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KO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설치류 수컷 생식기관에서의 에스트로겐 기능 : 에스트로겐 수용체 녹아웃(ERKO) 생쥐 모델을 중심으로 (Roles of Estrogen in the Reproductive Organs of Male Rodents : Focus on ERKO Mice Model)

  • 이성호;최돈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2호
    • /
    • pp.69-75
    • /
    • 2004
  • 1930년대 이후부터 소위 여성호르몬이라 지칭되는 에스트로겐이 남성 생식에 유해함이 잘 알려져 왔다. 그러나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녹아웃한 형질전환생쥐(estrogen receptor knockout, ERKO)를 사용한 연구들에 의해 에스트로겐이 남성 생식에서 주용한 역할을 담당함이 밝혀졌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자를 포함한 설치류 수컷 생식기관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분포, 발현 및 기능에 대한 근간의 연구들을 요약하고, 아울러 녹아웃 생쥐 모델과 그 표현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다.

  • PDF

Differential Expression of Genes Important to Efferent Ductules Ion Homeostasis across Postnatal Development in Estrogen Receptor-α Knockout and Wildtype Mice

  • Lee, Ki-Ho;Bunick, David;Lamprecht, Georg;Choi, Inho;Bahr, Janice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510-522
    • /
    • 2008
  • Our earlier studies showed that estrogen wa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fluid reabsorption in adult mouse efferent ductules (ED), through estrogen receptor (ER) ${\alpha}$ and $ER{\beta}$ by modulating gene expression of epithelial genes involved in ion homeostasi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importance of $ER{\alpha}$ in the ED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Based on previous findings, we hypothesized that there should be a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epithelial ion transporters and anion producers in the ED of postnatal wild type (WT) and estrogen receptor ${\alpha}$ knockout (${\alpha}ERKO$) mice. Using absolute, comparative and semi-quantitative RT-PCR along with immunohistochemistry, we looked at expression levels of several genes in the ED across postnatal development. The presence of estrogen in the testicular fluid was indirectly ascertained by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the P450 aromatase in the testis. There was no immunohistochemically detectable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P450 aromatase in the testes and ER${\beta}$ in the ED of WT and ${\alpha}$ERKO mice. ER${\alpha}$ was only detected in the ED of WT mice. The absence of ER${\alpha}$ in the ED of postnatally developing mice resulted in differential expression of mRNAs and/or proteins for carbonic anhydrase II, $Na^+/H^+$ exchanger 3, down-regulated in adenoma,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regulator, and $Na^+/K^+$ ATPase ${\alpha}$. Our data indicate that the absence of ER${\alpha}$ resulted in altered expression of an epithelial ion producer and transporters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of mice. We conclude that the presence of ER${\alpha}$is important for regulation of the ED function during the prepubertal developmental and postpubertal period.

흰쥐의 부정소에서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와 조절 단백질, Basigin과 Embigin의 생후 발달 과정 동안 발현 양상 (Postnatal Ontogeny of Expression of Monocarboxylate Transporters(MCTs) and Two Regulatory Proteins, Basigin and Embigin, in The Epididymis of Male Rat)

  • 이기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45-56
    • /
    • 2008
  • 본 연구는 생후 발달 과정 동안 monocarboxylate transporter(MCT) isoform과 MCT의 발현 조절 단백질로 알려진 basigin(Bsg)과 embigin의 mRNA 발현을 흰쥐의 부정소에서 부위별로 real-time PCR 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으며, 에스트로젠과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의 작용에 의해 MCT1 발현이 조절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estrogen receptor α knockout(αERKO) 마우스를 이용하여 immunohistochemistry 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MCT isoform(MCT1, 2, 3, 4와 8), Bsg과 embigin의 mRNA 발현이 부정소의 부위별로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부정소에서 MCT1 단백질 발현은 corpus와 caudal 부위에서 apical 지역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또한 부정소에서 MCT1 단백질 발현은 에스트로젠 수용체 α의 존재 여부와 상관 없음이 보여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MCT가 남성 생식기관인 부정소에서 정자 성숙과 저장을 위한 적절한 환경을 형성함으로써 남성 생식력의 유지에 관여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색인어 : Epididymis, Monocarboxylate transporter, Basigin, Embigin)

항에스트로겐이 성체 수컷 마우스 수출소관의 형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ntiestrogen on Morphologic Changes of efferent ductules of the Adult Male Mouse)

  • 김명훈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0-197
    • /
    • 2003
  • 본 연구는 수컷 생식기관내 에스트로겐 작용을 구명하기 위한 과정의 일환으로 항에스트로겐 물질인 ICI 182,780을 투여하고, 이로 인한 수출소관의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과 처리군 간에 수출소관의 관강 직경은 처리후 8일째에 팽창하기 시작하여 59일째까지 지속되었고, 처리군 마우스의 수출소관내의 상피세포 높이는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처리 후 경과기간 내내 감소되었다. 사이세포 높이가 최대로 감소된 곳은 처리된 마우스 수출소관의 근위부로 38% 감소하였으며, 수출소관 상피세포내의 핵상 세포질의 높이는 처리군 마우스의 근위부, 원추부, 원위부에서 각각 46%, 39%, 33%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항에스트로겐, ICI 182,780을 수컷 마우스에 투여한 본 실험에서, ${\alpha}ERKO$ 유전자 변형 동물에서 관찰되었던 것과 유사한 생식기관의 형태적 변화가 나타났다. 즉 항에스트로겐이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에스트로겐의 기능을 차단하고 이로 인해 수출관의 관강 분비물 재흡수가 억제되어 분비물이 축적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적 변환가 초래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수컷 생식기관내의 중요한 에스트로겐 기능중의 하나는 수출소관 부위의 분비물 재흡수 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