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I Management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5초

ESI 와 CSI, KPI 의 연계 분석을 통한 서비스 품질 관리 전략에 대한 연구

  • 배성욱;이민정;임지연;박상찬
    • 한국품질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품질경영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5-260
    • /
    • 2007
  • 본 논문은 CSI와 ESI조사를 연계 분석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각 조사 결과는 ESI-CSI, ESI-CSI 개선도, ESI-KPI Matrix형태로 표현되며, 부서(군)별로 해당 영역에 있어 현 상태를 해석하고 이후 전략을 세우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직원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를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고객 만족을 위한 높은 서비스 품질을 이룩하고,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ESI(사회경제적 영향)에 관한 K대학의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conomic and Social Impact of K-University)

  • 박태영;신호균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95-102
    • /
    • 2019
  • 대학은 교육과 연구라는 본연의 목적과 함께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기여가 요구된다. 최근 대학의 지속가능성 측정도구인 사회경제적 영향(Economic and Social Impact: ESI)이 강조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대학의 ESI 지표를 고찰하여 K대학에 적용한 ESI 개발사례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ESI 문헌조사, 국내외 사례분석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수행하였고, K대학에 적용한 사례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수요와 공급 측면의 효과를 모두 포함한 ESI 지표를 개발하였고, 대학의 영향력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분한 ESI 산출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대학이 어떻게 ESI를 측정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지를 탐색한 사례라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대학의 ESI 산출 방법론의 고도화, 대학에 적절한 승수개발, ESI 종합 지수화가 필요하다.

증발산 기반 ESI와 EDDI를 활용한 2022년 남부지역의 농업 가뭄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22 Southern Agricultural Drought Using Evapotranspiration-Based ESI and EDDI)

  • 박광수;남원호;이희진;서찬양;하태현;조영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6권3호
    • /
    • pp.25-37
    • /
    • 2024
  • Global warming-induced drought inflicts significant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In Korea, the persistent drought in the southern region since 2022 has severely affected water supplies, agriculture, forests, and ecosystems due to uneven precipitation distribution. To effectively prepare for and mitigate such impacts, it is imperative to develop proactive measures supported by early monitoring system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patiotemporal changes of multiple evapotranspiration-based drought indices, focusing on the flash drought event in the southern region in 2022. The indices included the 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 (EDD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considering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and the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based on satellite images.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SPEI indices utilized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from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ations, while the ESI index was based on satellite image data provided by the MODIS sensor on the Terra satellite. Additionally, we utilized the Evaporative Demand Drought Index (EDDI) provided by the North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as a supplementary index to ESI, enabling us to perform more effective drought monitoring. We compared the degree and extent of drought in the southern region through four drought indices, and analyzed the causes and effects of drought from various perspectives. Findings indicate that the ESI is more sensitive in detecting the timing and scope of drought, aligning closely with observed drought trends.

요통과 하지방사통에 대한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입후 발생한 치명적 합병증 - 증례보고 - (Fatal Complications Following to Epidural Steroid Injections for Lumbago and Sciatica - Case Report -)

  • 김태준;김충현;정진환;백광흠;김재민;오석전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420-425
    • /
    • 2000
  • Epidural steroid injection(ESI) has been a commonly applied conservative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and sciatica. However, there are many reports concerning various local, systemic and neurological complications related to ESI. We report two cases with fatal complications after ESI for low back pain and sciatica. In both patients, ventriculitis and meningitis were causative factors to be fatal. Aseptic procedures and careful post-procedure assessment are essential to avoid serious complications following ESI.

  • PDF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를 활용한 북한의 위성영상기반 농업가뭄 평가 (Satellite-based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as an Indicator of Agricultural Drought in North Korea)

  • 이희진;남원호;윤동현;홍은미;김대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3호
    • /
    • pp.1-14
    • /
    • 2019
  • North Korea has frequently suffered from extreme agricultural crop droughts, which have led to food shortages, according t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The increasing frequency of extreme droughts, du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he national capacity for drought management. Historically, a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weather stations has been widely used. But it has limitation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weather stations and the spatial pattern of drought impacts. Satellite-based data can be obtained with the same accuracy and at regular intervals, and is useful for long-term change analysis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wide area access in time and space. The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a satellite-based drought index using the ratio of potential and actual evaporation, is being used to detect drought response as a index of the droughts occurring rapidly over short periods of time. It is more accurate and provides faster analysis of drought conditions compared to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In this study, we analyze drought events during 2015-2017 in North Korea using the ESI satellite-based drought index to determine drought response by comparing with it with the SPI and SPEI drought indices.

LC-ESI-MS/MS를 이용한 키위 중 streptomycin 분석 (Determination of streptomycin in kiwifruit samples using LC-ESI-MS/MS)

  • 도정아;이미영;조윤제;장문익;홍진환;오재호
    • 분석과학
    • /
    • 제28권4호
    • /
    • pp.299-307
    • /
    • 2015
  • In May 2012, a safety hazard issue arose because some kiwifruit growers in New Zealand had sprayed streptomycin to prevent kiwifruit canker. Therefore, for food safety management, analytical methods to determine streptomycin residues in kiwifruits are required. We developed an analytical method to determine streptomycin residues in kiwifruit samples using liquid chromatograph tandem mass spectrometer (LC-ESI-MS/MS). Streptomycin residues in samples were extracted using 1% formic acid in methanol, centrifugation for 10 min, and subsequent supernatant filtration. Purified samples were subjected to LC-ESI-MS/MS to confirm presence of and quantify streptomycin residues. Average streptomycin recoveries (6 replicates each sample) were in the range of 94.8%-110.6%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of <10%. The linearity of the concentration range of 0.01-5.0 mg/kg using a matrix-matched calibration gave R2 = 0.9995. The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as 0.01 mg/kg. Results showed that our analytical method is rapid, simple, and sensitive, with easy sample preparation.

위성영상기반 농업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Evaporative Stress Index (ESI)의 적용 (Application of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for Satellite-based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in South Korea)

  • 윤동현;남원호;이희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405-409
    • /
    • 2018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기온, 강수량 등 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식량농업기구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는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인 식량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농업 시스템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수자원의 효율적인 공급 및 분배, 수확량 예측, 토지 특성 파악 등 농업 생산 제한요소에 대한 빠른 정보수집이 요구되고 있다. 재해관리 분야에서 원격탐사 기술은 재해 발생을 인지하고 발생지역의 재해 진행과 피해 정도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용성이 높다. 또한 위성 영상을 이용할 경우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지역의 조사가 수월하며, 장기적인 변화관측이나 환경감시 등 광역적 접근이 가능하다. 최근 위성영상을 통한 다양한 신호의 데이터 취득 및 가공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주기적이고 동일한 정확도로 지상자료의 획득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인공위성을 활용한 농업 분야에서의 가뭄 분석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위성영상 신호를 통해 농업 가뭄에 활용되고 있는 지표로는 정규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및 식생상태지수 (Vegetation Condition Index, VCI), 식생가뭄반응지수(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VegDRI) 등이 있다. 잠재 증발산과 실제 증발산의 비를 이용한 위성영상기반의 가뭄지수인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뭄지수인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파머가뭄심도지수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등과 비교하였을 때, 가뭄에 더 민감하고 빠른 반응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로부터 짧은 기간의 급속하게 발생하는(rapid-onset) Flash drought의 가뭄판단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우리나라에 발생했던 극심한 가뭄 사상을 대상으로 ESI의 가뭄분석을 통해 타 지표와의 차별성을 확인하고 농업 가뭄 모니터링의 새로운 지표로써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복막 투석 환자에서 도관 관련 감염 및 복막염에 대한 Mupirocin과 도관 전환술(Catheter revision)의 효과 (The Effects of Catheter Revision and Mupirocin on Exit Site Infection/Peritonitis in CAPD Patients)

  • 박준범;김정미;최준혁;조규향;정항재;김영진;도준영;윤경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347-356
    • /
    • 1999
  • 복막 투석은 혈액 투석 및 신 이식과 함께 말기 신 질환의 중요한 치료 방법의 하나로 성공적인 복막 투석을 위해서는 복막 투석에 따른 여러 합병증을 줄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도관 출구 감염이나 복막염 등 투석 관련 감염은 여전히 도관 제거로 인한 복막 투석의 중단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영남대학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1993년 10월부터 1999년 2월까지 복막 투석을 시행 후 추적 가능한 1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도관 출구 감염과 복막염의 발생 빈도 및 원인 균주, 도관 제거의 빈도 및 원인 균주, 도관 전환술의 성적, 그리고 mupirocin ointment 사용 전과 사용 후의 도관 출구 감염의 빈도 차이 등을 후향 분석하였다. 복막 투석을 시행한 총 환자-투석기간은 2,401개월이었고 도관 출구 감염은 36명의 환자에서 105례 발생하여 발생 빈도는 1/22.8 환자-개월이었고 복막염은 67명의 환자에서 112례 발생하여 그 빈도는 1/21.4 환자-개윌로 나타났다. 대다수 출구 감염의 경우 일반적인 투약에 잘 반응하였으나 치료에 불응하여 도관 전환술을 시행한 7명 중 5명은 메티실린 저항성 포도상 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2명은 Pseudomonas aeruginosa에 의한 감염이었다. revision후 3명에서 감염이 재발하였으나 한 명은 항생제에 바로 치유되었고 또 한 명은 second revision으로 치료하였으며 나머지 한 명은 MRSA에 의한 반복 감염이 지속되어 결국 도관 제거와 동시에 도관 재삽입을 시행하였다. 재발에 대한 치료 후 평균 추적기간 14.0개월 동안 더 이상의 출구 감염은 없었다. 1998년 10월부터 1999년 2월까지 mupirocin을 국소 도포 한 34명의 환자를 살펴보면, pre-mupirocin 기간의 총 투석기간은 687개월이었고 그 기간동안 도관 출구 감염이 54례 발생하여 발생 빈도는 1/12.7 환자-개월로 나타났으나 mupirocin 기간의 경우 총 투석기간 136개월 동안 4례 발생하여 그 빈도가 1/34.0 환자-개월로 유의하게(P<0.01) 감소하였다. 도관 출구 감염의 72.2%가 SA에 의한 것으로 조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함으로써 대부분 완치되었고 일부 약제에 잘 반응하지 않고 반복 감염되어 도관 탈락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도 도관 전환술을 통하여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난치성 출구 감염을 치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관 출구 부위에 mupirocin을 간헐적으로 국소 도포 함으로써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출구 감염을 예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도관 전환술과 mupirocin의 장기적인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해서는 보다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vaporative Stress Index (ESI)의 국내 가뭄 심도 분류 기준 제시 (Percentile Approach of Drought Severity Classification in Evaporative Stress Index for South Korea)

  • 이희진;남원호;윤동현;홍은미;김태곤;박종환;김대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2호
    • /
    • pp.63-73
    • /
    • 2020
  • Drought is considered as a devastating hazard that causes serious agricultural,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impacts worldwide. Fundamentally, the drought can be defined as temporarily different levels of inadequate precipitation, soil moisture, and water supply relative to the long-term average conditions. From no unified definition of droughts, droughts have been divided into different severity level, i.e., moderate drought, severe drought, extreme drought and exceptional drought. The drought severity classification defined the ranges for each indicator for each dryness level. Because the ranges of the various indicators often don't coincide, the final drought category tends to be based on what the majority of the indicators show and on local observations.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a satellite-based drought index using the ratio of potential and actual evaporation, is being used as a index of the droughts occurring rapidly in a short period of time from studies showing a more sensitive and fast response to drought compared to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However, ESI is difficult to provide an objective drought assessment because it does not have clear drought severity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is study, U.S. Drought Monitor (USDM), the standard for drought determination used in the United States, was applied to ESI, and the Percentile method was used to classify drought categories by severity. Regarding the actual 2017 drought event in South Korea, we compar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rought area and understand the USDM-based ESI by comparing the results of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and drought impact inform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USDM-based ESI could be an effective tool to provide objective drought conditions to inform management decisions for drought policy.

감초 추출물로부터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Licorice Extracts)

  • 이진만;이윤원;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5-263
    • /
    • 2016
  • 식품부패미생물에 대한 감초추출물의 항균력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한 후 그 구조를 확인 하였다. 감초추출물은 대표적인 항균제인 메타중아황산칼륨과 myconazole과 비슷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용매분획을 실시한 결과 chloroform fraction이 가장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chloroform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분리하여 항균활성이 가장 큰 분획물인 KC를 분리하였다. 이 화합물은 ESI-MS 와 $^1H$-NMR, $^{13}C$-NMR 결과로부터 활성물질의 구조를 동정하였으며 그 결과 KC는 (R)-glabridin인 것으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