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th Gravity Model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3초

정밀 중력측정을 위한 조석 및 계기 보정 모델 분석 (The analysis of the tide and drift correction models for precise gravity surveying)

  • 이지선;권재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23-530
    • /
    • 2010
  • 측지, 지구물리, 국방 등의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중력자료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많은 중력자료가 획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획득한 중력자료로부터 절대중력값 및 중력이상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조석보정, 기계고보정, 계기보정 등의 단계를 거친다. 이때 여러 조석보정과 계기보정 모델 중 어떤 모델을 사용하여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결정되어 있지 않아 중력자료 처리에 있어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조석보정 및 계기보정 모델들이 중력값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가장 적절한 모델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Longman과 Tamura가 제안한 천체에 의한 조석보정 모델은 약 0.0001mGal의 차이를 나타내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모델을 선정하여도 무방하였다. 그러나 지구조석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와 하지 않았을 때 차이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함을 명시하여야 한다. 또한 계기 보정은 공통점에서의 측정중력값 차이만을 이용하는 경우와 모든 측점을 이용하여 계기보정값을 결정하는 두 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보정 후 잔차의 값이 최대 0.04mGal까지 발생하여, 이론적으로 정확한 모든 점을 이용하는 모텔로 선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궤도 위성용 정밀궤도 계산모델 개발 (Precision Orbit Propagator for Low Earth Orbiters)

  • 김정래;노정호;기창돈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900-909
    • /
    • 2012
  • 저궤도 위성에 탑재하는 위성항법 수신기는 관측된 신호를 필터링하고 신호중단 시 궤도예측을 수행하는 항법필터를 장착하는데, 사용하는 위성동역학 모델이 필터성능을 주로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항법필터에 필요한 정밀위성동역학 알고리듬을 연구하고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정밀 중력가속도, 정밀좌표변환, 3체 중력, 대기저항, 태양복사압 모델을 결합하였으며, 해외 정밀궤도결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제 궤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기위치 정확도에 따른 궤도예측정확도를 분석 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위성탑재용 실시간 항법필터에 적용되는 동역학모델로는 충분한 정확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반도 일원의 중력측정 및 보정의 정밀화와 고밀도 부우게이상 (On the Improvement of Precision in Gravity Surveying and Correction, and a Dense Bouguer Anomaly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신영홍;양철수;옥수석;최광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5-215
    • /
    • 2003
  • 정밀하고 밀도 높은 부우게이상자료는 지구물리학과 물리측지학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이를 위해서 정밀한 절대중력기준점망의 설치외에도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하는데, 하나는 중력측정과 보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측점의 밀도를 높이는 일이다. 중력측정에서 GPS를 어떻게 적절히 이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40km이내의 기선거리에서 두 대의 측지용 GPS수신기를 이용하면, 5분간의 GPS측정으로도 충분하다고 여겨진다. 이 경우 PNU95 지오이드모델과 같은 정밀한 지오이드모델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비용 및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향상을 가져온다. 또 교점오차를 보정하고 지형효과를 정밀하게 계산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중력탐사에서 같은 지점에서 중복 측정하는 것은 스프링의 변이를 보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망조정을 적용함으로써 결과들에 대해 통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럼으로써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 큰 오차를 쉽게 찾아내고 보정하여 자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측정의 질을 평가할 수 있다. 최근의 컴퓨터 기술과 디지털 고도자료의 발달도 좀더 정밀한 지형보정을 사용하여 부우게이상의 질을 향상하도록 우리를 고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중력, 선상중력, 북한의 부우게이상도, 일본의 중력자료, 고도위성자료, EGM96 지오포텐셜 자료 등, 다양한 중력자료를 입수하였다. 따라서, 이들 자료를 계산하고 편집하여 한반도 일원의 정밀 부우게이상도를 작성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지구물리학과 물리측지학의 응용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모형실험에 의한 지오텍스타일의 중력배수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avity Drainage for Geotextiles by Model Tests)

  • 이상호;권무남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25-136
    • /
    • 199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gravity drainage for geotextile, small-scale model tests for the geotextile chimney drain of earth dam which is a typical type of gravity drainage were carried out using 15 kinds of nonwoven and composite geotexti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rainage discharge of geotexgile drain generally increases with exponential function as hydraulic head increases and the increasing rate is greater in the coarser soil of dam material. It has a trend to increase when the construction slope of geotextile drain is steeper and the number of layers of geotextile is 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missivity of geotextile and the drainage discharge has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ate of increase is greater in the coarser soil. The geotextile products must be careful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ransmissivity of geotextile when the soil to be drained is coarser and the seepage flow is relatively high. Most of staple fiber nonwoven geotextile used in this study are found to be appropriate for drainage purpose. Among them, the composite geotextile the type of which geotextile is evaluated to be the most excellent material. But the geotextile of low permeability such as filament thermal bonded and filament spunbonded nowovens closely examined their transmissivity especially to be used for drainage function.

  • PDF

3-D gravity terrain inversion for high resolution gravity data analysis

  • Lee Heuisoon;Park Gye-Soon;Kwon Byung-Doo;Oh Seok Hoon;Yang Junm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379-382
    • /
    • 2003
  • In gravity data correction process, mass effect of the upper part of base level is removed with Bouguer density. Usually, Bouguer density is estimated as a mean density in the field area. But, this may causes a serious problem when ore body is in the area. To overcome this problem, we tried to apply a new method mixing up mass corrections and inversion (3DGTI). 3-D Gravity Terrain Inversion (3DGTI) includes information of topography and distribution of Bouguer density. For this method does not remove the mass effect above base level, it is no longer useless to use Bouguer density. Numerical model tests have shown that the 3DGIT successfully retrieves the anomalous subsurface density distribution of both surface and deeper layers. Model tests shows that this method shows better results than those of conventional one, especially when main target is ore body. The inversion result well delineates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intruded granite body and basement.

  • PDF

다층 레이어 퍼셉트론 기반 INS 내장형 컴퓨터에서의 실시간 중력교란 보상 (MLP Based Real-Time Gravity Disturbance Compensation in INS Embedded Computer)

  • 김현석;김형수;최윤혁;조윤철;박찬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674-684
    • /
    • 2023
  • 이 논문에서는 INS의 항법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중력 교란에 대한 실시간 예측기법으로 다층 퍼셉트론 모델을 제안하였다. 적합한 MLP 모델을 선정하기 위해서 학습 정확도 및 실행시간을 비교할 수 있게 신경망의 크기가 다른 4개의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 MLP 모델의 학습을 위해 해상 또는 육상의 지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 및 중력교란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중력교란 데이터의 계산은 2160차의 EGM2008을 SHM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학습 정확도 평가에서는 MLP4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 되었고, 이후 실행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학습이 완료된 4개 모델의 가중치와 바이어스 항들을 INS의 내장형 컴퓨터에 저장하여 MLP 모델을 구현하였다. 4개 모델 중 MLP4의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중력 교란 보상을 통한 INS의 항법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면부 변형형태에 따른 보강토 벽체 구조물의 파괴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ilure Behavior of the Reinforced Earth Wal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Deformed Types of the Face)

  • 김준석;이상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67-17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전면부 변형형태에 따른 보강토옹벽의 파괴거동을 탄소봉 모형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에서는 모형 보강토 벽체의 전면판 변형 형태를 상부변형, 수평변형, 하부변형 등 3종류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변형된 벽체의 파괴선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사진촬영 기법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상부변형의 조건일 경우 파괴선은 포물선의 형태를,수평이동의 조건일 경우 파괴선은 매우 큰 원호의 형태를 보였으며, 하부변형의 조건일 경우 파괴선은 직선화된 대수나선형태를 보였다. 현재 설계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복합중력식 설계법의 가상파괴선은 하부변형 조건의 파괴선과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 PDF

극소형 위성 HAUSAT-1의 3축 자세 안정화 시스템 설계 (The 3-Axis Attitude Stabilization System Design of Picosat Hausat-1)

  • 서승원;정남숙;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100-111
    • /
    • 2003
  • 극소형 피코위성 HAUSAT-1(Hankuk Aviation University SATellite-1)의 궤도는 고도 650km~800km, 경사각 65도 또는 98도에서 비행할 예정이다. 저궤도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외란으로 작용하는 요소 중 지구중력과 지구 자기장에 의한 영향이 크다. HAUSAT-1은 자세제어를 하기 위해서 자기 토커를 사용하며, 부가적으로 탑재체인 태양전지셀 전개 매커니즘을 중력구배 붐으로 사용한다. 위성의 자세 안정화 성능을 판단하기 위해서 MATLAB을 이용해서 시뮬레이션 하였고, 시뮬레이션은 8차 자기장 모델, 비선형 외란 방정식, 그리고 비선형 위성 자세방정식을 사용해서 수행되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HAUSAT-1의 중력구배붐 전개 전과 후 그리고 외란에 의한 자세 변화를 확인하고 결과를 비교했다. 자기 토커를 이용한 효율적인 HAUSAT-1의 자세제어 시스템 개발을 위한 자세 안정화 방법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3D Density Modelling of the Yellow Sea Sedimentary Basin

  • 최승찬
    • 지구물리
    • /
    • 제7권4호
    • /
    • pp.283-291
    • /
    • 2004
  • 황해안 대륙붕 지역의 Quinling-Dabie-Sulu 대륙 충돌대의 위치와 퇴적분지의 지하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자원 연구원 탐해 2호에 의해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측정된 중력 데이터에 의한3차원 지하구조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황해안 연구지역 내의 중력 이상은 주로 퇴적층과 기반암 사이 경계면의 밀도 및 깊이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대륙 충돌대라고 여겨지는 고밀도 지각구조는 황해안 퇴적분지의 남쪽으로 부터 북동 방향으로 한반도의 중서부 지역으로 연결되며, 퇴적 분지 내의 현저하게 밀도가 낮은 물질의 총 부피는 약 20,000 km3 정도로 추정되었다.

  • PDF

Impacts of the Spaceflight to the Immune System

  • Sultonov, Doston;Kim, Young Hyo
    • 항공우주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3-76
    • /
    • 2021
  • Changes the gravity has a significant affect on the immune system. Astronauts experience the gravity changing during spaceflight, especially when launching and landing they experience hypergravity, and during spaceflight they feel microgravity. Both hypergravity and microgravity has an impact to the immune system, but not the same effect. These impacts have been investigated extensively during spaceflight in astronauts and in model experiments conducted on Earth as well. Astronauts during spaceflight feel the hypergravity, psychological stress, fear, high doses of radiation and microgravity. All these factors and changes may affect immune system directly or indir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