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 cisterna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완두의 종자 발달과정에서 소포체 내강에 대한 저장 단백질 legumin의 축적과 단백과립 변환 (Legumin Accumulation in Endoplasmic Reticulum Cisternae at Early Stage of Seed Development and Protein Body Transformation in Pea Cotyledon Cells)

  • 정병갑;이선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4호
    • /
    • pp.347-354
    • /
    • 2001
  • 완두 종자 발달의 이른 시기에 특징적으로 조면 소포체 내강에 단백질이 축적되는데 이 단백질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면역세포 화학적 반응을 실시한 결과 legumin으로 확인되었다. 이 단백질은 소포체 내강에 점점 축적되고 소포체 끝이 부풀어서 단백과립으로 발달하였다. 완두의 단백과립 발달 과정은 3가지 유형이 확인 되었는데, 단백질 저장 액포의 분절에 의해서 형성된 제 1형 단백과립, 가장자리에 단백질이 축적된 단백질 저장 액포의 budding에 의해서 형성된 제 2 형 단백과립, 그리고 단백질 저장 소포체의 끝이 부풀어서 형성된 제 3형 단백과립으로 구분되었다. 제 3형 단백과립은 수정 후 $23\sim25$일 사이의 짧은 기간에 급격하게 발달되어 자엽세포를 가득차게 만드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러한 유형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단백과립 발달과정으로 생각된다.

  • PDF

실새삼(Cuscuta australis R. Brown) 흡기세포(吸器細胞)의 미세구조(微細構造) (Ultrastructure of Haustorial Cells of Cuscuta australis R. Brown)

  • 이재두;이규배
    • Applied Microscopy
    • /
    • 제16권2호
    • /
    • pp.49-60
    • /
    • 1986
  • Ultrastructures of the large and elongated cells (idioblasts) in the haustorium of a parasitic angiosperm, Cuscuta australis R. Brown growing on the host plant, Trifolium repens L. were investigated by the electron microscopy. The idioblasts we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a large nucleus, small vacuoles, and dense cytoplasm including a number of various cell organelles such as ribosome, rough endoplasmic reticulum(r-ER), mitochondrion, dictyosome, proplastid, multilamellar structure(MLS), microfilament bundle(MFB), and cytosegresom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idioblasts are metabolical1y very active. Particularly, MLS, MFB, and cytosegresome observed in this study did not appear in the haustorial cells of the other parasitic angiosperms. MLS was transformed into vacuole and also incorporated with cell wall. MFB composed of microfilaments, about each 7.5 nm in diameter, was observed in nucleus and also cytoplasm. Some types of MFB were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arrangement of microfilaments. A part of cytoplasm sequestered by stacked cisternae of smooth ER(s-ER), cytosegresome, was altered into a vacuole which was formed by digestion of the sequestered cytoplasm and of cisternae of s-ER. Cell organelles such as MLS, MFB, and cytosegresom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metabolic control of the idioblasts.

  • PDF

Translocation of Seed Storage Proteins into Microsomes Isoalted from Rice Endosperm Cells

  • Kim, Woo Taek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293-299
    • /
    • 1994
  • Developing rice endosperm cells display two morphologically distinct rough endoplasmic reticulum (ER) membranes, the cisternae ER (C-ER) and theprotein body ER (PB-ER), the latter delimiting the prolamine protein bodies. We (Li et al., 1993) have recently shown that the storage protein mRNAs are not randomly distributed on these ER types; the C-ER is enriched for glutelin mRNAs, whereas the PB-ER harbors predominantly prolamine transcripts. To address whether these ER types have differnet capacities to translate these mRNAs and translocate their proteins into the lumen, a microsomal fraction enriched in C-ER vesicles was prepared from devleoping rice seeds. When present in an in vitro translatin system, the microsomes were able to proteolytically remove the signal peptide and internalize both preproglutelin and preprolamine within the microsomal vesicles. Of the two species, preprolamine was more effectively translocated and proces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ER has the capacity to recognize and bind both storage protein mRNAs during protein synthesis. Moreover, efficient translocation and processing of glutelin requires additional factors that are deficient or absent in the in vitro system.

  • PDF

Prostaglandin $F_2\alpha$의 투여에 따른 자성 Rat의 혈중 Hormone 함량과 황체의 형태학적 변화 II. Prostaglandin$F_2\alpha$의 투여가 임신 Rat의 황체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staglandin $F_2\alpha$ on the Hormone Concentration in Blood Plasma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Corpus Luteum in Female Rats II. The Effects of Prostaglandin $F_2\alpha$ on the Structure of the Corpups Luterum of the Pregnant Rat)

  • 변명대;조유정;성태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38
    • /
    • 1992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morphologic changes in the corpus luteum of the pregnant rat by electron microscope after administration of prostaglandin F2$\alpha$(PGF2$\alpha$). Pregnant rates were treated with PGF2$\alpha$(1,500$\mu\textrm{g}$/rat) and their corpura lutea were observed morphological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weight of the ovaries and corpura lutea were decreased slightly at 8~24 hours after PGF2$\alpha$ administrati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2. The number of corpora lutea and luteal cells decreased slightly at 12~48 hours and 18~24 hours after PGF2$\alpha$ tretment but there were no signifci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3. The weight of uterus and the unmber of embryo decreased slightly at 96 hours and at 18~96 hours after PGF2$\alpha$ administra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tained. 4. In the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ons, lipid droplets which are electron dense and appear in the cytoplasm moderately increased in number after PGF2$\alpha$ treatment. The lipid droplets were surrounded by mitochodria and appeared in the autophagic vacuoles. 5. Moderated and high electron dense mitochondria which are round or elongated in shape showed pleomorphism from 3 hours after PGF2$\alpha$ treatment. Destruction of tubular of vesicular cristae was observed at 6 hours after the treatment. Dense body and myelin figures in matrix of mitochondria were also appeared. 6. Well-developed smooth endoplasmic reticulum(sER) showed tubular or vesicular cisternae. A number of whorl membranes containing ribosomes, mitochondria and lipid droplets were observed at 1.5 hour after treatment. sER was abundant in luteal cells at 12 hours were treatment. 7. Well-developed Golgi pparatus appeared obviously 6 hours and more prominently at 12 hours. Those Golgi vesicles were remarkably dilated. 8. Generally, a few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were appeared after treatment and cisternae showed slight dilatation. No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were observed. However, slight dilation of cisternae was observed at 1.5 hours after treatment. 9. Ribosomes composed of free and polyribosomes were abundant before treatment but polyribosomes were appeared at 12 to 24 hours after treatment. 10. Intercellular space were slightly extended at 3 hours and markedly extended at 12 hours. Numerous microvillous protrusions were observed at these times. Membranous multivesicular structures and autophagic vacuoles were also appeared in the intercellular space. 11. At 3 hours after the treatment, autophagic vacuoles appeared in the cytoplasm of the cell. They increased in number with time and were observed to transfer to the intercellular space. Lysosomal dense body appeared in the cytoplasm and the inclusion body was also observed in nucleus at 12 to 24 hours after treatment.

  • PDF

인삼 배유세포의 미세구조 및 세포화학적 연구 -성숙 배유세포- (Ultrastructural and Histochemical Studies of Ginseng Endosperm Cells. -Matured Endosperm Cells-)

  • 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14권2호
    • /
    • pp.15-28
    • /
    • 1984
  • The endosperm cells and the umbiliform layer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seed are studied with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Differentiated mitochondria, ER cisternae, proplastids and ribosomes are characteristically observed in the endosperm cells of matured seed. The cell inclusions contain the protein bodies and the spherosomes. Protein body contains, in proteinaceous matrix, globoids and crystalloids. Particularly the crystalloids have the lattice structure, and the formation of globoids is closely related with ER. Umbiliform layer has the positive reaction on alcian blue (pH 2.5) and the metachromasis on the toluidine blue. The umbiliform layer is formed by autolysis of endosperm cells, and composed of the deformated cell wall and the lipoprotein bodies. Particularly a part of the lipoprotein body and the fibrilar network structure have the positive reaction on acid phosphatase.

  • PDF

완두 자엽에서 소포체 말단의 팽창에 의한 단백과립 발달 (Terminal Dilat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Protein-filled ER to Form Protein Bodies in Pea (Pisum sativum L. var, exzellenz) Cotyledons)

  • 정병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99-509
    • /
    • 1999
  • 완두 종자에 축적되는 저장물질은 주로 전분과 단백질로서 이러한 저장물질 때문에 고정이나 전자현미경 관찰시료를 제작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자엽을 얇게 절편을 만들고 효소를 사용하여 단일세포로 분리한 다음 고정하여 관찰하였다. 완두의 저장단백질이 축적되는 단백질 저장 액포는 종자발달의 이른 시기에 기존의 액포를 둘러싸고 발달하게 되므로서 액포는 수축되고 단백질 저장 액포는 점점 발달하여 그 가장자리에 단백질 덩어리가 축적되게 된다. 이와는 별도로 종자발달의 이른 시기에 조면소포체의 내강에 전자밀도가 높은 단백질이 축적되기 시작하여 늦은 시기에 이 소포체의 끝이 부풀어서 구형의 단백과립으로 발달하였다. 완두종자의 저장단백질은 주로 vicilin과 legumin으로서 단백과립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vicilin은 세포질에 발달된 작은 단백과립과 단백질 저장액포의 가장자리에 축적된 단백질 덩어리에 모두 반응하였으나 legumin은 세포질의 단백과립에만 반응하였다. 또한 소포체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Bip은 단백질 저장액포에 축적된 단백질 덩어리의 안쪽 가장자리에만 반응하였다. 이는 단백질이 활발하게 축적되고있는 시기에 특징적으로 작용하는 Bip의 기능과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riturus pyrrhogaster 에서 再生되는 水晶體纖維 細胞中 膜構造에 관한 電子顯微鏡的 觀察 (An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Some Membrane Structures of Lens Fibers of Regenerating Lens in Triturus pyrrhogaster)

  • Sung, Hwan-Soon;Sung, Hwan-Sa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2
    • /
    • 1968
  • 有尾兩棲類중 Triturus pyrrhogaster에서 人爲的으로 水晶體를 摘出하면, 虹彩의 瞳孔周緣上部中央의 色素上皮가 水晶體로 metaplasia 하는 것은 옛적부터 알려진 事實이다. 이 過程에는 色素上皮의 脫色增殖과 水晶體原基(水晶體胞)의 形成이 보이며 그 後의 水晶體形成은 正常發生의 그것과 全혀 같은 樣相으로 進行한다. 虹彩色素上皮의 細胞가 水晶體의 細胞로 變하는 過程에 대하여서는 벌써 Eguchi, Karasaki 等에 依하여 subcellular level의 解析 報告되었다. Eguchi(1964)의 報告에 依하면 細胞構成要素中 endoplasmic reticulum(ER) 및 mitochondria의 變化가 特히 興味를 끈다. ER 는 脫色이 完了된 細胞에서 核外膜의 泡狀變形에 依하여 形成된 事實로서 觀察되었으며, mitochondria 의 形態 크기 數의 變化도 顯著하였다. 本硏究는 ER 와 mitochondria를 問題의 焦點으로하여 活潑히 伸長되고있는 水晶體纖維細胞中 이 兩者의 細胞構造가 어떤 消長을 나타내는가를 電子顯微鏡으로서 調査한 것이다. 水晶體纖維는 立方狀의 水晶體上皮細胞가 水晶體의 後壁(網膜側)에서 伸長分化한 것인데 ER는 그의 基部 特히 核의 周邊에서만이 顯著한 發達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核外膜 은 顯著한 泡狀變化로서 近處의 ER에 連結되어 있었다. 核周邊의 ER는 一般的으로 reticular 構造를 나타내지 않고 큰 cisternae 空間을 가졌다. 그것은 外圍에 있는 粗面構成에 附着시키고 있었다. 一方 小型의 胞狀構造는 細胞質內에 散在 하고있었는데 여기에도 ribosome의 附着이 間或 觀察되는 까닭에 亦是 ER의 一斷面이라고 推定되었다. 纖維細胞의 核에서 먼 伸張端(apical portion)에 있는 ER의 構造는 漸次 沈滯하여 胞狀이 보였다. mitochondria에 對하여서도 ER와 같이 基部核周邊에 發達이 顯著하였다. ER의 周邊에도 密集하여 存在하며 間或 ER의 膜構造와 mitochondria의 外膜이 密接한 것도 觀察되었다. 이와같은 境遇의 ribosome은 polysome狀으로 되어서 緻密하게 散在하여 核의 周邊部에서 水晶體 protein의 合成이 旺盛하게 集行되고 있는 것이라고 推察될만한 微細構造上의 關係를 나타내고 있었다. 纖維의 伸張端近處의 mitochondria는 多少變形되어, 空胞化가 甚하며 때로는 mierin 狀重層膜構造를 連結시키며 大小多數의 胞狀構造와도 共存하고 있었다. 또 細胞間隔에도 이와같은 構造의 樣狀이 認定되는 것도 間或 있었다. 以上 水晶體纖維細胞의 核周邊部에 있어서 ER, mitochondria의 顯著한 發達像은, 核內 RNA 合成의 上昇에서 보이는 polysome의 增加에 뒷받침되는 硏究다. 卽 水晶體蛋白質의 合成에 큰 役割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纖維가 伸張하는데 따라서 이들 膜構造는 漸次 細胞의 伸張端에서 退化를 始作하여 消失하는 像을 보이고 있으며 細胞의 退化消失에서도 確認되었다.

  • PDF

완두 자엽세포의 소포체 내강에 축적된 저장 단백질에 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Immunocytochemical Investigation on the Intracisternal Accumulations of Storage Protein in Pea Cotyledon Cells)

  • 정병갑;박홍덕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99-206
    • /
    • 2001
  • 완두 자엽세포에 대한 저장단백질 과립의 발달은 단백질 저장 액포의 가장자리에 축적된 단백질의 fragmentation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이 외에도 terminal dilation, transformation, denovo development등의 독립적인 과정이 각각 다른 시기에 관찰되므로서 단백과립의 발달은 이러한 여러 과정이 모두 나타나는 복합과정임이 알려졌다. 이러한 과정과는 별도로 종자발달의 이른시기에 소포체 내강에 축적되는 저장단백질과 여기서 발달하는 단백과립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발달중인 종자의 자엽으로부터 단일 세포를 얻어서 면역세포 화학적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자발달의 이른 시기에는 legumin이, 중간시기 이후 에는 vicilin이 축적되므로서 단백질이 축적된 소포체가 단백과립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포체 내강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alpha-Tip$은 비교적 늦은시기에, toneplast membrane protein인 PPase는 이른시기에 각각 면역 세포화학적 반응이 관찰되었다.

  • PDF

오스뮴침착법에 의한 초파리 단안시각계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al Study of Drosophila Ocellar Visual System by Osmium Impregnation)

  • 윤춘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51-457
    • /
    • 1999
  • 성충초파리의 단안을 일반적인 방법(conventional)과 오스뮴침착법(osmium impregnation)을 이용한 전자현미경적 수준에서 미세구조를 비교하였다. 오스뮴침착법에서는 세포내의 특정 소기관들이 강하게 염색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간상분체의 바로 아래에 있는 SRC가 강하게 염색되고, 복안에서와 같이 그물구조를 보이고 있었다. SSC, ER, 핵막, 색소과립 미토콘드리아 등이 강하게 오스뮴에 의해서 염색된 것이 관찰되었다. 이들 소기관들은 공통적으로 칼슘이온의 저장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론적으로 오스뮴침착법에 의해 얻어진 강한 명암대비 및 막구조의 강조효과는 이들 칼슘저장고에 존재하는 칼슘이온과 오스뮴의 강한 결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저자들은 세포소기관들의 형태를 비교하는 데에는 오스뮴침착법이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