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omplication

검색결과 615건 처리시간 0.026초

Cytokine Storm Related to CD4+ T Cells in Influenza Virus-Associated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 Shushu Wang;Dongyao Wang;Xuesong Wang;Mingwu Chen;Yanshi Wang;Haoquan Zhou;Yonggang Zhou;Yong Lv;Haiming Wei
    • IMMUNE NETWORK
    • /
    • 제24권2호
    • /
    • pp.18.1-18.12
    • /
    • 2024
  •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ANE) is a rare but deadly complication with an unclear pathogenesis. We aimed to elucidate the immune characteristics of H1N1 influenza virus-associated ANE (IANE) and provide a potential therapeutic approach for IANE. Seven pediatric cases from a concentrated outbreak of H1N1 influenza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CD4+ T cells from peripheral blood decreased sharply in number but highly expressed Eomesodermin (Eomes), CD69 and PD-1, companied with extremely high levels of IL-6, IL-8 in the cerebrospinal fluid and plasma. Patient 2, who showed high fever and seizures and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very early in the disease course, received intravenous tocilizumab and subsequently showed a reduction in temperature and a stable conscious state 24 h later. In conclusion, a proinflammatory cytokine storm associated with activated CD4+ T cells may cause severe brain pathology in IANE. Tocilizumab may be helpful in treating IANE.

Surgical treatment of feline intracranial meningiomas: a retrospective study of 26 cases

  • Charles Porsmoguer;Margaux Blondel;Pierre H. M. Moissonnier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25.1-25.12
    • /
    • 2024
  • Background: Surgical excision i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feline intracranial meningioma. Objectives: To report clinical findings, complications, and outcomes following surgery for feline intracranial meningioma. Methods: Medical records (01/2000-01/2017) of cats that underwent surgical excision of an intracranial meningioma at our institution were reviewed. Patient data included signalment, clinical signs, surgical technique, complications, histopathologic diagnosis, survival time, and owners' answers to a satisfaction questionnaire. Survival was assess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log-rank test. Results: Twenty-six ca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exact cause of death was known in 17 cases and was not related to meningioma in 9/17 cases. Overall median survival time was 881 days (95% confidence interval 518; 1248). The age of the cat did not influence survival (p = 0.94) or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p = 0.051). Complications occurred in 13/24 cats, including dramatic complications in 4/24 cats. Most complications appeared in the first 24 hours post-surgery (12/13). Males had mo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p = 0.042), including more seizures (p = 0.016). Cats with cranioplasty had fewer complications (p = 0.021). Clinical recurrence was confirmed in 3 out of 17 cats. Recurrence-free survival time was 826 days. Most owners (12/14) were satisfied with the outcome. Conclusions: Surgical treatment of intracranial meningioma in cats was associated with a long median survival time but also with a high rate of minor and maj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early postoperative seizures. Cranioplasty may reduce complications. Age at the time of surgery had no effect on outcomes.

경피적 풍선성형술의 합병증으로 발생한 슬와동맥 거대 가성동맥류의 성공적인 인터벤션 치료: 증례 보고 (Successful Interventional Treatment of a Huge Pseudoaneurysm of the Popliteal Artery Caused by a Percutaneous Balloon Angioplasty Complication: A Case Report)

  • 김현민;노승연;권세환;고현민;안형준;오주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5호
    • /
    • pp.1185-1190
    • /
    • 2023
  • 가성동맥류는 경피적 풍선성형술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가성동맥류의 파열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발생할 경우 환자의 죽음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3개월 전 실시한 경피적 풍선성형술의 합병증으로 발생된 증상을 동반한 좌측 슬와동맥 거대 가성동맥류를 가진 34세 말기신부전 남자 환자의 증례를 보고한다. 가성동맥류는 인터벤션 치료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되었고, 환자는 추적기간 동안 다른 합병증 없이 잘 회복되었다.

Aortic valve replacement through right anterior mini-thoracotomy in patients with chronic severe aortic regurgitation: a retrospective single-center study

  • Eun Yeung Jung;Ji Eun Im;Ho-Ki Min;Seok Soo Le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1권3호
    • /
    • pp.213-219
    • /
    • 2024
  • Background: Aortic valve replacement (AVR) has recently been performed at many centers using a minimally invasive approach to reduce postoperative mortality, morbidity, and pain. Most previous reports on minimally invasive AVR (MiAVR) have mainly focused on aortic stenosis, and those exclusively dealing with aortic regurgitation (AR) are fe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rly surgical results and review our experience with patients with chronic severe AR who underwent AVR via right anterior mini-thoracotomy (RAT). Methods: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in this single-center study. Eight patients who underwent RAT AVR between January 2020 and January 2024 were enrolled. Short-term outcomes, including the length of hospital stay, in-hospital mortalit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echocardiographic data, were analyzed. Results: No in-hospital mortalities were observed. Postoperative atrial fibrillation occurred temporarily in three patients (37.5%). However, none required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 or renal replacement therapy. The median values of ventilator time, length of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hospital stay were 17 hours, 34.5 hours, and 9 days, respectivel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o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were similar. However, the left ventricular end systolic and diastolic diameters significantly decreased postoperatively from 42 mm to 35.5 mm (p=0.018) and 63 mm to 51 mm (p=0.012), respectively. Conclusion: MiAVR via RAT is a safe and reproducible procedure with acceptable morbidity and complication rates in patients with chronic severe AR. Despite some limitations such as a narrow surgical field and demanding learning curve, MiAVR is a competent method for AR.

Optimal timing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 and subsequent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acute cholecystitis

  • Jung Suk Lee;Seung Jae Lee;In Seok Choi;Ju Ik Moon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9-167
    • /
    • 2022
  • Backgrounds/Aims: The optimal timing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 (PTGBD) and subsequent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LC)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acute cholecystitis (AC)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Methods: This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695 patients with grade I or II AC without common bile duct stones who underwent PTGBD and subsequent LC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9. Difficult surgery (DS) (open conversion, subtotal cholecystectomy, adjacent organ injury, transfusion, operation time ≥ 90 minutes, or estimated blood loss ≥ 100 mL) and poor postoperative outcome (PPO) (postoperative hospital stay ≥ 7 days or Clavien-Dindo grade ≥ II postoperative complication) were defin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outcomes, respectively. Results: Of 695 patients, 403 had grade I AC and 292 had grade II AC. According to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n interval from symptom onset to PTGBD of > 3.5 days and an interval from PTGBD to LC of > 7.5 day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DS and PPO, respectively, in grade I AC. In grade II AC, the timing of PTGBD and subsequent LC were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DS or PPO. Conclusions: In grade I AC, performing PTGBD within 3.5 days after symptom onset can reduce surgical difficulties and subsequently performing LC within 7.5 days after PTGBD can improve postoperative outcomes. In grade II AC, early PTGBD cannot improve the surgical difficulty. In addition, the timing of subsequent LC is not correlated with surgical difficulties or postoperative outcomes.

자궁경부암의 수술후 방사선 치료성적 (Treatment Result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of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박찬일;김정수;김일한;하성환;이효표;신면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권2호
    • /
    • pp.103-111
    • /
    • 1985
  • 조기자궁경부암의 치료에는 환자 개개의 특성에 따라 근치적수술 또는 근치적방사선치료가 행해지고 있으며, 그 치료성적은 비슷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근치적 수술후 병리조직 소견에 따라 원발병소가 크거나, 임파절전이, 혈관 또는 임파관의 종양 침윤이 있으면 이들 소견이 없던 경우에 비해 재발이 현저히 높고, 생존율이 반으로 줄게 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출후 방사선 치료가 시행되고 있으나 생존율에 대한 기여에는 아직 논란이 많다. 이에 1979년 2월부터 1982년 9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203예에 대한 치료성적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환자에 있어 actuarial 3년 생존율은 $83.4\%$이었으며 3년 무병 생존율은 $73.4\%$이었다. 병기에 따른 actuarial 3년 생존율은 $I_B,\;II_A,\;II_B$, 각각 $90.7\%,\;69.6\%,\;85.2\%$이었다. 병기별 3년 무병 생존율은 $I_B,\;II_A,\;II_B$ 각각 $79.8\%,\; 67.8\%,\;68.3\%$이었다. 재발은 총 203예중 51예 $(25.1\%)$에서 관찰되었으며 이중 국소재발이 $8.4\%$, 원격전이가 $14.3\%$이었고,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함께 있던 경우가 $2.4\%$이었다. 병기별 재발율은 $I_B,\;II_A,\;II_B$에서 각각 $19.8\%(18/91예),\;29.1\%(16/55예),\;29.8\%(17/57예)$이어다. 합병증중 급성으로 나타난 것이 $57.6\%$이었으나 $7.4\%$만이 심한 증상을 보였고, 만성 합병증은 $7.9\%$에서 관찰되었으며, 장폐색, 비뇨기계증상의 악화, 방사선 방광염등의 순이었다.

  • PDF

가와사끼병 환아에서의 혈장 및 호중구의 Elastase 활성도와 관상동맥 증대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Neutrophil Elastase and Coronary Arterial Dilatation in Kawasaki Disease)

  • 심준용;최희원;홍자현;이종균;이해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9호
    • /
    • pp.903-908
    • /
    • 2003
  • 목 적 : 가와사끼병은 어린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급성 열성 발진성 질환으로 치명적인 관상동맥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질환의 급성기에 관찰되는 호중구 증가와 이 때 분비되어 혈관염 유발에 관여하는 elastase는 가와사끼병의 관상동맥 합병증의 병인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이 질환의 아급성기 합병증인 관상동맥 증대와 초기 elastase 활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관상동맥 합병증의 예측인자로서의 elastase 활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2001년 11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연세의료원 소아과에 가와사끼병으로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아 10명을 대상으로 입원 당일과 발병 4주일 후에 말초 혈액 혈장과 호중구에서 elastase의 활성도를 각각 측정하였고 혈액을 채취한 날 심장 초음파 검사를 같이 시행하여 좌, 우측 관상동맥 근위부의 최대내경을 측정하여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가와사끼병에서 elastase 활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을 증명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다른 열성 질환 환아 15명의 말초혈액 혈장과 호중구 추출물의 elastase 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1) 가와사끼병 환아들의 혈장 내 elastase 활성도는 $6.19{\pm}0.74U/mL$로 열성 질환군의 $4.86{\pm}1.17U/m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호중구 추출물의 elastase 활성도는 가와사끼병군과 열성 질환군 각각에서 $6.35{\pm}1.70A/{\mu}g$$7.78{\pm}4.14A/{\mu}g$으로 양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가와사끼병 환아에서의 초기 혈장 elastase 활성도와 아급 성기 관상동맥의 증대 정도에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결 론 : 가와사끼병에서 다른 열성 질환에 비해 혈장 elastase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나 아급성기의 관상동맥 증대와 급성기 elastase의 값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어 관상동맥 합병증을 예측하는 인자로서의 elastase 역할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On-X 기계판막을 이용한 판막치환술의 단기성적분석 (Early Clinical Experience in Valve Replacement Using On-X Prosthetic Heart Valve)

  • 김인섭;김우식;신용철;유환국;김병열;정성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9호
    • /
    • pp.742-748
    • /
    • 2004
  • On-X 판막은 비교적 최근 소개된 이엽성 기계판막으로 국립의료원에서 시행한 28명의 환자의 단기 임상성적을 통하여 판막의 안정성과 유용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3년 5월까지 On-X 판막을 이용하여 32예의 판막치환술을 받은 28명의 연속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승모판막 치환 12예, 대동맥 판막치환 10예 그리고 승모판막 및 대동맥판막치환 6예이었다.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 및 사망률에 대한 정의 및 분류는 심장 판막수술에 대한 AATS/STS 지침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추적기간은 64환자-년이었고 평균 27개월이었다 결과: 수술 후 30일 이내의 조기 사망률은 7.14% (2/28)이었으며 만기사망은 없었다. 2년 생존율은 전체적으로 92.86$\pm$4.87% 이며 대동맥판막치환술이 90$\pm$9.49%, 이중판막치환술이 83.3$\pm$1.52%, 승모판막치환술이 100%로 나타났다. 혈전 색전증이 가장 많은 합병증으로 2예가 있었으며 모두 승모판막치환 증례에서 발생되어 Linearized Ratio는 총 3.17%/환자-년이었으며 승모판막만을 보면 6.5%/환자-년이었고 항응고제와 관련 된 출혈, 판막폐쇄증, 판막주위누출, 심내막염 등의 합병증의 모든 예에서 발생되지 않아 판막관련 합병증이 없는 2년간의 빈도는 84.85 $\pm$ 10.75% (freedom from valve related complication)이었다. 수술전 NYHA Class III 이상인 증례가 24예(85.71%)이었으나 수술 후에는 NYHA Class I 또는 II에 속하는 증례가 25예로 89.29%를 보였다. 용혈척도로서 혈색소 수치, 혈장 LDH, 망상적혈구수치, 간접 빌리루빈치는 수술 3개월 후 검사에서 모두 정상수치를 보였다. 수술 후 3개월 추적관찰 시 시행한 심초음파상 승모판막의 최대 압력차는 6.1 $\pm$ 1.8 mmHg, 평균 압력차는 3.0$\pm$0.6 mmHg이었고 유효 개구 면적은 판막 직경 27 mm, 29 mm, 31 mm, 33 mm 각각 2.54$\pm$0.56 $m^2$, 2.39 $\pm$0.73 $m^2$, 2.34 $\pm$0.55 $m^2$, 2.40$\pm$0.63 $m^2$이었다. 대동맥판막의 최대 압력차는 21.1$\pm$14.12 mmHg,평균 압력차는 12.3$\pm$6.52 mmHg. 결론: On-X 판막수술 후 사망률, 판막관련합병증, 도플러 심초음파상 다른 판막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점과 NYHA Class의 호전과 정상수치를 유지하는 용혈지표를 고려한다면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증례의 축적과 장기간의 임상분석이 이루어지면 안전하고 유용한 판막으로 입증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판막첨 연장술을 이용한 대동맥판막 성형술의 중기성적 평가 (Aortic Valvuloplasty Using Leaflet Extension Technique)

  • 안혁;김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656-662
    • /
    • 1997
  • 대동맥판막 질환에 대한 판막 성형술이 판막 치환술의 대치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서을 대학교 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5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14명의 환자에서 자가 심낭 편을 이용한 판막첨 연장 술로 대동맥 판막성형술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34.8$\pm$15.3세이었으며, 남자가 11명, 여자가 3명이었다. 수술전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 및 심도자 검사에서 협착증을 동반하지 않은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 환자로 폐쇄부전 정도는 평균 3.4$\pm$0.65였으며, 이중 4명의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의 승모판 폐쇄부전증을 동반하고 있었다. 수술은 0.625% glutaraldehyde 용액에 15분간 고정시킨 자가 심낭 편을 이용하였으며, 12명의 환자에 서는 세 개의 판막첨을 모두 연장시켜 주었으나, 2명의 환자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판막의 판막첨만을 연장 시켜 주었으며, 승모판 폐쇄부전증을 동반한 4명에서 승모판 성형술을 동시에 시행하여 주었다. 14명 모두에 서 수술중 경식도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폐쇄부전이나 협착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술 후 평균 7.4 $\pm$2.1일에 심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경도의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이 3명에서 나타 돛만\ulcorner 승모판 성형 술을 시행한 환자 중 1명에서 경한 정도의 승모판 폐쇄부전이 나타났다. 좌심실의 수축기말과 확장기말 구획 은 수술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p<0.05)의 감소를 보였다. 수술 직후의 사망 환자는 없었다. 수술 후 평균 7.9$\pm$5.9개월간 추적 조사 기간 중 만기 합병증은 2명에서 나타났다. 심내막염 및 대동맥 판막의 증식물이 수술 후 7개월 째 발견되어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가 1명 있었으며, Behcet증후군 환자에서 수술 후 3개월 째 갑작스런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이 나타나 Ross수술을 받은 환자가 1명 있었다. 대동맥 판막의 판막첨 연장술의 조기 성적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젊은 연령의 폐쇄부 전증 환자에서 판막치 환술의 대치술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자가 심방편의 비후,석회화,또는 파열 등의 내구성에 대한 오랜 기간의 추적 검사가 필요하리라 본다.

  • PDF

이식 초기 이식신 기능 평가에서 $^{99m}Tc$-MAG3 신관류 지표의 유용성 (Utility of $^{99m}Tc$-MAG3 Perfusion Indices in the Evaluation of Renal Transplant Function During Early Post-transplantation Period)

  • 김성훈;정수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97-507
    • /
    • 2000
  • 목적: 저자들은 이식 초기 이식신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한 $^{99m}Tc$-MAG3 신신티그라피에서 측정한 관류기 지표의 특성과 소견을 알아보고 신장 기능 이상을 초래하는 합병증의 진단에 이들 지표들이 얼마나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신장 이식을 받은 환자 80명(남자: 48명, 여자: 32명, 평균 나이: 40.3세)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직검사, 검사실시험 소견 및 임상 경과 등을 종합하여 진단하였다. 신신티그라피는$^{99m}Tc$-MAG3, 100 MBq을 사용하여 이식 후 11일-23일 사이에 얻었다. 신전체 및 신피질 레노그람에서 측정한 신관류 지포는 Hilson관류지표(PI), 이식신 관류지표(TP)와 이식신 기능지표(TF)였고, 신기능 지표는 최대방사능 도달시간(Tmax)과 3분과 20분 방사능 비(K20/3)였다. 결과: 신신티그라피 시행 당시의 진단은 정상 신기능을 보인 경우가 44예, 급성거부가 14예, 급성 세뇨관괴사가 10예이었고 싸이클로스포린 A 신독성은 12예이었다. TP와 TF는 정상 신기능 군에 비해 합병증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지만 PI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정상 신기능 군에 비해 K20/3은 급성 거부와 급성세뇨관괴사에서, 신전체 Tmax은 급성거부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 합병증 군들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관류기 지표는 없었고 신기능 지표 중 K20/3은 싸이클로스포린 A 신독성에 비해 급성거부에서, 신피질 K20/3은 급성세뇨관괴사에서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99m}Tc$-MAG3 신신티그라피를 이용한 이식 초기 이식신의 기능 평가에는 최초 동맥기 이후의 미세 관류와 초기 세뇨관 섭취를 나타내는 지표들인 TP와 TF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신신티그라피 일 회 검사로 신장 기능의 이상을 초래하는 합병증의 감별은 쉽지 않지만 신 관류와 기능 지표를 연관시키고 검사 당시 질병의 진행 과정과 정도를 고려하면 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