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phone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대학생의 청력수준과 혈압측정의 정확도 (Nursing Students' Hearing Levels and Blood Pressure Measurement Accuracy)

  • 김희영;정영해;김윤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5-28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hearing levels and accuracy of blood pressure (BP) measurem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07 students who had finished thei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and clinical practicum and who used earphone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3 to November 30, 2014 and from April 30 to May 19, 2015. Students' hearing thresholds were examined using an audiometer. Students were assigned to take two BP measurements on BP measurement training simulators, but only the second measurement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All nursing students' hearing levels were within normal ran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among the settings for diastolic blood pressur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w systolic blood pressure (SBP) (below 120mmHg) and high SBP (over 140mmHg) (z=9.02, p=.011). Measurement error in SBP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ring threshold in the right ear at frequencies of 1000Hz and 500Hz.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BP measurement error is correlated with hearing threshold at some frequencies. To reduce measurement error, nursing students should be provided with health education about hearing and to improve training for students, further studies need to examine other factors influencing BP measurement error.

선호음악요법이 자궁절제술 환자의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avorite Music Therapy on Stress Response in Patients Undergoing Hysterectomy)

  • 양정임;유광수
    • 임상간호연구
    • /
    • 제23권1호
    • /
    • pp.30-39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favorite music therapy on the stress response of hysterectomy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esthesia. Methods: Date were collected from June 29, 2015 to January 18, 2016 and the participants were 79 hysterectomy patients (experimental group 40 and control group 39). The experimental group listened to their favorite music through earphones from the moment they entered the surgical waiting room until they exited from the post anesthesia care unit.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F=15.92, p<.001), systolic blood pressure (F=4.23, p=.008), diastolic blood pressure (F=3.07, p=.033), and heart rate (F=19.93, p<.001) between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measurement time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favorite music therapy considering patients' preferences is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among patients undergoing a hyster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thus leading to a stable change in their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utomated Audiometry: A Review of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ethods

  • Shojaeemend, Hassan;Ayatollahi, Haleh
    •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263-275
    • /
    • 2018
  • Objectives: Automated audiometry provides an opportunity to do audiometry when there is no direct access to a clinical audiologist. This approach will help to use hearing services and resources effici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tudies related to automated audiometry by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of an audiometer, the use of transducers and evaluation methods. Methods: This review study was conducted in 2017. The papers related to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ed audiometry were searched in the following databases: Science Direct, Web of Science, PubMed, and Scopus. The time frame for the papers was between January 1, 2010 and August 31, 2017. Initially, 143 papers were found, and after screening, the number of papers was reduced to 16. Result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methods were categorized into the use of software (7 papers), hardware (3 papers) and smartphones/tablets (6 papers). The used transducers were a variety of earphones and bone vibrators. Different evaluation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the reliability of the diagnoses. However, in most studi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utomated and traditional audiometry. Conclusions: It seems that automated audiometry produces the same results compared with traditional audiometry. However, the main advantages of this method; namely, saving costs and increased accessibility to hearing services, can lead to a faster diagnosis of hearing impairment, especially in poor areas.

보행중 스마트기기 사용에 따른 교통사고 위험성 연구 (A Study on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using Smart Devices while Walking)

  • 유순덕;강수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74-82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impacts of distractions caused by smartphones on pedestrians whilst walking alongside or across vehicular traffic in a high-density urban zone in South Korea.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objective evidence for a link between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and distractions from smartphones for pedestrians because of less likely notice activities surrounding road along their walking. This means that smartphones usage may cause inattentional blindness even during a simple activity that should require few cognitive resources. We conducted an experiment comparing pedestrian behavioral patterns of walking with smartphone distractions (such as listening to music with earphones or sending text messages) and normal walking without any distractions. In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alked along a pedestrian path prescribed by researchers and were observed at 8 points which were as follows: two observation points through which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listen to music whilst walking, two points wher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send text messages, and four points through which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not to use a smartphone at all. According to pedestrian behavior analysis, there is a trend for attention to be distributed amongst whatever other activities pedestrians are doing whilst walking.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pedestrians walking with such distractions are at a higher risk of traffic accidents compared to those who walk without such distractions. Thus, we advise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consider ways to traffic policy that will enhance traffic safety for pedestrians.

스마트패션제품 개발 동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fashion product development trends)

  • 서성은;노정심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6호
    • /
    • pp.1097-1115
    • /
    • 2015
  • ICT in the IOT era is the core basis of modern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cent commercialization trends of smart fashion products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to utilize them as the basis of data for developing user-friendly smart fashion products that can meet the needs of consumers. Keyword research using the most representative search engines, Google and Naver was conducted for searching for various wearable items commercialized actively since 2010. The final 78 products were classified by the physical area, and the key features and benefits were analyzed. Smart fashion products were classified as four physical types for the head and face, torso, arms and hands, and ankles and feet. Smart fashion products for each body part were developed in various ways, such as hats, glasses, lenses, virtual screens, earphones, headsets, clothing, watches, wrist bands, gloves, rings, wallets, bags, anklets, shoes, socks, and insoles. The main features were music playback, bluetooth, a camera based on NFC, virtual effects, health and safety protection through measuring heartbeat and momentum, and social network sharing of all kinds of information, based on inter-working with a smartphone. These functions represent the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interactions among users and their surroundings, as well as the users, themselves.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in future studies on planning user-friendly and marketable product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mart fashion products as well as consumer responses.

소음성 난청 진전도 측정을 위한 청력측정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Hearing Test to Measure Progress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 권형준;이성태;배명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4-190
    • /
    • 2010
  • 최근 노화현상 외에도 소음으로 인한 청력저하를 호소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의 보급과 휴대용 정보기기의 발달로 지속적인 소음에 장시간 노출되어 청각 세포의 손상이 발생하여 청력 손실이 발생하는 소음성 난청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순음청력검사는 8000 Hz까지의 주파수대역을 수동으로 조절하며 검사하므로 8,000 Hz 이상의 확장 고주파수에서도 손실을 가져오는 소음성 난청의 경우 회화 영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조기에 청력저하를 파악하여 예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12,000 Hz∼20,000 Hz 고주파 대역을 이용하여 소음성 난청을 조기에 파악하여 예방하기 위한 청력측정법을 제안하였다. 휴대용 정보기기를 통해 이어폰을 많이 사용하는20대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제안한 측정법으로 청력을 측정한 결과 36 %가 소음으로 인한 청력 저하를 보였다. 그 중 2 %는 청력의 손실정도가 심각함을 보였다.

다채널 오디오 코딩을 위한 MPEG Surround-1부: 기본 구조 (MPEG Surround for Multi-Channel Audio Coding-Part 1: Basic Structure)

  • 방희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599-609
    • /
    • 2009
  • 최근 국제 표준으로 등록된 MPEG의 다채널 오디오 코딩 기술인 MPEG Surround에 대해 소개한다. 이 오디오 표준은 멀티채널 신호를 다운믹스하여 모노나 스테레오 신호를 생성하고 동시에 공간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부호화 과정을 수행한다. 복호화 과정에서는 다운믹스 신호와 공간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다채널 신호를 생성하는데, 다운믹스 신호는 AAC나 MP3등 일반 오디오 코딩 방법에 의해 부호화하며 공간 파라미터들도 매우 낮은 정보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매우 적은 비트율을 사용하여 고음질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간 파라미터들을 무시할 경우 휴대용 오디오 재생 기기에서 다운믹스 신호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기존 코딩 방법에 대해 역방향 호환성을 가진다. 본 논문의 1부에서는 MPEG Surround의 기본 구조에 대해 소개하고, 이어지는 2부에서는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이용하여 가상의 5.1 채널을 지원하는 바이노럴 모드를 포함해 다양한 모드와 툴들에 대해 소개한다. 여러 회사와 기관들에 의해 수행된 청취 평가의 결과도 함께 보이고 있다.

다채널 오디오 코딩을 위한 MPEG Surround-2부: 다양한 모드 및 툴들 (MPEG Surround for Multi-Channel Audio Coding-Part 2: Various Modes and Tools)

  • 방희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610-61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MPEG Surround의 다양한 모드들과 툴들에 대해서 소개한다. MPEG Surround바이노럴 모드의 경우 HRTFs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를 이용하여 가상의 5.1 채널을 지원하기 때문에 휴대용 오디오 기기에서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MPEG Surround는 부가 정보 없이 스테레오 채널을 5.1 채널을 지원하는 Enhanced Matrix 모드, 기존의 3D 코딩 신호에 적용할 수 있는 3D 스테레오 모드, 복호화 과정에서 연산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저전력 (Low Power)버전 등을 지원한다. 이 외에도, MPEG Surround는 아티스틱 다운믹스 신호에 대해 적용하는 Arbitrary Downmix Gain (ADG)툴, 기존의 행렬 근거 방법들에 의한 다운믹스 신호에 적용되는 행렬 호환성 (Matrix Compatibility)툴, 고비트율을 사용할 수 있을 때 적용되는 잔차 신호 코딩 (Residual Coding)툴, 박수 소리 등 특정 신호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GES (Guided Envelope Shaping)툴 등을 지원한다. 중요한 모드 및 툴들에 대해 여러 기관에 의해 수행된 청취 평가의 결과도 함께 보이고 있다.

장애보조기구와 스마트 웨어러블의 경계 붕괴: 스타키 보청기 사례 연구 (Breakdown of Boundaries Between Assistive Devices and Wearbles: An Evolutionary Case Study of Starkey Hearing Aid)

  • 표유진;이정우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23-41
    • /
    • 2022
  • 본 사례연구는 보청기 전문회사인 Starkey Hearing Technologies(Starkey) 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애보조기구인 보청기가 어떻게 스마트 기기의 범주로 들어오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1967년에 설립된 Starkey는 형태 및 기능 등 보청기의 혁신을 주도하여 온 것으로 보이며, 최근에는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 및 생체 센서를 탑재한 보청기를 출시하는 등 최신 4차산업혁명 기술들을 활용한 보청기를 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보조기구 전반과 Starkey를 대표로 하는 보청기, 그리고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이어폰의 발전 과정의 단계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최근에는 보청기의 기능이 단순한 장애 보조를 넘어서 장애인들의 엔터테인먼트 및 생활 보조를 위한 기능까지 확장되며 기존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장애보조기구 간의 경계가 붕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보조기구와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의 발전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변화되는 기기들에 맞추어 예상되는 사회 변화를 논하였다.

선조외 신체 영역에서 도구 행동유도성과 행위 주체감의 상호작용 (The interaction between tool affordance and the sense of agency in the Extrastriate Body Area)

  • 김효정;박정호;이도준
    • 인지과학
    • /
    • 제24권1호
    • /
    • pp.49-69
    • /
    • 2013
  • 우리가 타인과 상호작용하거나 물체를 사용하는 동안 뇌에서는 신체 이미지를 추적하고 행위의 주체를 파악하려는 신경 정보처리가 끊임없이 이루어진다. 선조외 시각 피질(Extrastriate Body Area, EBA)은 신체에 관한 시각 입력과 우리 자신의 움직임에 관한 내적 신호들을 통합하여 행위 주체감(sense of agency) 생성을 위한 초기 신경 표상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물체의 기능적 특성이 행위주체에 따라서 어떻게 반영되는지 알려진 바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 기법을 활용하여 자신 또는 타인이 도구를 사용하는 장면을 참가자들이 상상할 때 도구의 행동유도성(affordance)이 EBA의 신경 반응에 끼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각 시행에서 참가자들은 신체를 향해 사용하는 도구(예, 망원경)나 신체 바깥 방향으로 사용하는 도구(예, 주사위)를 제시받았다. 이 때, 도구를 둘러싼 사각형 테두리의 색깔에 따라서 참가자들은 자신 혹은 타인이 그 도구를 사용한다고 상상하였다. 실험 결과, 우반구 EBA는 참가자가 '자신'의 행위를 상상할 때 바깥 방향 도구 조건보다 신체 방향 도구 조건에서 더 많이 활성화되었으나, 참가자가 '타인'의 행위를 상상할 때는 도구의 사용 방향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후속 검사에 따르면 자신 조건과 타인 조건에서 각각 상상하는 동안 참가자가 느낀 생동감의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EBA가 도구의 행동유도성 정보를 신체 도식에 반영함으로써 행위 주체감을 향상시키고 우리 자신의 행동을 안내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