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DM/IIR Blend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TG/DTG 방법에 의한 EPDM/IIR 고무 블렌드의 열분석 (Thermal Characterization of an EPDM/IIR Rubber Blend using TG/DTG Anylsis)

  • 안원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2권1호
    • /
    • pp.55-58
    • /
    • 2007
  • TG/DTG 열분석법을 이용하여 EPDM/IIR 고무 블렌드의 열적 성질을 각각의 EPDM 및 IIR 샘플과 비교하여 시험하고 그 들 상호간의 상용성을 연구하였다. 실험에서 EPDM/IIR 고무 블렌드 샘플의 TGA 열분석곡선은 EPDM 및 IIR의 고유한 열분해 특성을 동시에 반영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샘플에 대한 DTG 곡선을 구하여 본 결과, 블렌드의 DTG 곡선은 EPDM과 IIR 의 DTG peak 특성을 각각 나타내는 두 개의 peak로 분리되어 나타났으며, 특히 IIR의 특성 peak는 원래 IIR peak보다 약 $25\;^{\circ}C$ 정도 고온으로 이동하여 나타난 반면 EPDM의 특성 peak는 약 $15\;^{\circ}C$ 정도 저온으로 이동하여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EPDM이 IIR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적 안정성이 더 큰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또한 EPDM과 IIR의 블렌드는 부분적으로 상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미리 결정된 EPDM/IIR 블렌드의 조성비에 따른 DTG 곡선과의 관계를 미리 준비해 두게 되면, 본 실험에서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TGA 실험을 통하여 미지의 EPDM/IIR 블렌드에 대한 조성비도 다른 고무 블렌드에서와 마찬가지로 정량적인 정보를 얻어 낼 수 있었다.

Crosslinked IIR의 블렌드비에 따른 EPDM의 내기체투과특성 향상 (Gas Impermeability Enhancement of EFDM/Crosslinked IIR Blends)

  • 김현준;정일현;홍인권;박재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3호
    • /
    • pp.193-200
    • /
    • 1998
  • 고무소재는 다양한 종류별로 구조에 따라 다른 물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EPDM 고무는 내후성과 내오존성이 뛰어나고 열이나 냉기, 습기의 노출에도 잘 견디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한편 crosslinked IIR은 물과 기체투과에 대한 저항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두가지 성분의 장점을 갖도록 EPDM/crosslinked IIR의 블렌드를 새로운 형태의 소재로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EPDM과 crosslinked IIR의 블렌드비를 변화시키면서 가교시간과 블렌드후 물리/화학적 특성의 개선을 목표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30wt.%의 crosslinked IIR 조성을 갖는 블렌드소재가 내후성, 내오존성 및 내기체투과 특성이 뛰어나, O-링이나 전기관련 제품에 상업적으로 응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Butyl고무와 EPDM고무 블렌드의 경화특성, 물리적 성질 및 내오존성 (Cure Characteristics, Physical Properties and Ozone Resistance of Butyl Rubber and EPDM Rubber Blends)

  • 박찬영;황영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4호
    • /
    • pp.329-334
    • /
    • 2011
  • 일반적으로 butyl 고무(IIR : isobutylene isoprene rubber)는 우수한 내기체투과성 및 저반발 탄성체로서 우수한 충격흡수성을 갖는다. 본 실험에서는 butyl고무에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기계적 혼련법으로 blend 혼련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가교 거동, 물리적 성질 및 내오존성 등을 측정하였다. EPDM 고무량이 증가할수록 최적 가황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 기체투과속도 테스트에 의한 내기체투과성 측정 결과 butyl고무량이 50 wt% 이상일 경우에는 기체투과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한편 butyl rubber/EPDM 블렌드의 경우에 EPDM의 함량이 25 wt.% 이상 함유될 경우 내오존성이 향상되어 50 pphm, $50^{\circ}C$, 120시간 조건에서도 아무런 표면변화가 없었다.

불포화 고무와 포화 고무의 공가류 및 내오존성 (Covulcanization and Ozone resistance for Unsaturated and Saturated Rubbers)

  • 임원우;정일택;한민현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4호
    • /
    • pp.32-38
    • /
    • 2001
  • 본 실험에서는 공가류와 내오존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고무 조성비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사용한 시편은 NR, SBR, BR, IIR 및 EPDM을 다양한 비율로 블렌딩 한 고무 조성물(시편 A), NR/BR/SBR로 구성된 불포화 고무 조성물(시편B)와 NR/IIR/EPDM로 구성된 포화 고무 조성물(시편C)이다. 시편A와 시편B, 시편A와 시편C를 각각 공가류시켜 PAD 접착 시편을 제작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편A에 대해서 내오존성을 평가하였다. 시편 A의 불포화 고무 조성중(NR/BR Blend)에 BR보다 NR의 비율이 높을수록 시편B와 시편C와의 접착 강도가 높았고, 또다른 불포화 고무 조성(NR/SBR)에서는 NR보다 SBR 함량이 높을수록 접착 강도는 높았다. 또한 시편A의 조성중에서 NR/BR/IIR/EPDM 조성물 보다 NR/SBR/IIR/EPDM 조성물이 접착성이 우수하였다. 고무 조성중 불포화 고무가 많을수록 접착 강도는 우수하였으나, 내오존성은 다소 열세였다. 불포화 고무와 포화 고무의 비율이 60/40 정도 일 때 접착 강도와 내오존성이 모두 양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