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 coli O157:H7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8초

마늘 물추출물의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Aqueous Garlic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 이승윤;남상현;이현정;손송이;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0-216
    • /
    • 2015
  • 본 연구는 마늘의 물추출물(AGE)의 E. coli O157:H7, S. typhimurium, 그리고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AGE의 E. coli O157:H7, S. typhimurium, and S. aureus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는 각각 24, 48 그리고 24 mg/mL이었으며, 최소살균농도(MBC)는 모든 균에 대하여 96 mg/mL이었다. AGE 24 mg/mL을 E. coli O157:H7에 투여하고 배양 24시간 후에, 균의 증식이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 < 0.01). 그러나 AGE 24 mg/mL을 S. aureus에 투여하고 배양 24시간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AGE 96 mg/mL을 투여한 경우에서는 배양 24시간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가 나타났다(p < 0.01). AGE 48 (p < 0.05)과 96 mg/mL (p < 0.001)을 S. typhimurim에 투여하고 24시간 배양 후에,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균의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늘의 물추출물은 항생제와 화학적 식품보존제의 대체제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Escherichia coli O157:H7의 살균을 위한 감마선과 가열처리의 효과 (Effects of Gamma-Ray and Heat Treatment on Steriliz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 권오진;육홍선;김성애;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16-1020
    • /
    • 1997
  • 본 연구는 Escherichia coli O157:H7 균주를 살균하고자 감마선 단독 및 가열과의 병용처리 효과를 조사하였다. E. coli O157:H7 균주의 가열 단독처리시 D값은 $50^{\circ}C$에서 129.2분, $55^{\circ}C$에서 27.1분, $60^{\circ}C$에서 2.4분으로 나타났다. E. coli O157:H7 균주는 0.03 M cysteine, 1% sodium citrate 및 5% sucrose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열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였고 1%, meat extract, 1% casein 및 1% casamino acid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감소하였다. 감마선 단독처리시는 $D_{10}$ 값과 불활성화 계수가 0.116 kGy와 $17{\sim}25$ 이였으나 가열과의 병용처리시는 약 0.07 kGy와 $25{\sim}41$로 나타났다. 이로서 가열과 방사선의 병용처리는 E. coli O157:H7 균주의 방사선 감수성을 현저하게 상승시켜 본 균주의 살균에 효과적이었다.

  • PDF

Escherichia coli O157:H7 균주의 열저항성에 미치는 예비열처리 및 Ascorbate의 효과 (Effects of Preheating and Ascorbate on Heat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O157:H7)

  • 권오진;김덕진;김순희;변명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4-309
    • /
    • 1997
  • A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thermal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s influenced by the effects of temperature, time, suspension medium and ascorbate. Tryptic soy broth was more heat resistant than pfosphate buffer (pH 7.1), with D values of 1.52~1.68 min at 6$0^{\circ}C$ and 1.51~1.63 min at 7$0^{\circ}C$ compared with 1.52~1.65 min at 6$0^{\circ}C$ and 1.26~1.61 min at 7$0^{\circ}C$ for phosphate buffer as suspension medium. E. coli O157:H7 was completely inhibited within 30 min when small inoculum (106 CFU/$m\ell$) was heated at 7$0^{\circ}C$. When E. coli O157:H7 was preheated at 48$^{\circ}C$ for 60 min in phosphate buffer before heating, D values were 1.28~1.60 min at 6$0^{\circ}C$, and 1.13~1.56 min at 7$0^{\circ}C$, showing that preheating increases the heat resistance of the strain. Phosphate buffer containing ascorbate (0.001 M) was enhanced the thermal inactivation of the strain when inoculated as large inoculum (109 CFU/$m\ell$), while ascorbic acid was no effect at low cell concentrations (109 CFU/$m\ell$).

  • PDF

Escherichia coli O157:H7의 단크론성 항체 생산과 효소면역분석법의 개발 (Production of Monoclonal Antibody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Development of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 류희정;김정숙;김경열;남보람;남민지;심원보;김남수;조용진;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29-33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식품이나 농축산물 등에서 빈번하게 검출되고 있는 장관출혈성 대장균인 E. coli O157:H7에 대한 단크론성 항체를 생산하고, 신속 정확하게 검색할 수 있는 간접효소면역분석법을 개발한 후 시료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LPS, HKEC 및 FKEC를 E. coli O157:H7의 면역원으로 준비하여 mouse 면역에 사용하였고, 세포융합과 cloning을 실시하여 단클론성 항체를 생산하였으며, 생산된 항체 중 높은 역가를 나타낸 HKEC 4G8-5 항체로 ID-ELISA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IDELISA법의 최저검출한계는 $10^5\;cell/mL$이었고, S. aureus와 Sal. Typhimurium에 대해서 약간의 반응성을 나타내었지만 E. coli O157:H7에 대해 보다 강한 반응성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E. coli O157:H7에 매우 특이적인 분석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발된 ID-ELISA법을 이용하여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및 새싹채소에 대한 검출률 향상을 위해 각 시료를 증균한 결과, 3종의 육류와 새싹채소는 각각 증균 6시간과 2시간부터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증균법보다 신속하게 시료 속 E. coli O157:H7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IDELISA법을 적용하여 농축산물 중에 존재하는 E. coli O157:H7을 분석한다면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식중독세균에 대한 솔잎 Ethanol 추출물의 항균작용 (Antibacter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Pine Needl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80-385
    • /
    • 1998
  • 5종류의 식중독세균 (Aeromonas hydrophila,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196E,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하여 솔잎 ethanol 추출물의 항균작용을 조사하였다. 솔잎 ehanol 추출물을 0-2% (w/v) 함유한 tryptic soy broth(TSB)에 각 식중독세균을 약 $10^4$-$10^{6}$ CFU/ml 정도 되게 접종하여 35$^{\circ}C$에서 48시간 배양하면서 증식억제 정도를 생균수 변화로서 비교하였다. Gram 양성균인 L. monocytogenes, S. aureus와 Gram 음성균인 A. hydrophila는 솔잎 ehanol 추출물에서는 0.5% 이상의 농도에서 증식이 억제되어 솔잎 ethanol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우수하였다. 그러나 Gram 음성균인 E. coli O157:H7과 S. typhimurium은 2%의 솔잎 ethanol 추출물에서 약간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대체로 두 균주 모두 솔잎 ethanol 추출물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솔잎 ethanol 추출물에 의한 증식억제 효과는 S. aureus > A. hydrophila> L. monocytogenes > E. coli O157:H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S. typhimurium에서 가장 강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 PDF

생약재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 와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Herbal Medicine Extracts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O157:H7)

  • 채화;최수임;이윤미;허태련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37-542
    • /
    • 2002
  • 50가지 생약재를 95% 에탄올과 물추출하여 식중독 세균인 S. aureus와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한천배지확산법에 따른 생육저해효과를 측한 결과, S. aureus 에 대하여 우슬>목단피>지실>황백, 건강, 민들레 순으로, E. coli O157:H7에 대하여 목단피>우슬>건강>지실, 황백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MIC는 S. aureus에 대하여 우슬이 156.25 $\mu$g/mL, 목단피와 황백이 625 $\mu$g/mL로 나타났으며, E. coli O157:H7에 대하여 우슬과 목단피의 MIC는 각각 625, 312.5 $\mu$g/mL로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우슬과 목단피를 용매분획(hexane, CHC1$_3$, ethyl acetate, butanol)하여 한천배지 확산법에 의한 두 균에 대한 생장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우슬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목단피는 CHC1$_3$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각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젖산균과 비피더스균에 의한 Escherichia coli O157:H7과 Salmonella typhimurium의 생장억제 (Growth Inhibition of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by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 김현욱;안영태;신필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1-187
    • /
    • 1997
  •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Lactobacillus casei YIT 9018, Bifidobacterium longum 8001, and Bifidobacterium longum 8025 at the level of 106 cfu/$m\ell$ were cultured with 104 cfu/$m\ell$ of Escherichia coli O157:H7 KSC 109 or Salmonella typhimurium ATCC14028,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on the growth of the pathogens. In the mixed culture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E. coli O157:H7 KSC 109, Growth inhibition and atypical microcolonies of E. coli O157:H7 KSC 109 were observed. The pathogens inoculated grew for 5 hors (pH 5.3), by the time L. acidophilus NCFM reached the exponential growth phase, and then the surviving pathogens were decreased to 101 cfu/$m\ell$ after 35 hours. When L. caseiYIT 9018 was grown with the pathogens, they grew for 10 hours (pH 4.6), by the time L. casei YIT 9018 reached the end of exponential growth phase, and then the surviving pathogens were decreased drastically. Up to the stationary growth phase of lactic acid bacteria, L. acidophilus NCFM exhibited stronger inhibition against the pathogens than L. casei YIT 9018 did, which might be attributed to its faster growth. Likewise bifidobacteria inhibited the growth of the pathogens tested, bifidobaceria was weaker in the inhibitory activity than lactic acid bacteria. When Bifidobacterium longum 8001 was cultured with the pathogens, E. coli O157:H7 KSC 109 was gradually ingibited at the stationary growth phase of bifidobacteria, atypical microcolonies were formed on Levine EMB medium after 48 hours, and Salmonella grew up to 106 dfu/$m\ell$, then was drastically ingibited at the exponential growth phage of Bifidobacterium longum 8001. But when Bifidobacteriuam longum 8025 was cultured with the pathogens, the pathogens grew to the same level of Bifidobacteriuam longum 8025 was cultured with the pathogens, the pathogens grew to the same lever of Bifidobacteriuam longum 8025 after 10 hours, then the surviving pathogens were decreased drastically.

  • PDF

Characterization of Endolysin LysECP26 Derived from rV5-Like Phage vB_EcoM-ECP26 for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 Park, Do-Won;Park, J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0호
    • /
    • pp.1552-1558
    • /
    • 2020
  • With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non-heated fresh food, foodborne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EC)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oblematic pathogens worldwide. Endolysin, a bacteriophage-derived lysis protein, is able to lyse the target bacteria without any special resistance, and thus has been garnering interest as a powerful antimicrobial agent. In this study, rV5-like phage endolysin targeting E. coli O157:H7, named as LysECP26, was identified and purified. This endolysin had a lysozyme-like catalytic domain, but differed markedly from the sequence of lambda phage endolysin. LysECP26 exhibited strong activity with a broad lytic spectrum against various gram-negative strains (29/29) and was relatively stable at a broad temperature range (4℃-55℃).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ranges of LysECP26 were identified at 37℃-42℃ and pH 7-8, respectively. NaCl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lytic activity. Although LysECP26 was limited in that it could not pass the outer membrane, E. coli O157: H7 could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adding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and citric acid (1.44 and 1.14 log CFU/ml) within 30 min. Therefore, LysECP26 may serve as an effective biocontrol agent for gram-negative pathogens, including E. coli O157:H7.

Multiplex PCR을 이용한 장출혈성 대장균 O157:H7의 검출 (Detection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Strains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 엄용빈;김종배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3-56
    • /
    • 1998
  • 최근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장출형성 대장균 O157:H7을 분리배양 및 동정 없이 바로 시료를 분석하여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 (multiplex PCR) 기법을 확립하고, 이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분리 균주 중에서 SLT-I.II, eaeA, 60-MDa plasmid gene을 가지고 있는 대장균을 유전자 수준에서 검출하고자 하였다. 장출혈성 대장균 O157:H7이 가진 SLT-I.II, 60-MDa plasmid 유전자들에 대한 특이 oligonucleotide primers (MK1'-MK2', NAE19-NAE20, MFSIF-MFSIR)를 함께 동시에 반응 완충액에 넣어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한 결과 317bp (eaeA), 228bp (SLT-I.II), 167bp (60-MDa plasmid)의 PCR 증폭 DNA생성물을 표준균주 (E. coli ATCC 35150)에서는 확인할 수 있었지만, 기타 다른 병원성 장내세균 13세균 13균주에서는 band를 확인할 수 없었다. 한편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의 template DNA 추출 방법에 따른 PCR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각의 DNA 추출 방법 중 boiling lysis 방법이 신속하고 간편하여 장출혈성 대장균 O157:H7에 의한 식중독의 임상진단에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 (multiplex PCR) 적용하는 데에는 boiling lysis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 PDF

상추잎 즙액과 표면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의 생장 가능성 (Growth Potenti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Lettuce Leaf Extract and on Lettuce Leaf Surface)

  • 김원일;정향미;김세리;박경훈;김병석;윤혜정;윤종철;류경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6-30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이 주요 소비 엽채류인 상추에서의 생장 가능성과 온도대별 생장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상추잎 즙액 에서 E. coli O157:H7의 생장, 상추잎 표면에서의 생장, 여러 가지 온도조건하의 상추잎 즙액 및 표면에서 E. coli O157:H7의 생장, 초기 접종 농도별 생장패턴을 조사하였다. E. coli O157:H7은 상추잎 즙액에서 20시간 이내에 밀도가 증가하였고 상추잎 즙액의 농도에 따라 병원균의 생장률은 다르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4^{\circ}C$ 조건에서는 E. coli Ol57:H7 밀도가 크게 변하지 않았고 $15^{\circ}C$ 이상의 조건에서는 10시간 이내에 밀도가 증가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추잎 표면에서도 E. coli Ol57:H7의 밀도는 초기 접종 밀도에 비해 증가하였고, 증가되는 정도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추의 E coli O157:H7 초기 오염 농도가 병원균의 최대 생장 밀도 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부터 상추잎에서 식중독세균인 E. coli O157:H7의 생장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 따라 농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신선 엽채류는 생산 유통 소비 단계 에서 유해미생물의 오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유통과 소비단계에서 저온도 유지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