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Curriculum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4초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의 교과과정 중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Arts Education in the 4th year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metropolitan universities-)

  • 박주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360-372
    • /
    • 2017
  • 문화예술교육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와 언어능력과 창의적인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정서지능을 함양시킬 뿐만아니라 다양한 시각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다양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데 많은 효과가 있었음이 검증되면서 최근에 문화예술교육의 관심은 유아기 예술경험의 중요성과 더불어 예술능력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수준 높은 문화예술교육은 폭넓은 문화예술의 소양과 감각을 지닌 교사와 문화예술전문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정규수업에서 통합적인 영역을 다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한 일이다. 그러므로 유아교사 양성에 있어서 강화된 문화예술교육을 포함하는 것은 유아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으로 볼 때 매우 필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4년제 대학의 교과과정 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 양성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의 문화예술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교과과정의 개선과 특성화 방안을 제안해 보면, 유아교사의 문화예술역량 향상을 위해 문화예술능력의 기준과 이수교과목을 제도적으로 규정하고 문화예술전문가에 의한 교육으로 문화예술교과의 확대와 통합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대사회가 지향하는 인재양성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은 유아기 때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때 그 효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아문화예술교육은 유아의 예술적 체험을 통한 전인적인 인격형성이 목적이기에 유아교사의 양성과정에서 제도적으로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하고 문화예술영역에 소양과 감각을 기를 수 있는 체험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향 후 각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는 예술문화의 수용력과 해득력을 높일 수 있는 진정한 문화예술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폭넓은 문화예술교과의 연계와, 융합 등에 대한 개선적인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유아교사의 메이커 교육 인식에 기초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 방향 (The Composition of Teacher Curriculum based on Maker Education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이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05-61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의 메이커 교육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메이커 교육에 대한 교사 교육 과정 구성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메이커 교육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 결과 메이커 교육에 대한 개념 및 의미와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은 낮게 나타난 반면 메이커 교육의 효과, 중요성, 가치, 지속적 적용과 발전가능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메이커 교사교육과 교육환경 구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조사결과를 기초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은 크게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분류하였다. 기본과정에는 메이커 교육과 메이커 스페이스의 개념 및 의미 등에 대한 기반 내용을 포함시켜 인식과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심화과정에서는 다양한 도구, 재료 및 디지털 매체 활용방법과 메이커 교육 수행 방법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메이커 교육활용 능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메이커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구성안은 향후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들의 디지털 수업역량을 강화하는데 기본방향을 제안해 줄 수 있다.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Robotics curriculum based on "Bee-Bot"

  • Nam, Ki-won;Kwon, Un-jou;Han, Seung-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79-85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robotics curriculum based on "Bee-Bot" on the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on 5-year-old children. A robotics curriculum was also designed to enhance their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This study examined a 4-week robotics curriculum was conducted 12 times for 4 weeks. For this study, 14 children in kindergarten A in Korea were set up as a treatment group and 18 children in kindergarten B in Korea as a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children in the treatment group who engaged in the robotics curriculum using "Bee-Bot" performed better on scientific problem-solving test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an enhanced planning experience using "Bee-Bot" was beneficial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Th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ppropriate curricula using "Bee-Bot" robots for kindergarteners are addressed.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도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 민광순;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9-7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new paradigm in Korean societ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directors, teachers, and parents of private & public kindergartens, as well as child care centers, in Bucheo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frequencies, $X^2$ test, F test,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Most directors, teachers, and parents positively agreed with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ecognized its benefits. (b) In order for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be successful,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systematic study, ongoing teacher training, and parents' education were required. (c) In order for the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evelop more culturally appropriate program, close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y, reorganization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government support were needed.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future wellbeing of Korean society.

유치원 교실에서 교사가 부르는 변형된 노래의 양상과 의미 연구 (The Meaning and Use of Modified Songs b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 정경수;손승학;임부연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3-27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ole of the variation of songs b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where song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aging the daily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demonstrated a high degree of competency to transform and modify a variety of songs that fit into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The use of such songs enable both teachers and young learners to fully enjoy such classroom activities and are an important means for establishing rappor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irect observation and video recording in three early childhood classrooms, as well as throug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through the researcher's jour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teachers exhibit a high degree of professionalism in creating variations of the kind of songs that children seem to enjoy, and thereby creating high levels of classroom enjoyment generally. This study also showed that using a good variety of song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 can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in the 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teachers' skills in designing variations of songs can make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rooms culturally attractive and aesthetically more creative.

예비유아교사의 멀티미디어 활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개발 및 효과-시지각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Effects for the Improvement of Multimedia Utilization Ability for Pre-Kindergarten Teachers-Focusing on Visual Perception Interface)

  • 홍수현;강성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113-1128
    • /
    • 2017
  • This study was practiced in order to develop a textbook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required by kindergartens and to examine its effects. First, investigation of the status of multimedia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was done along with looking through their attitude and anxiety. The expertise and the multimedia education was requi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urriculum. As a result, 15 categories and 50 subcategories under 4 themes were drawn through the procedures of qualitative analysi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education for multimedia application related to the tasks required in kindergartens is needed instead of the common education for multimedia application, to improve the ability to use multimedia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multimedia education based on visual theory for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ather than common features-centered multimedia education, is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Finally, the improv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ility to use multimedia will be a chance to provide children with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영양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 비교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 김남희;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6-7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and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This data will address the effective plans and suggest furth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00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74 parents in Busan. We collected data through questionnaires from teachers and parents and then computed the frequency and ${\chi}^2$ test to analyze the data.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on the basis of related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According to our results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need of nutrition education and the reason for needing nutrition educat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aims, contents, methods, and effective ways of nutrition education for childre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needs from teachers and parents on nutrition educ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y considering the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and needs. These may be useful data when planning for the nutrition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역량에 대한 개념도 연구 (A Concept Map Study on Teacher Competency for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 이효빈;권연희;안정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72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eal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competency for ESD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Methods: 1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3-5 year olds conducted statement writing, and then the importance of selected statements were rated by 16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3-5 year olds. Selected statemen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eacher competency for ESD in early childhood as concept mapping with two-dimensions and six clusters. The following six clusters were established (1) ethic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SD, (3)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sustainable development curriculum, (4) recognition and practice of environmental issues, (5) realization of valu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6) practical thinking for ESD. And then among the six clusters, the most important cluster was recognized as 'ethic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mong the statements 'having an open mind to understand multiculturalism and the disabled' was considered relatively important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eacher competency for ESD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y scale, and preparation of a teacher education plans for each competency.

유아교사의 예술적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doption of Drama for Improv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rtistic Competence)

  • 김지윤;김수연
    • 공연문화연구
    • /
    • 제41호
    • /
    • pp.69-92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기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유아의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들이 예술적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예술은 온 국민이 누리고 향유해야 할 문화적 소양이듯이 유아교사의 예술적 경험은 유아의 예술적 감수성, 심미감, 미적능력 발달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 매우 중요하다 판단된다. 유아교사의 예술적 역량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 중 본고는 연극예술의 교육적 가치를 담고 있는 교육연극의 활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교육연극 활동은 즉흥을 통한 허구적 상황을 창조해 내고, 가상의 인물과 동일시의 과정을 경험하게 되며, 감정의 교감을 통한 정서적 경험이 가능함과 동시에 몸을 통한 체화의 과정을 밟는다. 이러한 예술경험을 통해 유아교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극 놀이를 보다 다각적이고 진지한 일상과 연계된 활동으로 촉진시킬 수 있으며, 몸의 자유로운 활용을 통해 다양한 표현력과 상상력, 미적체험 자극도 가능하다. 또한 교육연극 활동 중에 유아와 교사는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향은 2019개정 누리교육과정에서 유아중심의 놀이를 강조하는 교육관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본다. 유아교사들의 예술적 역량이 강화된다면 유아들의 바람직한 예술세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사 스스로와 유아교육기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유아교사들의 예술적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연극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누리과정 중심의 그림책 활용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through Nuri curriculum)

  • 배수민;윤정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55-62
    • /
    • 2017
  • 본 연구는 그림책 속의 인성요소를 분석하여 누리과정 중심의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그림책은 유아들에게 가장 친숙한 매체이며,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내의 인성요소(배려, 존종, 협력, 나눔, 질서, 효) 6가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분석한 인성요소를 참고하여 본 프로그램에 활용될 그림책 12편은 문학성, 예술성, 교육성을 기준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그림책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내 인성요소에서 각 2차시의 교육계획안을 고안하여 총 12차시로 고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 교사 2인과 유아교육과 교수 2인의 전문가 타당화 과정을 거쳐 최종 개발되었다. 개발된 본 프로그램은 추후 유아교육현장에서 만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각 연령 당 12차시의 활동을 적용한 후 효과검증이 요구되며, 유아들이 본 프로그램을 직접 경험해봄으로써 인성요소인 배려, 존중, 협력, 나눔, 질서, 효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에게 유아인성교육 학습지도안으로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