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 Late Blight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7초

담근먹이 옥수수의 잎집무늬마름병 발생에 관한 연구 I. 생육시기 및 재배환경과 잎집무늬 마름병 발생 (Studies on the Occurrence of Corn Sheath Blight Caused by Rhizoctonia solsni I. Influence of growth season and cultural environment on the occurrence of sheath blight disease.)

  • 이상범;김정갑;한민수;한흥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4-178
    • /
    • 1989
  •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main pathogen infected with sheath blight in corn plant during 1986-1987. The main fungi of sheath blight isolated from corn plant was identified as Rhizoctonia sobni. Sheath blight in corn plant was first found in early July and infected extremely from late July to end August. Severe sheath blight disease was observed in Gyeongido (Yeoju and Suweon) and Jeonnam (Kwangju) area. The rate of attack was associatied with management and cultural environments of corn plant. Dense planting increased sheath blight, but application of cattle compost reduced the rate of infect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infection rate of shealth blight and concentration of soluble carbohydrate in corn plant (r=0.96). The varieties of Jinjuok, Suweon 83, Suweon 87, Suweon 89, P.3055, P.3160, DK689 and XCG 51 showed remarkable tolerance to sheath blight disease.

  • PDF

감자역병에 대한 품종간의 저항성차이에 관한 시험 (Varietal reaction of potato late blight in Korea)

  • 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권
    • /
    • pp.37-41
    • /
    • 1962
  • 1. 시험은 1961과 1962년의 2개년에 걸쳐 대관령에서 미국, 일본, 독일계와 한국재래품종 53품종을 공시하여 감자역병에 대한 저항성을 조사할 것이다. 2. 본시험은 자연발병하에서 조사하였으며 항저성의 차이를 다섯 계급으로 구분하였는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면역성품종...Kennebec, Isola, Cherokee, Merrimack, Yoraku, Lisili, Cosima. 고도저항성품종...Antze, Ragis Isola, Delus, Hessenkrone, Plymouth, Sebago, Pungo, Sieglinde, Anco, Essex. 저항성품종...Tawa, B-605-10, Sequoia, Grata, Concordia, Onaway, Noring 1, Nisego. 이병성품종...Nordak, Pontiac, Benimaru, Early gem, Chippewa, Chitose, Ohjiro, Red Bake, Norland, Katahdin. 고도이병성품종...Russet Burbunk, May Queen, Earlaine, Irish Cobbler, Feldeslohn, Red Warba, Chisago, Osseo, Paunee, Warba, Norgleam, Red Beauty, Red, Danshaku, Namchak(Native variety). 3. 만생종품종이 조생종보다 저항성이었다. 4. 일본계와 미국계도입품종보자 독일계도입품종이 저항성이 강한 편이었다.

  • PDF

Evaluation of control methods for the best practicing conditions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 Kim, G. H.;Park, J. K.;J. S. Shin;J.S. Hur;J. S. Jung;Y. J, Koh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4.1-94
    • /
    • 2003
  •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has been mainly depended on chemical control. Recently cultural practices such as trunk girdling of kiwifruit trees and rainproof installation over kiwifruit trees also were conducted as the alternative control practices. Each of the control methods was evaluated for the best practicing conditions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Among the various combinations of spray times and spray periods, optimum spray program of antibiotics was turned out to be 3 times with intervals of 10 days from early May during the flowering season of kiwifruits. Optimum periods of trunk girdling of kiwifruit trees were from late March to late April. Trunk girdling with 20-30 mm wide showed best control efficacies on bacterial blossom blight, irrespective of the heights of girdling on trunks of kiwifruit trees. Optimum period of rainproof installation over kiwifruit trees was from March till late April, irrespective of installation methods.

  • PDF

작약(芍藥) 재배년수(載培年數)와 지상부(地上部) 고사시기(枯死時期)에 따른 수량(收量)과 Paeoniflorin 함량 변화(變化) (Changes of Root Yield and Paeoniflorin Content by Cultivated year and Blight Time of Top in Peony(Paeonia lactiflora Pallas))

  • 박소득;김기재;김재철;김세종;류정기;김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1-156
    • /
    • 2000
  • 작약 정식후 1년생은 일반관리법으로 재배하고 2년생부터 3년생 및 4년생까지 1년에 4회씩 지상부 병해에 적용약제를 살포하여 정상생육한 작약과 6, 7, 8, 9월 하순에 2년 및 3년동안 연속 고사한 작약을 10월 상순에 수확하여 수량과 paeoniflorin 함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경장, 경직경 및 주당 줄기수는 고사시기가 빠를수록 정상생육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주당 화뢰수는 정상생육한 3, 4년생이 각각 11.5개, 16.2개인데 비해 6월 하순 고사구는 각각 5.2개, 4.6개로 현저히 적었고, 측화수도 6월, 7월 하순 고사구가 정상생육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재배년수별 지상부 고사시기에 따른 주근장 및 주근경은 3년생의 경우 정상생육이 각각 44.2cm, 20.7mm 인데 비해 6 월 하순고사구가 각각 38.7cm, 18.2mm 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상품성이 우수한 뿌리 굵기 10mm 이상의 뿌리수는 3, 4년 정상생육한 작약이 26.0개, 40.0개인데 비해 고사시기가 빠를수록 점차 감소하여 2, 3 년 연속 6월 하순에 고사한 작약은 각각 21.1개 , 33.2개로 가장 적었다. 건근수량은 3년 연속 고사한 4년생 작약에서 6월 하순 고사가 1,007kg/10a로 가장 낮았고, 정상생육구에서는 1,603kg/10a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paeoniflorin 함량은 3년생과 4년생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고사시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여 6월 하순 고사구가 가장 높았다. 뿌리굵기별 paeoniflorin 함량은 뿌리가 굵을수록 감소하였다.

  • PDF

작약 지상부 고사가 뿌리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f and Stem Blight on Growth and Root Yield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 박소득;김세종;김재철;김기재;신종희;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06-210
    • /
    • 1997
  • 6월 하순부터 1개월 간격으로 작약의 잎과 줄기에 인위적 고사를 유도하여 지상부 고사가 뿌리의 발달, 수량,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약의 잎과 줄기를 고사시키는 주 병원균은 점무늬병균, 녹병균, 흰가루병균, 검은무늬병균, 탄저병균, 갈색점무늬병원균이었다. 2. 점무늬병과 흰가루병은 4월 하순에서 5월 중순경에 발병되었고, 녹병은 6월 상 순부터 발생되어 시일이 경과할수록 발생율이 증가하였다. 3. 작약 지상부의 고사는 5월 하순부터 시작되어 8월 하순경에는 50% 이상의 고사율을 보였다. 4. 수량은 정상주에 비해 6월 하순 및 7월 하순 고사가 $31{\sim}35%$ 감수되었고, 8월 하순과 9월 하순 고사가 $7{\sim}12%$의 감수를 보였다. 5. 직경 10mm이상 상품성이 있는 뿌리수는 6월과 7월 고사가 8월이후 고사에 비해 적었고 주성분 Paeoniflorin 함량은 조기에 고사된 작약 뿌리 가 오히려 높았다.

  • PDF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과수 화상병 발생에 미치는 특이적 기상 요인 (Specific Weather Factors Affecting the Incidence of Fire Blight in Korea from 2020 to 2023)

  • 최효원;이우형;안문일;양현지;이미현;함현희;이세원;이용환
    • 식물병연구
    • /
    • 제30권3호
    • /
    • pp.300-303
    • /
    • 2024
  • 화상병은 우리나라에서 2015년 처음으로 발병된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5월에 발병하기 시작하여 6월에 최대로 발생하고 7월부터 감소하는 발생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연도별로 기상 조건에 따라 특이한 발생 패턴을 보였던 사례를 분석하였다. 2020년에는 5월에 하순에 발생하기 시작하였는데 4월의 낮은 온도로 인해 개화기가 지연되어 발병은 늦었지만 발병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꽃감염 위험도의 증가와 밀접한 상관이 있었다. 2021년에는 4월 하순에 첫 발생을 시작하였는데 이는 4월 상순부터 꽃감염이 시작된 것이 원인이었다. 2022년에는 4월 개화기의 꽃감염 위험도가 높아 5월에 화상병 발생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5월의 적은 강수로 인해 6월부터 발병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2023년에는 6월 하순의 집중 호우와 우박으로 인해 7월에도 화상병 발생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화상병 발생 증가에 미치는 기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강한 비바람 전후에 화상병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방제를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A New Potato Cultivar "Early Valley", with High Yield and Early Maturity

  • Lim, H.T.;Dhital, S.P.;Khu, D.M.;Choi, S.P.;Kang, C.W.;Kim, T.J.;Mo, H.S.;Hwang, W.N.;Lee, W.J.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1-67
    • /
    • 2009
  • "Early Valley", is an early maturing potato cultivar with high yield potential. "Early Valley" is a clonal selection resulting from the cross between 'Suncrisp' and 'A87109-10'. It has medium plant height and light green foliage. "Early Valley" has medium flowering habit and white flowers. Tubers are smooth, yellow skin, light yellow flesh, round tuber shape, medium eye depth, and medium dormancy and good keeping quality. It has stable yield under wide range of climatic conditions. "Early Valley" is resistance to late blight, but moderately susceptible to common scab and hollow heart. This cultivar is also resistant to potato rotting at harvesting during the raining season. "Early Valley" has high level of antioxidant activity (about three times higher) and vitamin C (higher by 40%) than the 'Superior'. This cultivar has high level of tuber uniformity and capable of yielding 36.56 t/ha which is 17.07% higher than the control potato cultivar 'Superior' under optimum agronomical practices.

단감나무 둥근갈색무늬병의 발생 상태 (Occurrence of Leaf Blight of Sweet Persimmon Tree Caused by Pestalotiopsis theae in Korea)

  • 장태현;임태헌;정봉구
    • 식물병과 농업
    • /
    • 제5권1호
    • /
    • pp.50-54
    • /
    • 1999
  • Leaf blight outbreak was investigated in sweet persimmon tree orchards in Korea during a three-year period from 1995 to 1997. The man percentage of sweet perismmon leaves blighted by Pestalotiopsis theae was 15.9%. The highest disease incidence was surveyed to 20% in Milryang. The disease began from early June to late October, and peaked in September and October. The lesion size on leaf ranged mainly 1-3 cm. The typical symptoms were large grayish concentric lesions of oval patterns of either mesophyll or margin of the leaf, and olde trees were more susceptible than younger ones.

  • PDF

한지형잔디에 설부병 방제에 대한 살균제, 노즐타입 및 살포약량의 평가 (Evaluation of Fungicides, Nozzle Type, and Spray Volume on Control of Typhula Blight on Cool Season Turfgrass)

  • 장태현;장석원;정근화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0-170
    • /
    • 2011
  • 설부병에 원인이되는 Typhula species 대하여 살균제의 감수성을 실내에서 연구하였다. 살균제, 노즐타입 및 살포약량에 대한 효과와 살균제의 살포시기(이른가을과 늦가을)에 대한효과 위스콘신에서 겨울동안 설부병에 대한 약제의 방제 효과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모든 살균제는 Typhula spp.의 8균주에 대하여 실내 PDA 배지 상에서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8균주에 대한 균사생장 저지효과는 propiconazole $1.0{\mu}g$ (a.i) / ml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Typhula incarnata 2균주는 T. ishikariensis 6균주(3품종)보다 모든 살균제에서 더 감수성을 보였다. 2년 동안 포장시험에서 7개 농약을 2지역에서 살포하였으나, 무처리구에서만 병 발생이 심각하였다. Propiconazole이 설부병 방제에 2년 동안 2곳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약제 살포용 노즐타입이나 살포약량은 두 곳 시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살제 살포시기도 설부병 방제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