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M2008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8초

내장형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지오이드의 실시간 결정 (Real-time Calculation of Geoid Applicable to Embedded Systems)

  • 김현석;박찬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374-381
    • /
    • 2020
  • 수직위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GPS와 기압고도계의 장점을 융합하여 사용하지만, 두 센서를 융합하기 위해서는 지오이드 고도를 보상해 주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이나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되는 저가의 내장형 시스템에서도 실시간으로 지오이드 고도를 계산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준이 되는 EGM08은 2160차의 다항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내장형 시스템에서 실시간 계산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선형 보간 기법을 도입하여 계산량을 줄이고, 정수형 지오이드 고도를 격자점으로 사용하여 저장공간을 75%절감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지오이드 변화가 급격한 지역에서도 최대 오차 -1.215 m의 정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공라이다데이터 정표고 변환을 위한 정밀지오이드 모델 이용 (Utilizing Precise Geoid Model for Conversion of Airborne LiDAR Data into Orthometric Height)

  • 이원춘;위광재;정태준;권오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1-357
    • /
    • 2011
  • 연구에서는 라이다 데이터의 정표고 변환 작업에 있어서 정밀 지오이드 모델의 활용 가능성 및 항공라이다 측량 작업을 위한 최적 지오이드 모델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KGEOID08, EGM2008, EIGEN-CG03C 모델을 대상으로 하여 여기서 산출된 지오이드고와 실측을 통해 계산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를 비교 분석한 결과 0.152m의 RMSE를 나타낸 KGEOID08 모델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KGEOID08 모델을 사용하여 라이다 데이터의 정표고 변환 작업을 수행할 경우, 이를 위해 필요한 기준점의 배치 및 수량 등의 기준점 선점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산악지 표고결정에 있어서 GNSS/Geoid 기술의 활용가능성 분석 (Analysis of the Feasibility of GNSS/Geoid Technology in Determining Orthometric Height in Mountain)

  • 이석배;이근상;이민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7-65
    • /
    • 2017
  • 본 연구는 산악지 표고결정에 있어서 GNSS/Geoid기술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하여 지리산 일원에 테스트베드를 설정하고 GNSS관측을 실시하였으며 EGM2008, KNGeoid13, KNGeoid14 지오이드모델을 적용하여 39개의 수준점의 정표고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준점 성과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GNSS/Geoid기술에 의한 표고결정 정확도는 KNGeoid14 지오이드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pm}7.1cm$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항공사진측량의 항공삼각측량에 필요한 지상의 표고기준점을 구할 때 도화축척 1/1000이하의 축척에는 사용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Network RTK-GPS를 이용한 거리별 수직위치결정의 정확성 평가 (An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the Vertical Positioning by Distance Using Network RTK-GPS)

  • 문두열;이성수;김명수;신상호;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4-63
    • /
    • 2013
  • Network RTK-GPS 방식을 이용하여 거리별 수직위치결정 한 결과, 종래의 수준측량방법보다 신속 정확하게 취득할 수 있었으며, 비교적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상시관측소를 검증한 결과 가시 위성수 및 PDOP(위치정밀도 저하율), 수직위치결정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VDOP(수직정밀도저하율)은 수직위치 결정에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기준점 U0997과 U0921은 공공수준측량규정 3등급에 만족하였고, 나머지는 모두 부적합한 결과로 분석되었다. Network RTK-GPS를 이용하여 수직위치결정을 측량을 할 때에는 반드시 EGM2008의 지오이드 고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후 측지위성의 수가 증가한다면, Network RTK-GPS를 이용한 수직위치결정은 전 범위에서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동아시아지역 수직기준 통일을 위한 해면지형 결정 및 분석 (Determination and Analysis Sea Surface Topography for Unification Vertical Datum in East-Asia Area)

  • 황학;윤홍식;이동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7-217
    • /
    • 2008
  • 해면지형은 지구형상 및 지오이드의 결정, 해류, 조석의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세계수직기준 통일 및 대륙 간, 지역 간, 육지와 도서지역 사이의 수직기준을 통일하기 위한 기초자료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지역의 수직기준 통일을 위한 기초연구로 고해상도 평균해면모델인 KMSS04를 사용하여 평균해면고를 계산하고, 전 지구 중력장모델 EGM96과 TIGEN-GL04C를 이용하여 지오이드고를 구한 후 이들을 통하여 동아시아지역 및 각 조위관측소에서의 평균해면, 지오이드고 및 해면지형을 결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본해구와 Ryukyu해구 부근을 제외한 지역에서 해면지형은 비교적 안정적이며, InCheon 조위관측소를 제외한 기타 조위관측소에서는 모두 $40{\sim}60cm$에 가까운 해면지형의 기복을 나타내었다.

The Effects of the IERS Conventions (2010) on High Precision Orbit Propagation

  • Roh, Kyoung-Min;Choi, Byung-Kyu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41-50
    • /
    • 2014
  • The Earth is not perfectly spherical and its rotational axis is not fixed in space, and these geophysical and kinematic irregularities work as dominant perturbations in satellite orbit propagation. The International Earth Rotation Service (IERS) provides the Conventions as guidelines for using the Earth's model and the reference time and coordinate systems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IAU). These guidelines are directly applied to model orbital dynamics of Earth satellites. In the present work, the effects of the latest conventions released in 2010 on orbit propagation are investigated by comparison with cases of applying the previous guidelines, IERS Conventions (2003). All seven major updates are tested, i.e., for the models of the precession/nutation, the geopotential, the ocean tides, the ocean pole tides, the free core nutation, the polar motion, and the solar system ephemeris. The resultant position differences for one week of orbit propagation range from tens of meters for the geopotential model change from EGM96 to EGM2008 to a few mm for the precession/nutation model change from IAU2000 to IAU2006. The along-track differences vary secularly while the cross-track components show periodic variation. However, the radial-track position differences are very small compared with the other components in all cases. These phenomena reflect the variation of the ascending node and the argument of latitude. The reason is that the changed models tested in the current study can be regarded as small fluctuations of the geopotential model from the point of view of orbital dynamics. The ascending node and the argument of latitude are more sensitive to the geopotential than the other element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the Earth's geophysical properties and orbital motion of satellites as well as satellite-based observations.

Accuracy Analysis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s on the Leveling Loop Disconnected Area

  • Jung, Sung Chae;Kwon, Jay Hyoun;Lee, Jisu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18
  •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spirit leveling, research on the determination of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derived orthometric height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most analyses were primarily performed inland. In this study, the influences of the arrangement of control points, observation duration, and geoid model on the accuracy of the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have been analyzed to suggest the proper method to apply the determination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to the leveling loop disconnected are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wo known points located near the unknown points need to be fixed in the leveling loop disconnected area. Further, 3 cm level of accuracy can be achieved if the GNSS survey is performed over two days, for four hours per day. In terms of the geoid model, the latest national geoid model should be applied rather than the EGM08 (Earth Gravitational Model 2008) to minimize regional bias and increase accuracy.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apply the determination of the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technique as a method to connect with the islands because the vertical reference system used inland and that used for the islands in Korea are still different.

제주도 지역의 정밀지오이드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cise Geoid Model in Jeju Island)

  • 이동하;위광재;황학;윤홍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61
    • /
    • 2008
  • 제주도 지역의 정밀지오이드 모델의 개발은 이원화된 수직기준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륙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전지구적 중력장모델을 분석하여 제주도 일원에서의 최적의 중력장모델로 EGM96 모델을 선정하고, 이를 GRS80 타원체에 최대차수 360으로 해석한 기준면을 사용하여 지형효과 및 잔여중력효과를 고려한 중력지오이드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후 총 17개의 GPS/Levelling 자료에서 구한 지오이드고와 중력지오이드고의 차이를 LSC방법에 의하여 보정하여 최종적인 제주 지역(위도 $33^{\circ}{\sim}33.8^{\circ}N$ 및 경도 $125.8^{\circ}{\sim}127.2^{\circ}E$)의 정밀지오이드 모델(Jeju_GEOID07)을 격자간격 $0.75'{\times}1'$(약 $1.4km{\times}1.5km$)로 개발하였으며, 모델의 정확도는 약 $-1cm{\pm}3cm$로 계산되었다. 향후 한반도 전체의 통일된 정밀지오이드 모델의 개발을 위해서는 내륙 및 제주도 지역의 지오이드 모델을 분리하여 개발한 후 합성하거나, 장기간의 정밀한 조석관측자료 및 GPS 정밀측정을 이용한 수직기준의 통합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지역에서의 상층중력장 (External Gravity Field in the Korean Peninsula Area)

  • 정애영;최광선;이영철;이정모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6호
    • /
    • pp.451-465
    • /
    • 2015
  • 주변 해역을 포함한 한반도 일원에서 측정된 중력자료로부터 상층중력의 고도이상(free-air anomaly)을 계산하였다. 주변 영역에서는 인접국가가 발표한 중력자료가 있는 경우 발표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없는 경우 EGM2008(Earth Gravitational Model 2008)로부터 계산한 고도이상을 이용하였다. 중력의 상향연속은 Dragomir가 제안한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상층중력 고도이상 계산의 정확성과 계산 속도를 고려하여 적분반경은 계산 고도의 10배로 하였다. 적분에 필요한 측지선의 거리는 Bowring이 개발한 공식을 사용하였다. 위도 $33^{\circ}N{\sim}43^{\circ}N$, 경도 $124^{\circ}E{\sim}131^{\circ}E$에서 계산된 고도이상은 고도 1 km에서 -41.315에서 189.327 mgal까지 변화하고 표준 편차는 22.612 mgal이다. 고도 3 km에서는 -36.478에서 156.209 mgal까지 변화하고 표준 편차는 20.641 mgal이다. 고도 1,000 km에서는 3.170에서 5.864 mgal까지 변화하고 표준 편차는 0.670 mgal이다. 3 km 고도에서 계산된 고도이상을 같은 높이에서 측정한 항공 중력 고도이상과 비교하였다. 이들의 rms 오차는 3.88 mgal로 나타났다. 항공 중력 측정 교차점오차가 2.2 mgal 임을 고려하면 이들 오차에 의미를 부여할 수 없으며, 원인으로는 이번 연구에서 발생한 계산상 오차와 함께/또는 발표된 항공중력의 보정오차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층중력 고도이상에 완전식으로 계산한 지구타원체 외부의 정규중력을 더하여 상층중력을 예측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국내 최초로 계산한 고도에 따른 상층중력 고도이상은 한반도 일원의 상층중력장을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상층중력장은 관성항법장치의 정확도 향상 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