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TRO5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Modified WASP5(EUTRO5) 의 개발 (Development of Modified WASP5(EUTRO5) for River Application)

  • 신동석;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734-738
    • /
    • 1999
  • This study is to modify the EUTRO5(sub-model of WASP5) for applying river water quality simulation. Because previous version of EUTRO5 has unique kinetic constant for all segement on each constituent, EUTRO5 is not adequate for some river simulation. As this version have each kinetic constant for all segment on each constituent, it will be suitable for model application with rapid changing geometry and kinetic purification of upstream river.

  • PDF

부영양화모델 EUTRO5를 이용한 메릴랜드 연안만의 수질관리

  • 황병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6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64-71
    • /
    • 1996
  • 현재 3분의 2정도가 농업지역이며 27%는 삼림지 그리고 도시 등의 개발지역이 약 6%를 차지하고 있는 대부분의 미개발지역으로 구성된 미국 동부 지역에 대서양과 접해있는 메릴랜드 연안만이 최근들어 Ocean City라는 도시를 중심으로 급속한 산업발전을 하고 있어 그로 인한 도시생활하수 등 하ㆍ폐수의 증가로 부영양화가 우려되고 있다. (중략)

  • PDF

WASP5에 의한 대청호 수질모델링 (Water Quality Modeling of Daechong Reservoir by WASP5/EUTR05 Model)

  • 이종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1호
    • /
    • pp.93-105
    • /
    • 1999
  • Lately water quality of Daechong Reservoir has become more eutrophicated than ever before and there has been much concern over especially the eutrophication of the embayment near Daejon and Chongju Water Intake Tower every summ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impact of change in the pollutant loading, flowrate, nitrogen and phosphorus release from sediment, SOD(sediment oxygen demand) upon the water quality of Daechong Reservoir by WASP5/EUTR05 in order to suggest water quality management alternatives. The data of Sep. 1995 were used for the calibration of the model and those of Sep. 1997 was for verification. The result of the model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50% increase(decrease) of pollutant loading has caused that of T-N concentration by 0.10-0.14 mg/l, T-P concentration by 0.003-0.005 mg/l, and CBOD concentration by 0.16-0.18 mg/l. But the ratio of DO change by the change of pollutant loading was relatively small. 2. The sensitivity test of NH4 flux to T-N and that of P04 flux to T-P shows that T-N and T-P concentration were changed more in the epilimnion segments (SEG4, SEG5, SEG6, SEG7) than the other segments. As SOD increases, DO was predicted to decrease more especially in the hypolimnion (SEG9-SEG14). 3. As flowrate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N, T-P, and CBOD were predicted to decrease, but DO concentration increased especially in the hypolimnion segments(SEG11, SEG12, SEG13, and SEG14). As the flowrate changed from $119m^3/sec$ to $50m^3/sec$, the concentration of T-N and CBOD in the hypolimnion was predicted to decrease.

  • PDF

상류 유역의 오염부하량 삭감에 따른 평택호 수질관리 보존 대책 연구 (Study on water quality management of lake Pyeungtaek for the reduction of pollutant loadings in upstream watersheds)

  • 황병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465-1472
    • /
    • 2011
  • 평택호의 수질개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호수 내 수질조사를 2회 수행하였으며, 상류 유역의 부하량 삭감에 따른 호소 내 수질개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WASP/EUTRO5 모형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현재의 부하량이 장래에도 지속이 되는 경우에는 호소 내 수질이 상류 유역의 개발에 따른 오염부하량의 증가로 수질이 더욱 더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부하량 삭감 대책을 수립하여 장래의 수질을 예측하였으며, 대안 6가 다른 대안에 비하여 호소의 수질농도를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안 6의 경우에도 2016년에 호소 내 COD 농도가 9.74 mg/L로 호소수질환경기준 약간 나쁨(4등급, COD 8 mg/L 이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1년에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안 6에 부하량을 추가로 삭감하여도 호소의 수질개선 효과는 미미하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 중하류에서의 수질모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Simulation in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Geum-River)

  • 신재기;임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145-15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청댐하류의 본류구간에서 갈수시간에 대해서 WASP5모형 중에서 수질모의 부분인 EUTRO5모형과 1차원 정상류 수리모형인 HEC-2모형을 연계한 수질모형을 이용하여 대청조정지댐으로부터 강경수위표 지점까지 수질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수질 및 유량자료의 수집을 위하여 대청댐으로부터 금강하류에 위치한 주요 수위표지점에서 1998년 12월, 1999년 1월과 3월의 3회에 걸쳐 관측하였다. 수질모의모형은 1999년 1월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되어지고, 1998년 12월자료와 1999년 3월자료를 이용하여 검증되어졌다. 모형에 의해서 모의된 수질변수들의 거리에 따른 변화는 1999년 3월자료를 이용하여 모의된 chlorophyll-a, BOD5, NH3-N, PO4-P와 같은 수질변수를 제외하고는 관측된 수질변수값과 거의 일치하였다. 또한 NH3-N과 PO4-P가 증가 혹은 감소되어 갑천과 미호천으로부터 금강본류로 유입된다고 가정하는 경우에 금강본류에서의 chlorophyII-a의 농도를 모의하였다. 모의한 바에 의하면 갑천과 미호천에서 NH3-N과 PO4-P가 70% 감소되어져 금강본류로 유입된다고 가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미미한 chlorophyII-a 농도변화율을 보였다.

  • PDF

춘계 진해만에서 농도 구배로 첨가한 영양염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성장반응과 군집구조의 명확한 특징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growth response and their community structure following seven different nutrients addition in spring season of Jinhae Bay)

  • 손문호;백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67-6574
    • /
    • 2015
  • 본 연구는 진해만에서 2010년 부영양화해역(St.1)과 빈영양화해역(St.22)에서, 2011년에는 부영양화해역(St.1, St.5), 중영양화해역(St.19), 빈영양화해역(St.22) 등 해역의 특성이 다른 정점에서 영양염농도구배(Nitrate: 0, 1, 5, 10, 20, 50, $100{\mu}M$; Phosphate: 0, 0.1, 0.5, 1, 2, 5, $10{\mu}M$)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반응 및 군집구조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2010년 St.1에서 질산염과 인산염첨가군에서는 농도구별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성장의 차이를 보였으나(One-way ANOVA:P<0.01), St.22에서는 영염첨농도구배에 따른 영양염첨가효과가 명확하지 않았다. 2010년 St. 1의 질산염 첨가군에서 와편모조류 Heterocapsa triquetra가 우점하였고, 인산염 실험군에서는 규조류 Pseudo-nitzchia spp.가 각각 우점하였다 진해만 중앙의 빈영양수계 St. 22에서는 질산염농도가 $10{\mu}M$ 전 후에서 Chaetoceros spp.가, $20{\mu}M$에서 Thalassiosira spp.가, > $50{\mu}M$에서 Pseudo-nitzchia spp.가 각각 우점하였고, 인산염 첨가시 $2{\mu}M$ 이하에서는 Cylindrotheca spp.로, $5{\mu}M$ 이상에서는 Pseudo-nitzchia spp.로 우점하였다. 2011년에는 4해역 모두 영양염농도구배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One-way ANOVA:P<0.01). 하지만, 정점1, 5, 19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이 2일 후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정점 22에서는 실험 6일후부터 반응하였고, 이는 낮은 영양염농도에 적응된 생물군에 갑작스럽게 영양염이 공급되어도 성장 지연현상이 일어날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은 정점1의 낮은 영양염농도에서는 Eucampia spp., Chaetoceros spp.가 높게, 높은 영양염농도에서는 Skeletonema spp.와 Thalassiosira spp.로 나타났다. St. 5에서는 Skeletonema spp.가 우점하였고, St.19에서는 Chaetoceros spp.와 Skeletonema spp.도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반면, St. 22에서는 Thalassiosira spp.가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영양염특성이 다른 해역에서 추가적으로 첨가한 영양염은 영양염 농도구배에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및 종조성을 차이를 보였고, 이는 각각의 해역의 특성에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우점종의 차이가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잘 대변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