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DM 고무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4초

EPM 및 EPDM 고무의 유변학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EPM end EPDM Rubbers)

  • 김병규;김창기;박찬영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5권2호
    • /
    • pp.97-102
    • /
    • 1990
  • 국내에서 생산, 혹은 수입 시판되고 있는 11종류의 EPDM과 1종의 EPM고무에 대한 선형점탄성적 성질을 RDS로 측정하였다. 측정은 $210^{\circ}C$에서 등온적으로 행하였으며. 이들 고무의 복합점도, 저장탄성계수, 손실탄성계수, 손실 tangent 및 완화스팩트럼 data는 고무 블렌딩이나, 복합화과정에서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믿는다.

  • PDF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Grafted EPDM의 접착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dhesion Properties of Grafted EPDM Containing Carboxylic Acid Group)

  • 김동호;윤유미;정일두;박찬영;배종우;오상택;김구니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12
  • EPDM에 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아크릴 단량체인 methacrylic acid (MA)가 도입된 grafted EPDM을 합성하여 MA의 grafting ratio가 탄성체의 물성과 다른 고무와의 접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Grafted EPDM의 storage modulus는 특정온도까지는 sulfur로 가교한 EPDM vulcanizate보다 높게 유지되다가 온도가 더 높아지면 2차 결합력이 약해지면서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EPDM에 수소결합을 유도할 수 있는 반응기를 도입했을 때 grafted EPDM 분자들 간의 aggregate 형성과 그라프트된 MA의 결정성으로 인해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었다. EPDM 자체는 극성이 낮고 다른 종류의 고무와 분자간 결합력이 약해서 접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그라프트된 M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착강도가 더 높아졌으며 MA의 grafting ratio가 10% 이상일 때에는 접착평가 시 고무시편이 부분적으로 파괴될 정도로 접착력이 우수하였다.

고무층간 가교정도가 접착강도 및 파괴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gree of Interfacial Interlinking on Adhesive Strength and Fracture Morphology of Rubber Layers)

  • 김현재;강신영;나창운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1호
    • /
    • pp.31-44
    • /
    • 1999
  • 4종류의 고무(NR, SBR, EPDM, BIMS)에 대해 완전가교 고무층과 부분가교 고무층간 계면 결합의 변화에 따른 계면 접착강도를 $30{\sim}120^{\circ}C$ 조건에서 조사하였고,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접착파단면을 조사하였다. 두 개의 완전가교 고무층간 계면에서는 물리적 결합이 계면 접착강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완전가교 고무층과 부분가교 고무층간 계면에는 물리적 결합과 화학적 결합이 공존하여 계면 접착강도에 영향을 미쳤다. 접착강도가 응집 인열강도와 유사한 수준으로 높을 때 NR은 "계면 노티인열" 형태를, EPDM은 "cross-hatched" 형태를 보였다.

  • PDF

인 및 할로겐 함유 EPDM 고무 혼합물의 난연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EPDM Rubber Mixed with Phosphorus and Halogen Compound)

  • 최성수;임완빈;김진홍;황영애;우제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7권4호
    • /
    • pp.224-23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EPDM 고무를 기지재로 사용하여 유기 난연제에 따른 난연 특성을 살펴보았다. EPDM 원료 고무에 카아본블랙, 스테아르산, 산화아연 가교제 등을 배합하여, 난연제가 첨가되지 않은 EPDM 고무 혼합물인 E0를 제조하였다. E0에 인계 난연제인 Tricresyl phosphate(TCP)를 인 함량이 0.5, 1, 1.5, 2 phr로 변량 첨가하여 E1~E4를 제조하였고, 적인을 인 함량이 3, 6, 9, 15 phr로 변량 첨가하여 E5~E8를 제조하였다. 또한 브롬계 난연제인 데카브로모디페닐옥사이드(DBDPO)와 염소계 난연제인 염화파라핀은 각각 브롬과 염소 함량을 3, 6, 9, 15 phr로 변량 첨가하여 E9~E12와 E13~E16을 각각 제조하였다. 난연제의 종류에 따라 제조된 고무시료의 인장 및 인열, 경도 등의 기본 물성을 시험하였으나, 난연제 함량에 의한 이들 변화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난연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산소지수 시험에서는 E0의 산소지수가 23.5%를 나타내었으며, 난연제를 첨가한 고무의 산소지수는 23.7~28.5%를 나타내어서 난연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UL94의 수평법에 의한 시험에서 난연제로 적인을 사용한 EPDM 고무 혼합물의 난연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반면 TCP를 첨가한 고무 혼합물의 경우, 블리딩(Bleeding)현상이 심하여 시험 결과의 재현성을 얻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 난연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함량 증가에 따라 연소율이 감소하였고 난연 효과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폐 EPDM을 이용한 고무 복합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Rubber Composite Materials Using Waste EPDM)

  • 박동규;홍여주;정극민;김진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2호
    • /
    • pp.121-128
    • /
    • 2012
  • 제대로 재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폐 EPDM 즉, 자동차 Weather strip이나 세탁기 가스켓 등에서 재생한 폐EPDM 분말을 적합하고 경제성있는 Polyolefin계 Elastomer와 수지(Binder), 그리고 Filler 및 기타 첨가제를 선정하여, 다양한 배합조건으로 고무 복합소재를 압출 제조하였다. 본 실험에 유익한 기초 실험으로서, 폐 EPDM의 초음파처리 효과, 폐 EPDM복합소재의 폐타이어 복합소재와의 물성 비교, Virgin EPDM과 Devulcanized EPDM과의 비교, 그리고 12 축압출기로 압출한 재료의 물성에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폐 EPDM을 이용하여 인조잔디 충전재와 카매트용 복합소재를 2 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한 후, 인장시편을 사출하여 인장강도, 신율, 경도의 세가지 물성을 주요 평가지표로 삼고 경제적인 배합처방을 개발하였다.

자동차 냉각기 호스용 EPDM 고무의 전기화학적 복합노화시험 및 고장메커니즘 (Electrochemical Combined-Stress Degradation Test and Failure Mechanisms of EPDM Rubber for Automotive Radiator Hoses)

  • 곽승범;최낙삼;신세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1호
    • /
    • pp.1-8
    • /
    • 2013
  • 자동차용 냉각기 고무호스는 열과 기계적 하중을 받으면서 국부적으로 형성된 전기적 영향으로 인해 노화와 고장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고무호스의 파괴거동을 재현하였다. 냉각기 고무호스 재료인 카본블랙이 함유된 EPDM 고무를 사용하여 인장응력과 전기화학적 복합 스트레스를 가하여 노화거동을 분석하였다. 노화 시간에 따른 전류 및 저항의 변화거동을 관찰하였으며 인장 변형 스트레스와 전압 및 노화온도 조건에 따른 노화거동을 분석하였다. 고무 시험편을 수직면으로 정밀하게 절단하여 시험편 표면 및 내부의 변화거동을 분석하여 전기화학적 노화거동과 고장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Crosslinked IIR의 블렌드비에 따른 EPDM의 내기체투과특성 향상 (Gas Impermeability Enhancement of EFDM/Crosslinked IIR Blends)

  • 김현준;정일현;홍인권;박재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3호
    • /
    • pp.193-200
    • /
    • 1998
  • 고무소재는 다양한 종류별로 구조에 따라 다른 물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EPDM 고무는 내후성과 내오존성이 뛰어나고 열이나 냉기, 습기의 노출에도 잘 견디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한편 crosslinked IIR은 물과 기체투과에 대한 저항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두가지 성분의 장점을 갖도록 EPDM/crosslinked IIR의 블렌드를 새로운 형태의 소재로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EPDM과 crosslinked IIR의 블렌드비를 변화시키면서 가교시간과 블렌드후 물리/화학적 특성의 개선을 목표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30wt.%의 crosslinked IIR 조성을 갖는 블렌드소재가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기체투과 특성이 뛰어나, O-링이나 전기관련 제품에 상업적으로 응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PDM 함량 변화에 따른 SBR/EPDM 블렌드 혼합물의 내오존성과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zone Resistance and Physical Properties of SBR/EPDM Blend Compound due to EPDM Content Variation)

  • 하기룡;이종철;김태근;황기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1호
    • /
    • pp.8-17
    • /
    • 2008
  • Styrene-butadiene rubber(SBR)은 내마모성, 상용성, 방진성이 우수 하지만, SBR은 주쇄의 불포화기때문에 오존에 의해 쉽게 손상을 받고 탄화수소에 쉽게 팽윤되어 점탄성을 잃어버려 고무제품으로서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BR 고무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내오존성과 기계적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내오존성이 우수한 ethylene-propylene-diene terpolymer(EPDM)을 다양한 비율로 블렌드하고, 방진제품으로써의 적합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석기술을 사용하여 경도, 열분해 온도, 모폴러지, 유리전이온도, 내오존성, 정적 스프링정수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SBR과 EPDM 블렌드의 조성변화에 따른 특성을 연구한 결과, SBR에 대하여 EPDM 30% 블렌드시 상용성이 우수하고, 내오존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기관용 멤브레인 고무판의 환경내구성 향상을 위한 EPDM 고무의 개질 (Modification of EPDM Rubbers for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Durability of Aerator Membrane)

  • 안원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7-112
    • /
    • 2008
  •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environmental durability of EPDM rubber materials for the aerator membrane was performed using a butyl rubber as a modifier. A conventional EPDM rubber formulation was evaluated as having about 26.0 wt% or more oil content from the chloroform immersion test. These oils would be gradually and continuously deleted from the aerator membrane when directly exposed to a waste-water or chemically corrosive fluids, making the membrane less flexible and the performance worse. To improve this, a butyl rubber (IIR) was utilized as the modifier for a low-ENB type of EPDM rubber formulation with low-oil content. The environmental durability of the IIR-modified EPDM rubber material was expected to be greatly enhan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However, the mechanical and performance properties such as elongation, tensile strength, and air bubble size, etc. were still maintained as good as in the conventional one. Furthermore, TGA analysis of the IIR-modified EPDM material showed that there would be partially compatible between IIR and EPDM. It also showed that the initial degradation temperature of the IIR-modified EPDM could be somewhat increased, exhibiting the enhanced compatibility among the components and, thereby, more enhanced environmental durability.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크랩을 이용한 친환경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 EPDM과 PP의 기능화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Materials Using EPDM Scrap : Functionalization of EPDM and PP)

  • 김섭;정경호
    • 청정기술
    • /
    • 제15권3호
    • /
    • pp.180-185
    • /
    • 2009
  •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크랩을 고온전단분쇄기를 이용하여 표면활성화 된 분말을 얻은 후 이를 폴리프로필렌과 블렌드하여 열가소성탄성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크랩 분쇄 시 표면활성제를 1.5 phr 첨가하면 최적의 표면활성화 된 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폴리프로필렌의 경우는 maleic anhydride를 반응블렌드에 의해 그라프트시켜 기능화 하였다. 기능화된 에틸렌-프로펄렌 분말과 폴리프로필렌을 블렌드하여 열가소성탄성체를 제조할 때 계면젖음 특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계면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용화제로 poly(ethylene-co-acrylic arid)를 폴리프로필렌에 첨가하였다. Poly(ethylene-co-acrylic acid)는 폴리프로필렌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해 에틸렌-프로필렌 분말과의 계면젖음성이 크게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