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se of Use of Content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4초

An Empirical Analysis of Smart Signage and Its Market Delimitation

  • Kim, Hang Sub;Lee, Bong Gyo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8호
    • /
    • pp.2910-2927
    • /
    • 2015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ase of use, usefulness, and hedonic desires affect the intention to use smart signage, based on market delimitations. Smart signage is at an early phase of adoption and its market can be divided broadly into indoor and outdoor markets. In this study, an empirical study model was established in conjunction wit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hich was applied to the IT area of a smart signage map and to a hedonic model.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key hedonic attribut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smart signage include information delivery for the indoor environment and emotional and entertainment content for the outdoor environment. In the future, specific guidelines can be presented to boost the usage of smart signage through an empirical study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usage intention.

The Effects of Coding Education Using the Unplugged Robot Education System on the Perceived Useful and Easy

  • Song, JeongBe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21-128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unplugged robot education system capable of computerless coding edu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d this education system with PicoCricket, an educational robot that can also be used with elementary students in lower grades, using assessment tool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Using random sampling and randomized assignment for more objective validation, 30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unplugged robot education system group (experimental group) and 30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PicoCricket group (control group), for a total of 60 study participants. The research procedure included verification of the equivalence of the two groups by conducting a pretest after a 2-hour basic training session on algorithms and programming.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learned the same content using different educational tools in accordance with software training guidelines for a total of 12 hours. Then, the difference i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between the two groups was examined using a post-treatment test.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cores on both dependent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Moreover, scores on all sub-variables of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rners using the unplugged robot education system found it more useful and easier to use than learners using the existing educational robot, PicoCricket. This study's findings are significant, as according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an educational tool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acceptance of the tool (i.e., persistence of learning).

모바일 개인방송 시청 요인 분석: HMSAM 모델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Viewing Intention of Mobile Personal Broadcasting by using Hedonic-Motivation System Adoption Model)

  • 임재완;박병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89-106
    • /
    • 2016
  • 모바일 기술과 비디오 스트리밍 기술이 발달하고 미디어 플랫폼이 다변화 되면서 '페이스북 라이브', '아프리카 TV'와 같은 모바일 개인방송은 기존 IT 시스템과는 다른 수용 패턴을 보이고 있다. 모바일 개인방송 시청 요인에는 오락적 동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기존의 외재적, 생산적 동기 중심의 시스템 수용 이론으로는 연구의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오락적 동기 시스템 수용 분석에 특화된 HMSAM(Hedonic-Motivation System Adoption Model)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모바일 개인방송 시청자의 수용 요인에 어떠한 오락적 동기가 작용하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변인에는 즐거움(Joy), 시간 흐름 미인지(Temporal Dissociation), 현실도피감(Escapism), 몰입(Focused Immersion)과 같은 내재적 동기가 포함되었다. 또한 인지된 사용 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시청 의도(Intention to Watch) 변인도 포함되었다. 연구 분석은 Multi-indicator 모형의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와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모바일 개인방송 시청의 즐거움은 시간 흐름 미인지, 현실도피감,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시청의도와 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현실도피감 역시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오락적 동기 시스템 수용에 대한 최신 연구인 HMSAM 모델을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모바일 개인방송 시청 요인들을 새롭게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재미와 오락의 개념을 더 세분화하고, 미디어의 능동적 수용과 수동적 수용을 추가적으로 살펴본다면 더욱 발전된 후속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Attack Detection on Images Based on DCT-Based Features

  • Nirin Thanirat;Sudsanguan Ngamsuriyaroj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1권3호
    • /
    • pp.335-357
    • /
    • 2021
  • As reproduction of images can be done with ease, copy detection has increasingly become important. In the duplication process, image modifications are likely to occur and some alterations are deliberate and can be viewed as attacks. A wide range of copy detection techniques has been proposed. In our study, content-based copy detection, which basically applies DCT-based features for images, namely, pixel values, edges, texture information and frequency-domain component distribution, is employed.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evaluate robustness and sensitivity of DCT-based features from attacks. As different types of DCT-based features hold different pieces of information, how features and attacks are related can be shown in their robustness and sensitivity. Rather than searching for proper features, use of robustness and sensitivity is proposed here to realize how the attacked features have changed when an image attack occurs. The experiments show that, out of ten attacks, the neural networks are able to detect seven attacks namely, Gaussian noise, S&P noise, Gamma correction (high), blurring, resizing (big), compression and rotation with mostly related to their sensitive features.

대학도서관 인공지능 관련 교육콘텐츠 추천 시스템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대학생과 사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the AI-related Educational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in the University Librar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nd Librarians)

  • 김성훈;박시온;박지원;오유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31-263
    • /
    • 2022
  •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및 업무분야에서의 활용 능력은 지식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기본 역량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대학 구성원들에게도 높게 인식되고 있다. 국내외 대학도서관 역시 효과적인 인공지능 콘텐츠 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전자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나, 인공지능이라는 정보 기술에 특화된 이용자 맞춤형 추천은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추천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관심 파악 역시 미비하다. 대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도서관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콘텐츠 추천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의사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서비스 수립을 위한 조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주제 분야에 특화된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대학도서관 사서들과의 서면인터뷰를 통해 각 요인별 영향력을 조사하고, 성공적 수행을 위한 제언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관련 교육콘텐츠 추천시스템 사용의도는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상관없이 사용의사가 있다고 조사되었고, 과제적합성요인이 사용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파악되었다. 사서들 또한 서비스의 필요성을 깊이 공감하고 있었고 현실적인 제약사항으로 예산과 콘텐츠 품질 문제를 제시하였다.

Contents Sharing System for Push/Pull Services in DLNA-based Home Networks

  • Choi, SoonPil;Park, ByoungSeob;Kim, ChungKyu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85-92
    • /
    • 2015
  • Due to the advancements in the capabilities of smart devices and home networks, we are able to easily access multimedia contents stored in a home server. In this paper, we present a wireless media content sharing mechanism for home networks that utilizes UPnP-based DLNA technology. We also present a novel Peer-to-Peer content sharing system that is able to operate on the client as well as server. Our system supports multiple push/pull services simultaneously via a multi-thread technique, and our intuitive user interface facilitates ease of use. Future studies would explore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our system in a multi-hop environment or providing a community-wide service.

전자책 뷰어의 사용만족에 영향을 주는 품질 요인: 콘텐츠 유형별 비교 (e-Book Viewer's Quality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Comparison by Content Type)

  • 윤혜정;김두중;이중정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3-91
    • /
    • 2015
  • 정보기술의 발달은 유형의 '책'에서 무형의 '전자책'으로의 인식 전환을 불러 왔고, 전체 도서출판 시장에서 전자책 시장의 증가세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무형의 콘텐츠와 독자를 연결시켜주는 접점(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전차책 뷰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말기나 PC 등에 설치하는 전자책 뷰어의 사용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가 콘텐츠 유형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전자책 뷰어의 품질을 시스템 품질과 인터페이스 품질로 구분하여, 용이성, 기능다양성, 상호작용성, 디자인 편리성, 직관적 디자인, 감성적 디자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품질 속성이 종속변수인 사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대표적인 전자책 콘텐츠 유형인 만화, 소설, 학습 콘텐츠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가설 검증 결과에 따르면, 전체 그룹에 있어서는 상호작용성을 제외한 모든 독립변수가 사용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다. 콘텐츠 유형별로는 만화를 볼 때 전자책 뷰어의 용이성, 디자인 편리성, 감성적 디자인의 품질이 높을수록 사용만족이 높았으며, 소설을 볼 때에는 전자책뷰어의 직관적 디자인, 감성적 디자인의 품질이 높을수록 사용만족이 높았고, 학습 콘텐츠에서는 전자책 뷰어의 기능 다양성과 상호작용성이 높을수록 사용만족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전자책 뷰어의 설계 및 기획, 전략과 구축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되길 희망해본다.

Antecedents of Continuous Us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Mobile Application Store

  • Kim, Yoo-Jung;Han, Jin-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65-76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predictors of continuance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application(App) stores. This study identifi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pp store quality, user habit, switching costs, user loyalty, continuance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mobile application sto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user loyalty increases continuance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at user habit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switching costs and user loyalty. App store quality is a formative construct including quality of content, ease of use, and security. App store quality affects user habit positively. This study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contributes to the integration of influential factors for continuance intention as well as purchase inten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뉴스 미디어 플랫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es of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News Media Platforms with Blockchain Technology)

  • 허광호;김인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3호
    • /
    • pp.131-15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using a news media platform using block chain through media company workers in a situation where various platform services using block chain are being newly released in the media industry.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te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ws media platform service using the block chain in the future by deriving implication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chain, user characteristics, and self-determination fact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lockchain, user characteristics, self-determination, resistance to innovation, etc., and designed a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factors on the continuity of intention to use the news media platform.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ntion to use the blockchain news media platform is significantly related to decentraliza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variable of the blockchain, perceived risk, which is a user characteristic variable, and competence and relationship, which is a self-determination variabl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affects the perceived ease of use with respect to the intention to use. In addition, in this study, news writers write more careful articles as they cannot edit articles once written, which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news content.

대학생의 K-MOOC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n K-MOOC)

  • 전영미;조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80-9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K-MOOC 활용에 대한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실제 K-MOOC을 비교과 교육과정으로 활용하는 수도권의 한 대학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177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학습동기, 자기주도성, 과제기술적합성의 다섯 가지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K-MOOC 만족도 및 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방학보다 학기 중이 더 높았다. K-MOOC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 과제기술 적합성이었으며,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지각된 용이성과 과제기술적합성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K-MOOC 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 및 교양지식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교과목을 다양하게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개설되는 교과목과 더불어 교과내용의 분량과 주차수를 보다 다양화할 필요가 있으며, 개설시기를 대학의 학기와 맞출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지각된 용이성 요인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도 하지만 불만 사항으로도 나타나 플랫폼의 안정성이나 모바일 환경에의 적합성 등이 개선될 필요가 있으며, 대학 수준에 적합한 콘텐츠 개발과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다양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