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ELS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3초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일반성분 및 맛 성분의 계절별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Seasonal Change of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Taste Components in the Conger Eels (Conger myriaster))

  • 류근영;심성례;김원;정민석;황인민;김준형;홍철희;정찬희;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69-1075
    • /
    • 2009
  • 외식산업에서의 붕장어 이용성 증대에 기여하고자 계절에 따른 일반성분, 지방산, 핵산관련성분 및 아미노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여름철 붕장어의 조지방 함량이 3.2%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붕장어의 산란기에 따른 영향으로 생각된다. 지방산 조성 중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 stearic acid,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 palmitoleic acid 그리고 다가불포화지방산인 DHA, EPA가 주요 지방산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지방산 중 oleic acid가 36.76$\sim$45.11%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고,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봄에서 겨울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지방산 조성비의 계절적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핵산관련성분 중 맛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IMP(3.617$\sim$5.524 $\mu$ mol/g)와 Hx(0.913$\sim$2.238 $\mu$ mol/g) 그리고 무미의 HxR(0.625$\sim$1.652 $\mu$mol/g)이 ATP(0.058$\sim$0.083 $\mu$mol/g), ADP(0.145$\sim$0.161 $\mu$mol/g), AMP(0.166$\sim$0.179 $\mu$mol/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어류의 지미성분인 IMP와 Hx의 함량이 7.219 $\mu$mol/g으로 겨울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14,178.7$\sim$7,802.6 mg%), aspartic acid(4,669.2$\sim$8,259.0 mg%), lysine(4,198.3$\sim$7,540.8mg%), leucine(3,843.6$\sim$6,782.1 mg%)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으로, histidine(199.6$\sim$644.4 mg%), glycine(94.8$\sim$152.2 mg%), alanine(35.3$\sim$71.2 mg%), glutamic acid (44.1$\sim$70.6 mg%)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확인되었으며, 정미물질 중 맛과 관련 있는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여름철과 겨울철에 각각 1,179.2과 1,605.2 mg%로 높게 나타났다. 어류의 주요 정미성분의 함량으로 확인한 결과 핵산관련성분은 겨울철이, 유리아미노산은 여름철이 가장 많았으나 이들 정미성분의 함량이 특정 계절에만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따라서 붕장어의 맛은 정미관련성분들과 관련이 크지만 단순히 정미성분만이 아닌 다른 여러 성분과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극동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성비와 성장에 미치는 수온 및 estradiol-17β의 효과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Estradiol-17β on the Sex Ratio and Growth of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중;이남실;김신권;이배익;성기백;김경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54-145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양식산 극동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에서 고비율로 암컷 친어를 확보할 목적으로 실뱀장어(평균 전장: 6.5 cm)를 estradiol-17${\beta}$ (E2) 투여구와 일반사료(E2-free) 투여구로 나누어 사육수온 별(20, 24 및 $28^{\circ}C$) 조건에서 4개월간 사육하여 성비조사와 성장변화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수온 영역에서는 E2-free 실험구에서는 암컷 비율의 변화가 없었으나, E2 경구투여에 의한 자성화율은 높은 수온($28^{\circ}C$)에서 소폭 증가하였다. 특히, 수온 $24^{\circ}C$ 실험구에서 E2 경구투여 개체가 E2-free 개체보다 성장곡선이 낮게 나타났으며, 혈중 E2 농도는 E2 투여를 종결한 후(178일)에도 여전히 유의적으로 높게 존재하였다. 따라서 E2 투여에 의한 자성화 유도 효과는 높았지만, 장기간 투여시 성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극동산 뱀장어에서 사육조건 중 수온에 의한 암컷으로의 성분화 효과는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다른 환경인자(사육 밀도, 염분 등)의 관련성도 이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7.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의 지질성분 비교 (Studie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s 7.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among Wild and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and Conger Eel (Astroconger myriaster))

  • 최진호;임채환;배태진;변대석;윤태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39-446
    • /
    • 1985
  • 양식 뱀장어의 품질을 지질성분면에서 평가하기위하여 천연 및 양식 뱀장어의 지질 조성 및 이들 지질의 구성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하였고, 붕장어의 지질성분과도 비교하였다. 또 양식 뱀장어의 지방산과 사료 지방산을 분석${\cdot}$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지질 함량은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 보다는 약간 높은 반면 붕장어 보다 약 2배 정도 높았다. 부위별 지질 함량은 뱀장어는 가식부($27.16{\sim}29.70\%$)가 내장부($5.10{\wim}5.86\%$)보다 훨씬 높았으나 붕장어는 거의 비슷하였다. 2.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의 지질 조성은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즉 중성지질이 가장 많고, 인지질, 당지질의 순이었다. 또 부위별 지질 조성은 중성지질은 가식부가 내장부보다. 많은 반면 인지질과 당지질은 내장부가 가식부보다 많았다. 또 중성지질은 TG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인지질은 PC와 PE가 가장 많았다. 3. 식용으로 이용되는 가식부의 중성지질은 $C_{14:0},\;C_{16:0},\;C_{18:1}$산은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보다 높은 반면 $C_{16:1},\;C_{18:2},\;C_{18:3},\;C_{20:4},\;C_{20:5},\;C_{22:5},\;C_{22:6}$ 산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았다. 붕장어의 경우는 $C_{18:0},\;C_{20:4},\;C_{22:6}$산이 천연 및 양식 뱀장어에 비해 훨씬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다. 또 인지질의 경우는 $C_{18:0},\;C_{18:2}$산이 양식 뱀장어가 천연 뱀장어보다 높은 반면 $C_{16:0},\;C_{16:1},\;C_{18:1},\;C_{18:3},\;C_{20:4},\;C_{20:5},\;C_{22:5},\;C_{22:6}$산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았다. 4. 중성지질의 불포화도(TUFA/TSFA)는 천연 및 양식 뱀장어와 붕장어 사이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지만, 인지질의 경우는 천연 뱀장어가 양식 뱀장어 및붕장어 보다 높았다. 가식부의 필수지방산 함량은 중성지질은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3배이상 높았으며, 또 붕장어는 뱀장어보다 훨씬 높았다. 그러나 인지질의 경우에는 필수지방산 함량에 큰 차이가 없었다. 5. 가식부의 W3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중성지질은 천연 뱀장어가 양식 뱀장어 및 붕장어보다 $2.0{\sim}2.5$배 정도 높았으며 인지질의 경우도 천연 뱀장어가 양식뱀장어 및 붕장어보다 훨씬 높았다. 6. 사료 지방산(B)에 대한 양식 뱀장어의 지방산 (A)의 비(A/B)를 비교하여 보면 linoleic acid ($C_{18:2}\;w6$), linolenic acid ($C_{18:3}\;w3$) 등의 필수지방산과 eicosapentaenoic acid ($C_{20:5}\;w3$), docosahexaenoic acid ($C_{22:6}\;w3$)등의 w3 고도불포화지방산의 A/B비가 $0.23{\sim}0.48$로 아주 낮아, 이들 불포화지방산의 polyene 산의 생합성 및 체성장에 크게 관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이식용수산물 교역의 정보비대칭과 원산지표시제도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 Country of Origin Labeling in Live Small Fish Trade for Aquaculture and Naturalization)

  • 박성쾌;한경숙
    • 수산경영론집
    • /
    • 제37권1호
    • /
    • pp.45-71
    • /
    • 2006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of the Country of Origin Labeling(COOL) in small live fish(SLF) trade by applying the asymmetric information theory which is called ${\ulcorner}$Lemon Market Theory${\lrcorner}$. The purpose of importing SLF is to enhance fishing household income and import substitution effect as well. SLF importation is quite different in its nature from importing general fish and fish products for final/direct consumption. SLF are imported for the purpose of domestic aquaculture and naturalization where domestic production/supply of SLF is less than domestic demand for or such species are not native to Korean waters. Information asymmetric problems arise even in SLF trade as the same way in general goods and services. However, the information asymmetry issues in SLF trade are much more complex than non-living goods because SLF are traded in the live state. To alleviate such problems the Korean government initiated the general COOL scheme to imported SLF. However, many experts argues that such policy on SLF would not be appropriate because of SLF's very nature. Applying the lemon market theory, we can analyze how information discovery schemes are able to signal correct information to SLF trading parties and to result in more symmetric information in SLF trade market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case study about small live eel(SLF) trade and its farming. The results showed that applying the COOL to small live eels just right upon coming into fish farms tends to increase substantially fish farmer's income and at the same time to lower unnecessary transaction costs. In particular, such transaction costs by imposing simply the general COOL on SLF may easily outweigh its benefits. For instance, to resolve the problems, the Korean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KMAF) has developed a quite different COOL rules from the general ones and has applied them to imported live cattle and medium/small livestocks. The KMAF's differentiated COOL policy on some imported livestocks may be a good case which can be applied to imported SLF. In addition to the differentiated COOL on SLF, Sanitary and Phytosanitary (SPS) and traceability system would play crucial complementary roles in alleviating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s in SLF trade. Advanced fisheries tend to strengthen their SPS system rather than to adopt the general comprehensive COOL schemes into imported SLF trades and domestic market exchanges.

  • PDF

뱀장어 Pleistophora 증(症)의 감염실험(感染實驗)과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연구(硏究) (The Infection Experiment of Pleistophora sp. to eel, Anguilla japonica and the Histopath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Infection Development)

  • 서장우;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57
    • /
    • 1988
  • 전국양만장(全國養鰻場)에 pleistophora포자충(胞子蟲)이 기생(奇生)하여 상당한 피해(被害)를 입고 있는 실정(實情)이다. Pleistophora증(症)에 관(關)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감염방법(感染方法)과 감염량(感染量), 감염율(感染率)의 관계(關係) 및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관찰(觀察)을 검토(檢討)한 것으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leistophora anguillarum 포자(胞子)를 경구감염(經口感染)시키거나 침지감염(沈漬感染)시킨 결과(結果), 모두 감염(感染)이 성립(成立)되었다. 경구감염(經口感染)의 경우 포자수(胞子數) $2.5{\sim}10^3$/어체중(魚體重) 1~2%의 사료(飼料)(g) 이상(以上)에서, 침지감염(沈漬感染)의 경우 포자수(胞子數) $1{\times}10^210/m{\ell}$이상(以上)에서 감염(感染)시킨 개체(個體)는 100% 감염(感染)되었다. 2. 병리조직학적(病理組織學的) 실험결과(實驗結果), 포자감염후(胞子感染後) 21일경(日頃)부터 근육(筋肉)속에서 cyst를 관찰(觀察)할 수 있었다. 근육조직내(筋肉組織內)에서 포자(胞子)가 근육(筋肉)을 융해(融解)시켜 cyst를 형성(形成)하고 cyst는 성숙(成熟)하여 붕괴(崩壞)되었고, cyst내(內)의 포자(胞子)는 분산(分散)되었다. 그리고, 건강(健康)한 근육조직(筋肉組織)에 침입(侵入)하여 조직(組織)을 붕괴(崩壞)하는 과정(課程)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병어(病魚)는 서서(徐徐)히 죽게 되었다. 3. Pleistophora anguillarum 포자(胞子)를 실험적(實驗的)으로 감염(感染)시킨 뱀장어는 시간적(時間的)인 차이(差異)는 있으나 모두 폐사(斃死)되었다.

  • PDF

2000~2010년 우리나라 양식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병원체 감염현황 (Current status of pathogen infection in cultured eel Anguilla japonica between 2000 and 2010)

  • 김위식;옥하나;김도형;김흥윤;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7-245
    • /
    • 2011
  • 2000~2010년까지 감염성질병 발생에 의한 것으로 의심되는 폐사가 발생한 23개소 양식장의 병든 뱀장어를 대상으로 총 29건의 병원체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7종의 병원체 감염이 확인되었고, 병원체의 감염률은 Pseudodactylogyrus sp. (65.5%, 19/29 시료), aquabirnavirus (ABV, 62.5%, 15/24 시료), Edwardsiella sp. (44%, 11/25 시료), anguillid herpesvirus 1 (AngHV1, 16.7%, 2/12 시료), Heterosporis sp. (10.3%, 3/29 시료), Vibrio sp. (8%, 2/25 시료), Trichodina sp. (3.4%, 1/29 시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병원체의 감염은 단독감염 (44.8%, 13/29 시료) 보다 혼합감염(62.1%, 18/29 시료) 이 높게 나타났으며, 혼합감염의 경우 2~5종의 병원체가 복합적으로 감염되어 있었다. 혼합감염률은 Pseudodactylogyrus sp.-Edwardsiella sp. (10.3%, 3/29 시료), Pseudodactylogyrus sp.-ABV (10.3%, 3/29 시료), Edwardsiella sp.-ABV (6.9%, 2/29 시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기생충,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조사된 대부분의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수온 $25{\sim}30^{\circ}C$ 범위에 사육되고 있는 뱀장어 치어를 비롯한 성어에 이르기까지 무차별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뱀장어(Anguilla japonica)장의 상피세포막에 존재하는 새로운 clonidine 결합 수용체에 관한 연구 (A New Receptor for site Clonidine in the Eel, Anguilla japonica Intestine)

  • 김흥태;서정수;박남규;이형호;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36
    • /
    • 2001
  • 해수에 적응된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장 세포막으로부터 새로운 clonidine의 결합부위가 있음이 밝혀졌다. Clonidine의 특이적인 결합부위는 적어도 2개의 부위 (high affinity $K_d=1.4{\pm}0.3$ nMn= 5, low affinity $K_d=175{\pm}34$ nM)를 가지고 있었다. 2nM [$^3H$]clonidine의 특이적인 결합은 $20^{\circ}C$, pH 7.5에서 최적 결합능을 가지고 있었고, 라벨되지 않은 clonidine에 의해 가역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합은 adrenaline, yohimbine과 rauwolscine에 의한 저해능은 약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결합부위는 $\alpha_2$-adrenoceptor와는 상이하였다. Clonidine의 특이적인 결합은 다양한 imidazoline/guanidinium약물에 의해 억제되었다. Competition 실험의 결과, 2nM[$^3H$]clonidine의 치환 rank order는 다음과 같다. guanabenz > cirazoline = naphazoline=UK14,304= ST587 $\geq$ clonidine $\geq$ idazoxan = RX821002 = tolazoline > ST93 = oxymetazoline = amiloride = ST91 > yohimbine = efaroxan = rauwolscine $\geq$ adrenaline = ST567 = histamine = agmatine. 이러한 순서는 포유류에 분류된 imidazoline receptorl($I_1$), imidazoline receptor 2($I_2$) 및 imidazoline/guanidinium receptive sites(IGRS)형태와는 틀리기 때문에 새로운 imidazoline receptor라고 생각된다. 지금까지 보고된 포유류의 세포와 조직에서 IGRS의 생리학적인 역할은 명확하지 않지만, 해수뱀장어 장은 IGRS의 세포에 있어서의 역할 그리고 IGRS의 내인성(內因性) ligand가 무엇인가에 대한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플라스틱 붕장어 통발어업에 있어서 침지 시간과 어획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ak Time and Catch numbers of Plastic Pot for Sea-eel, Conger myriaster)

  • 정순범;이주희;김형석;권병국;아동근;조영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3호
    • /
    • pp.202-208
    • /
    • 2002
  • 붕장어 통발 어업에 있어서 침지 시간과 어획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안 통발 조업선을 이용하여 2002년 3월 15일부터 2002년 4윌 7일 사이에 실시한 시험 조업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1. 침지 시간 3시간, 6시간 그리고 12시간에서 평균 어획은 각각 44.6마리/60개, 60.0마리/60개 및 81.3마리/60개였고, CPUE(catch number 10pots·hour)는 3시간, 6시간 그리고 12시간의 침지 시간에서 각각 2.5마리, 1.7마리 및 1.1마리로 나타났다. 2. 침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잔존 미수의 변화는 24시간과 48시간 사이에서 11.3%, 48시간과 72시간 사이에서 3.3% 로 침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잔존 미수의 변화를은 감소했다. 3. 12시간까지의 침지 시간에서 혼획률은 매우 낮았다(1.5-3%). 그러나 24시간 이상의 긴 침지 시간에서는 침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혼획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붕장어에 대한 미끼의 유인 효과는 통발의 설치 후부터 곧바로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미끼의 상태에 따라 어획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 천제연 하구 소상어류의 월별 종조성 (Monthly Species Composition of Upstream-Migrating Fish in the Cheonjeyeon Estuary of Jeju, Korea)

  • 황학빈;이태원;황선완;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0-219
    • /
    • 2008
  • 2004년 1월에서 9월 및 2007년 1월에서 8월 사이 천제연 하구에서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여 월별 밤과 낮의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천제연 하구의 하천과 바다 사이에 건설된 보의 수로에 망목 2 mm의 그물을 설치하여 매월 그믐 밤과 낮에 바다에서 민물로 소상하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은어 (Plecoglossus altivelis altivelis)와 숭어 (Mugil cephalu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강하성 어류인 실뱀장어(Anguilla japonica)가 소상 시기인 2월에서 5월 밤에 주로 채집되었고, 기수성인 갈문망둑(Rhinogobius giurinus), 검정망둑(Tridentiger obscurus), 열동갈문절(Sicyopterus japonicus)과 꾹저구(Gymnogobius urotaenia) 같은 망둑어류가 채집되었다. 담수어류인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가 소량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간조 때 담수를 따라 바다로 이동된 후 만조 때 다시 담수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채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산어인 멸치(Engraulis japonicus), 주걱치(Pempheris japonica), 쏠종개 (Plotosus lineatus), 복섬 (Takifugu niphobles)이 소량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만조 때 담수로 유입되는 해수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채집된 것으로 보인다. 은어는 조사기간 동안 계속 채집되었으며, 전장(TL) 55~100 mm인 개체들이 주로 채집되었으나 4월 이후에는 100 mm TL보다 큰 개체들도 채집되었다. 숭어도 조사기간 동안 계속 채집되었으며, 대부분 전장 범위가 28~58 mm 사이였으나, 2월과 4월에는 103~240 mm TL의 큰 개체들도 채집되었다. 제주도의 하천은 육지로부터 고립되었고 그 길이도 짧아 담수종의 수가 적고 기수역이 발달하지 않아, 담수종이나기수성 어류가 많지 않은 관계로 소상 어류상이 빈약한 것으로 보인다.

파상회전원판을 사용한 뱀장어사육과 질병대책 (Evaluation of A Revolving Plate-Type Biofilter for Use in Recirculating Eel Culture System and Control of Fish Diseases)

  • 전세규;손상규;김진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63-570
    • /
    • 1985
  • 질병치료용으로 개발한 파상회전원판의 순환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199일만에 뱀장어를 3kg에서 815.6kg으로 성장시킬 수 있었다. 사육수를 정화하기 위한 생물막의 표면적이 $1,127m^2$였는데 파상회전원판의 표면적이 $800m^2$였고, 수중에 침적된 PVC 파판의 표면적은 $327m^2$였다. 이 장치는 오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Trichodina 충과 Costia 충의 치료가 용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