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ose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8초

MS-전자코를 이용한 유채유의 진위 여부 판별 (Authentication of Rapeseed Oil Using an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ry)

  • 홍은정;손희진;최진영;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5-109
    • /
    • 2011
  • 본 연구는 유채유에 타기름이 혼합되었을 때 그 혼합 비율에 따른 차이를 전자코로 분석하였다. 대두유와 옥수수유를 0, 3, 6, 9, 12, 15, 20%를 유채유에 각각 혼입하여 전자코로 분석한 결과 DF1의 영향을 주로 받아 혼합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DF1이 음의방향으로 일정한 경향을 보이며 이동하여 나타났다. 이를 혼합비율에 따른 DF1값을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결과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DF1값이 감소하여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유채유에 대두유를 혼합할 경우 DF1= $-0.170{\times}conc.$(대두유 혼합비율)+0.431 ($r^2=0.989$)과 같은 상관관계식을 얻어 유채유에 타 기름이 혼합될 경우 그 함량의 예측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자코를 이용하여 유채유의 위조판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다른유지를 비롯한 다양한 식품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전자코-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들기름이 혼합된 참기름의 판별 분석 (Authentication of Sesame Oil with Addition of Perilla Oil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ry)

  • 손희진;강진희;홍은정;임채란;최진영;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09-614
    • /
    • 2009
  • 참기름은 높은 항산화활성 및 항암작용 등의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를 지니는 반면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가짜 참기름의 유통이 범람함에 따라 이를 판별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의 확립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질량분석기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들기름이 혼합된 참기름을 제조하여 진위 판별을 시도하였다. 각각의 유지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분석, 통계처리하였다. 혼합 참기름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ion fragment 중 40-160 amu에서 각 시료 간에 차별성이 높은 fragment(m/z)를 선택하여 해당 intensity값을 판별 분석한 결과, 참기름 및 들기름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미량의 들기름이 혼합된 참기름은 첨가된 들기름의 농도에 비례하여 제1판별함수값(DF1)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기름의 볶음온도 및 시간 등의 제조조건 및 재배환경, 재배 산지, 제조회사 등의 요인에 의하여 순수한 참기름의 향기패턴이 달라지는 것을 인도산과 국산 참기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향후 참기름의 위조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에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휴대용 전자 후각 장치에서 다채널 마이크로 센서 신호의 영상 정합을 이용한 가스 인식 (Vapor Recognition Using Image Matching of Micro-Array Sensor Response from Portable Electronic Nose)

  • 양윤석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2호
    • /
    • pp.64-70
    • /
    • 2011
  • 휴대용 인공 전자 후각 시스템 (E-nose)의 가스 측정 환경은 실험실 내의 정교하게 제어되는 환경과 달리 온도, 농도, 기체 시료의 유속 등의 외부 요인의 변동이 매우 심하다. 이런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단순하고 강인하고 정확한 가스 패턴 인식 알고리듬의 개발은 마이크로 바이오 센서의 발달과 함께 확대되고 있는 휴대용 및 소형 측정 진단 시스템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DA 기반의 휴대용 전자 후각 시스템을 활용해 실제 변화하는 환경에서 다채널 마이크로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가스 신호를 수집하고, 여기에 영상 정합 기법을 적용하여 알고리듬의 강인성과 향상된 정확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6종류의 가스 시료에 대한 7채널 마이크로 센서의 휴대 환경 측정 데이터에 적용하고, 기존의 최대 민감도 특징 추출 기법과 비교한 결과, 외부 환경의 변동에 영향 받지 않는 안정된 인식 성능 뿐 아니라 기존의 방법으로 구별하기 어렵던 2 종의 유사한 가스 시료에 대해서도 정확한 구분이 가능함을 보였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환경 변화에 노출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USN)의 데이터 처리에도 쉽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응용 현장에서 높은 안정성과 정확성을 요구하는 휴대용 의료 진단, 환경 감지 기술의 실용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ass Spectrometer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한 식물성 유지가 혼합된 참기름의 판별 분석 (Identification of Vegetable Oil-added Sesame Oil by a Mass Spectrometer-based Electronic Nose)

  • 손희진;홍은정;고상훈;최진영;노봉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275-281
    • /
    • 2009
  • 참기름은 높은 항산화활성 및 항암작용 등의 우수한 영양학적 가치를 지니는 반면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가짜 참기름의 유통이 범람하여 이를 판별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의 확립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량분석기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대두유가 혼합된 참기름을 제조하여 진위 판별을 시도하기위하여 각각의 유지를 전자코를 이용하여 분석, 통계처리하였다. 혼합 참기름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부터 생성되는 ion fragment 중 40-160 amu에서 각 시료 간에 차별성이 높은 fragment (m/z)를 선택하여 해당 intensity값을 판별 분석한 결과, 참기름 및 대두유는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참기름 및 대두유, 옥수수유, 들기름을 각각의 순수한 상태로 향기성분 분석을 한 결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정확하게 분리됨을 알 수 있었고, 대두유와 옥수수유의 경우 타 기름과는 달리 순수한 공기 성분과 비슷한 위치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휘발성향기성분의 감응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미량의 대두유가 혼합된 참기름은 첨가된 대두유의 농도에 비례하여 제1판별함수값(DF1)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참향후 참기름의 위조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에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포장재질 및 탈산소재가 유과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aterial and Oxygen Absorbant on Quality Properties of Yukwa)

  • 이용환;금준석;안용식;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28-73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전통한과인 유과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장 중 저장조건에 따른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유과를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색을 측정한 결과 백색도(L)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a)의 경우 E1EA 처리구는 감소하였고, 황색도(b)의 경우 저장초기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텍스쳐에 있어서 상관성을 보이는 경도와 씹힘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E2A, E2EA 처리구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E1A 및 E1EA 처리구는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산가는 E2A 처리구는 12주 저장까지, E1A와 E1EA는 10주 저장까지 한과류에 대한 기준치인 2.0 이하로 측정되었다. 저장 중 산패의 지표인 과산화물가는 E1A, E2A 처리구는 저장 12주까지 기준치인 40이하로 측정되었으며. E2EA의 경우 단지 포장재만으로도 10주까지 34.65로 아주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Electronic nose를 이용하여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향기특성 패턴을 분석한 결과 6주 저장까지는 포장재질에 따른 향기특성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탈산소재의 유무와 관계없이 포장재의 영향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관능특성에서 탈산소재 처리에 의한 것은 E2A 및 E2EA 처리구가 높게 평가되었는데 이는 포장재질의 영향으로 보이며, 포장재에 탈산소재를 첨가한 E2A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와 전자코에 의한 향기성분 결과는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The Effect of Hot-Air Dried Lentinula edodes on the Quality and Oranoleptic Properties of Rolled-Dumplings

  • Go, Ha-Yoon;Lee, Sol-Hee;Kim, Hack-Yo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93-608
    • /
    • 2022
  • The effect of hot-air dried Lentinula edodes pileus (DLE) on the quality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rolled-dumplings was evaluated. DLE was prepared by drying at 60℃ for 24 h and added (Non, 7%, and 9%) to rolled-dumplings.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color (CIE L*, a*, b*), and cooking yield were analyzed. Texture profile analysis, electronic-nose (e-nose), electronic-tongue (e-tongue), and organoleptic evaluation were also conducted. The cooking yield of dumplings with 9% DL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geners without DLE, whereas 7% DLE did not lead t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without DLE. With increasing DLE addition, the pH and lightness of the dumplings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the redness tended to increase. The texture profil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dumplings with DLE compared to those without DLE. E-nose analysis confirmed that DLE addition led to the positive odors (methanethiol: meaty, sulfurous; 3-methylbutanal: malty, toasted) and the negative odors (trimethylamine: ammoniacal; acetic acid: acidic, sour). E-tongue analysis showed that DLE addition decreased the intensity of the sourness and increased the intensity of the saltiness and umami of rolled-dumplings. DLE addition improved the overall organoleptic properties, but 9% DLE can be recognized as a foreign substance in organoleptic acceptance. Consequently, DLE has the potential to serve as a flavor and odor enhancer for rolled-dumplings, and the addition of DLE can positively improve consumer acceptance by improving the quality and organoleptic properties.

근적외선분광법, 전자코 및 엑스선형광법을 이용한 당귀의 기원판별법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crimination of Angelicae Gigantis Radix by Near-infrared Spectroscopy, Electronic Nose and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 조창희;김수정;김효진
    • 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61-167
    • /
    • 2002
  • Angelicae gigantis radix is the root of the perennial plant, which belongs to the family Umbelliferae. However, this herbal drug is represented quite different chemical components according to its different genus name, though other herbal drugs (i.e. Leonuri Herba, Xanthii Fructus and so on) show similar constituents on the same name. The root of Angelica gigas containing the coumarin compounds is commonly used in Korea, while Angelica sinensis and Angelica acutiloba including phthalide compounds are used in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as Angelicae gigantis radix. In this paper, a nearinfrared spectroscopic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genus name of Angelica spp., especially A. gigas and A. sinensis which are commonly misused in herbal markets.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and electronic nose have been also applied as nondestructive methods to discriminate A. gigas from A. sinensis according to their specific properties.

Neural network algorithm for VOC gas recognition and concentration estimation at field screen using E-Nose System

  • Kim, Jeong-Do;Byun, Hyung-Gi;Ham, Yu-Kyung;Lee, Jun-Sub;Shon, Won-Ryul;Heo, Nam-Up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61.3-61
    • /
    • 2001
  • Field screening for pollutants has been a target of instrumental development for number of years. An electronic nose can be of substantial benefit to rapidly localize the spatial extent of a pollution or to find pollutant source. Although an electronic nose cannot separate complex composition into the whole spectrum of present volatile organic compound(VOC) in pollutants such as Gas chromatography(GC), qualitative and semi-quantitative chemical characterizations are rapidly available on site at a low cost using the optimum sensory system and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neural network.

  • PDF

온폐탕(溫肺湯)이 알레르기 비염 유발 흰쥐 모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npye-tang on the Rat Model with Allergic Rhinitis)

  • 안찬근;조준기;홍석훈;황충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42
    • /
    • 2007
  • Objectives : Allergic rhinitis is an inflammation or irritation of the mucous membranes that in the nose. Common symptoms include sneezing; a stuffy or runny nose; itch eyes, nose and throat; and watery eyes. We aimed to determine therapeutic effect of Onpye-tang by observing changes in blood cells and the nasal mucosal tissue. Methods : Twenty-four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control, and sample group. Allergic rhinitis was induced in the control and sample group by intraperitoneal and intranasal sensitization with 0.l% Ovalbumin solution. Then Onpye-tang was orally administered only to the sample group for 28days, while the rats in the control group was given normal saline. We observed changes in the number of RBC and WBC; changes of neutrophils, lymphocyte, monocyte, and eosinophil proportions; total IgE level and AST & ALT change; also, changes in the nasal mucosal tissue. We used Student T-test statistically(p<0.05). Results : Onpye-tang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IgE level on the serum of the rat model. Onpye-tang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eosinophil level on the blood of the rat model. Onpye-tang inhibited the inflammatory reaction on the nasal mucosal tissue, according to nasal mucosal biopsy. Onpye-tang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process of allergic rhinitis, according to IgE level, Eosinophil level, nasal mucosal biopsy. Onpye-tang had no hepatoxicity, according to AST and ALT on the serum.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Onpye-tang has an inhibitory effect on the process of allergic rhinitis and it can be used in relieving symptoms of allergic rhinitis.

  • PDF

전자코를 이용한 살모넬라 식중독균 판정 (Identification of Salmonella Pathogen Using Electronic Nose)

  • 김기영;이민욱;이강진;최규홍;노광모;강석원;장영창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0권2호
    • /
    • pp.121-126
    • /
    • 2005
  • In this study, a commercial electronic nose system was used to detect contamination of Salmonella bacteria. Odors from growth media contaminated with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or Escherichia coli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evaluate a possibility of rapid detection of pathogen. Odor chromatograph showed that S. typhimurium, S. enteritidis, and E. coli had 7,6, and 9 main peaks, respectively. Retention time and intensity of the peaks were distinct for different bacteria speci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ere also performed to clarify odor difference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odors for uncontaminated growth medium were differently grouped from the odors of contaminated one. The odor from the bacteria growth identified with two principal components, PC 1 and PC2. In PCA figures, odor groups were moved from left to right of PC 1 with elapse of the bacteria growth time. The electronic nose system could detect odors of S. typhimurium, S. enteritidis, E. coli when their concentration were $1.85\times10^6\;cfu/g,\;2.25\times10^6\;cfu/g,\;and\;1.8\times10^5 cfu/g$,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