고 어장의 축소는 명태 자원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로 작용하였다.

북한 해양분지의 석유지질학적인 특징과 남북한 해양과학기술 협력 방안 (Characteristics of Petroleum Geology of the Marine Basins in North Korea and Mutual Cooperative Plans for MT (Marine Technology))

  • 허식;유해수;권석재;오위영;배성환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3
    • /
    • 2006
  • 북한의 서한만 분지는 일일 생산량 450 배럴의 원유가 생산되고 있어 석유부존 가능성이 확인되었고, 중국에서 큰 유전중 하나인 발해만 유전지대와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어 대규모 매장 가능성도 있다. 지금까지 북한의 석유탐사 및 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탐사가 진행중인 곳은 3개 지역으로 서한만 B&C 광구 (스웨덴 Taurus사), 북부 서한만 및 육상 안주분지 (캐나다 SOCO사), 동한만 광구 (호주 Beach Petroleum사) 등이다. 상기 이외의 해저에는 원유가 부존할 만한 분지가 존재하지 않으며, 길주-명천 지구대 등 일부 육상 지역에서는 원유가 발견된 곳도 있으나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밝혀진 북한 서한만의 지질은 중국의 발해만과 유사하다. 후기 원생대와 초기 고생대에 생성된 기반암 위에는 최대 $6,000{\sim}10,000\;m$ 두께의 중생대 탄산염암 및 퇴적암과 $4,000{\sim}5,000\;m$ 두께의 신생대 퇴적암이 집적되어 있다. 근원암은 3,000 m 이상되는 쥬라기 및 $1,000{\sim}2,000\;m$ 두께의 백악기 흑색 셰일 그리고 수천 m 두께의 중생대 이전의 탄산염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류층은 높은 공극률을 가진 중생대부터 신생대에 퇴적된 사암과 중생대전에 균열된 탄산염암이다. 원유 트랩은 배사구조, 단층구조, 파묻혀 있는 언덕 (buried hill) 그리고 층서형 트랩 형태다. 따라서 서한만에서의 퇴적층들은 다양한 형태의 근원암을 가지며 또한 공극률과 투수율이 높고, 많은 단층에 의한 이동경로를 가지게 되므로, 사암으로 이루어진 석유 저장지만 발견하면 석유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안국의 200해리 배타적 경제수역 설정 등 해양관할권 확대가 주류를 이루는 새로운 국제해양질서가 구축되고 있는 상황과 동일한 해역을 대상으로 하는 남북한 해양개발의 인접성 등을 감안할 때, 실리주의적 세계의 변화에 공동으로 대처하고 남북한 상호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남북한 해양과학기술 협력교류의 활성화와 새로운 첨단 해양기술의 공동 연구 개발 둥 남북 상호간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협력자세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한반도 주변해양에서 남북한 각기 독자적인 해양관리 및 해양산업의 전개보다는 양국 공동협력에 의해 주변국의 한민족 공동체가 참여하는 방안이 시급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 PDF

인공위성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구한 한국 동해의 와동류 분포 (Eddy Distribution off the last Coast of Korea Derived from Satellite Infrared Imagery)

  • 민덕홍;이재철;심태보;이형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5-156
    • /
    • 1995
  • Satellite infrared images were analyzed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eddies off the east coast of Korea from 1987 to 1991. Most of the eddies were filament-type and were generated near the fringe of the East Korea Warm Current (EKWC) flowing northward. Eddies having length of 20-40km and width of 10-20km were most abundant. The meso-scale eddies of 100-200km in diameter were found between Mukho and Wonsan Bay in almost all the images. There was no evidence for the consistent movement of eddies to a definite direction. The Ulleung Warm Eddy, although reported previously by the hydrographic data, could not be identified by the limited amount of infrared imagery.

  • PDF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 표층퇴적물 입도의 시ㆍ공간적 변화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Grain Size of the Surface Sediments in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 류상옥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340-348
    • /
    • 2003
  • 한반도 남해안의 중앙부에 위치한 광양만에서 표층퇴적물의 시ㆍ공간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층퇴적물과 부유퇴적물에 대한 퇴적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광양만이 개발되기 이전에는 섬진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서측을 향해 세립해지는 동-서 방향의 분포를 보였으나, 광양제철소가 건설된 이후에는 섬진강 삼각주가 파괴되고 동-서 방향의 분포로 변화하였다. 또한, 광양 컨테이너부두와 각종 산업단지가 조성된 최근에는 동-서 방향의 분포가 파괴되고 남-북 방향의 분포로 변화하였으며, 만의 남서측을 중심으로 평균입도가 뚜렷하게 세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광양만 개발에 따른 조류에너지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세립화는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부유퇴적물의 분포 특성과 거동에 관한 연구 결과, 광양만에서 부유퇴적물은 만 내부로 유입되는 양이 외부로 유출되는 양에 비해 많았으며, 부유퇴적물의 유출입은 남측보다는 북측의 만 입구를 통해, 그리고 표층과 중층보다는 저층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광양만은 퇴적우세환경으로 표층퇴적물의 세립화는 만 외부에서 공급되는 부유퇴적물(주로 점토)의 집적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Ralfsia longicellularis (Ralfsiales, Phaeophyceae): a Far East Asian endemic brown alga from Korea

  • Oteng'o, Antony Otinga;Won, Boo Yeon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101-105
    • /
    • 2020
  • Ralfsia longicellularis is known as an endemic species in Far East Asia. In this study, we report R. longicellularis as a new record from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Molecular analyses based on plastid-encoded rbcL gene sequences and morpho-anatomical studies were undertaken on Ralfsia species, a poorly studied genus from Korea. Ralfsia longicellularis is mainly characterized by a dark brown thallus; 770-1200 ㎛ thick, curved cells in the creeping and ascending parts of the filaments; basal layer and erect filament cells with a width-to-length ratio of 1 : 1.5 to 10; narrowshaped sporangia on-stalk cells at the base of the paraphyses; and mostly uniseriate plurilocular reproductive organs capped with 1-2 sterile cells. The R. longicellularis samples from Korea in this study were similar to ones collected from the type locality (Peter the Great Bay, Russia) in morphology. The rbcL analyses also revealed that our Korean R. longicellularis samples were placed in the same clade with Russian materials, within a Ralfsia clade but distinct from the congeners.

Redescriptions of Euplotes encysticus and E. rariseta (Protist: Ciliophora: Euplotida)

  • Kim, Eun-Hee;Lee, Won Je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28-135
    • /
    • 2019
  • Two euplotid ciliates, Euplotes encysticus Yonezawa, 1985 and E. rariseta Curds et al., 1974, were isolated from a freshwater pond called Mulgol in Dokdo of the East Sea and from Masan Bay/Jeju Island, Korea, respectively. Both species are redescribed based on live observations and protargol impregnation. Cells of Euplotes encysticus are asymmetrically oval, $63-79{\times}41-61{\mu}m$ in vivo and capable of encystment. The cells have 31-36 adoral zone of membranelles(AZM), 9 fronto-ventral cirri (FVC), 5 transverse cirri (TC), 2-3 caudal cirri (CC), 2 marginal cirri (MC), 7 dorsal kineties (DK), and 19-22 dorsal cilia in middle DK. The cells of Euplotes rariseta has a small ovoid form and are $32-44{\times}23-35{\mu}m$ in vivo, 18-22 AZM, 10 FVC, 5 TC, 2 CC, 1 MC and 6 DK.

강릉-부산 간 동해안 해안단구 검토 (Review on Marine Terraces of the East Sea Coast, South Korea : Gangreung - Busan)

  • 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5호
    • /
    • pp.409-425
    • /
    • 2019
  • 계단형 평탄지형면인 해안단구는 고해수면을 지시하는 표식지형으로 가까운 지질시대동안 일어났던 지구조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지질학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지형이다. 한반도의 동해, 서해 그리고 남해안 모두 해안단구가 발달하고 있으며 그 중 동해안에 가장 잘 발달하고 있다. 동해안의 해안단구는 4-6조로 해발고도 수m 에서 수십m 상위에 발달하고 있다. 이들 중 최하위 단구를 제외한 모든 단구는 중기 플라이스토세 이후에 형성되었고, 특히 OSL 연령과 고지자기 층서의 블래이크 사건(Blake excursion event)에 따르면 2단구와 3단구는 공히 최종 간빙기에 대비된다. 플라이스토세 해수면변동 곡선과 단구의 구정선고도를 서로 대비하여 본다면 동해안에서 중기 플라이스토세 이후부터 중기 홀로세까지 광역적 지구조 운동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릉에서 부산까지 해안단구의 구정선 고도가 지역별로 상이하며 4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강릉-용한리(I), 호미곶-나정(II), 나정-방어진(III), 왜성-부산만(IV). 구정선 고도가 지역 간 서로 다르게 발달하고 있는 것은 오천단층 혹은 그의 부수단층, 감포 선구조, 울산단층 등에 의한 지괴운동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구정선 고도와 단구 평탄면 형성시기를 상호 함수로 한 동해안의 융기율은 0.2-0.3m/ky 범위 내외이며, 구정선 고도에 따라 융기율은 지역적으로 다르다.

한국 일광만 저서 해조류의 해조상과 군집구조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Ilkwang Bay, Korea)

  • 강필준;김영식;남기완
    • ALGAE
    • /
    • 제23권4호
    • /
    • pp.317-326
    • /
    • 2008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at three sites in Ilkwang Bay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from May 2007 to February 2008. Total 103 species including 10 of green algae, 17 of brown algae, 76 of red algae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mong these species, 21 species were found throughout the year. Ulva pertusa, Enteromorpha linza, Grateloupia lanceolata, Chondracanthus intermedia and Caulacanthus ustulatus were distributed dominantly in upper intertidal zone. By contrast, crustose coralline algae, Grateloupia spp., Chondracanthus tenellus, Prionitis cornea and Sargassum spp. occurred predominantly in middle intertidal zone. Grateloupia spp., Sargassum spp., Ecklonia cava and Ulva pertusa were dominant in lower intertidal zone. Annual mean biomass in wet weight was 478.3 g m$^{-2}$. Maximum biomass was recorded in site 1 (731.8 g m$^{-2}$), and minimum was recorded in site 3 (78.5 g m$^{-2}$). The R/P, C/P and (R + C)/P value reflecting flora characteristics were 4.47, 0.59 and 5.06, respectively. Two groups produced by cluster analysis, one including sites 1, 2 and the other including site 3,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similarity, each other. Site 3 showed the limited species composition due to inflow of fresh water and absence of solid substratu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te 1 and site 2. In conclusion, the number of marine algae species and biomass in Ilkwang Bay were markedly reduced comparing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se suggest that a solution for reconstruction of the poor marine algal vegetation is considerably dema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