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 coli O157 : nonH7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4초

정상 소 분변에서 분리한 verotoxin을 산생하지 않는 Escherichia coli O157과 verotoxin을 산생하는 E coli의 특성 조사 (Characteristics of verotoxin non-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 and verotoxin-producing E coli isolated from healthy cattle)

  • 정병열;정석찬;박홍제;조길재;김봉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25-531
    • /
    • 2000
  • Verotoxin을 산생하지 않은 Escherichia coli O157과 verotoxin을 산생하는 E coli(VTEC)를 건강한 소의 분변에서 분리하여 생화학적 및 유전적인 특성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E coli O157 : nonH7(운동성은 있으나 H혈청형이 7이 아님)의 sorbitol 분해능과 ${\beta}-glucurondase$ 활성은 E coli O157 : H7이 나타내는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uidA 유전자는 verotoxin 산생능과 상관없이 sorbitol과 ${\beta}-glucuronidase$ 음성인 E coli O157 : H7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었다. 한편 6개 목장에서 수거한 소 분변 45예에서 VTEC를 분리한 결과, 7주(15.6%)가 분리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sorbitol을 분해하였으며 ${\beta}-glucurondase$ 활성이 있었으나 장벽 부착인자를 지배하는 eaeA 유전자가 없었다. 비록 소가 VTEC의 보균원으로 추정되나, 정상 소에서 분리한 VTEC는 eaeA 유전자가 결여된 균주가 많으므로 공중위생학상 eaeA 유전자를 보유한 E coli 보다 위해성이 낮으며, 이러한 결과는 왜 사람에서 유행하는 VTEC 혈청형과 소에서 유행하는 것과 차이가 있는지를 일부 설명해준다.

  • PDF

Modified sorbitol MacConkey agar for the rapid isol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 Jung, Byeong-yeal;Jung, Suk-chan;Lee, Na-kyung;Cho, Seong-kun;Cho, Dong-hee;Her, Moon;Yoon, Yong-dhuk;Kim, Bong-hwa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765-771
    • /
    • 1999
  • Unlike most Escherichia coli strains, E coli O157 : H7 didn't ferment sorbitol within 24h of incubation and showed a negative reaction for $\beta$-glucuronidase. We developed a new medium for the rapid isolation of E coli O157 : H7 using sorbitol MacConkey agar with cefixime, potassium tellurite and 4-methylumbelliferyl-${\beta}$-D-glucuronide (MUG) as a primary plating medium. The addition of $20{\mu}g/ml$ of vancomycin in enrichment broth for E coli O157 : H7 inhibited lots of Gram positive bacteria. Three strains (10.3%) of 29 non-O157 E coli strains and 3 strains (8.3%) of 36 Salmonella spp were inhibited at the $0.05{\mu}g/ml$ of cefixime and 23 strains (79.3%) of 29 non-O157 E coli strains and 12 strains (33.3%) of 36 Salmonella spp were inhibited at the $2.0{\mu}g/ml$ of potassium tellurite. But none of the E coli O157 : H7 was affected at these concentration. The addition of MUG at $100{\mu}g/ml$ level to sorbitol MacConkey agar with cefixime and potassium tellurite (CTM-SMAC) aided in the rapid isolation of E coli O157 : H7 from samples by checking sorbitol-negative and $\beta$-glucuronidase negative phenotypes simultaneously. In conclusion, inoculation of a positive in the O157 screening test from enrichment broth on CTM-SMAC appeared to be a rapid, cost-effective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isolation of E coli O157 : H7.

  • PDF

식초와 젖산이 생선회 식중독 유래 병원성 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negar and Lactic Acid on the Survival of Pathogens Causing Food Poisoning of Sliced Raw Fish Meat)

  • 김영만;김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69-675
    • /
    • 2002
  • 저가 수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이들을 이용한 인스턴트 생선회를 제조하여 산업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인스턴트 생선회를 제조할 때 생선회를 원인식으로 하는 식중독 세균의 제어가 필수적이므로 생선회 소스의 원료인 유기산을 대상으로 생선회 식중독 유발 세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식초(총산도 6.0-7.0%)와 젖산(총산도 8.0-9.0%)은 낮은 농도에서도 Vibrio속에 대한 항균활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Vibrio vulnificus(V. vulnificus), V. cholerae non-O1, V. parahaemolyticus, V. mimicus 순이었고, Salmonella typhimurium(S. typhimurium)과 Escherichia coli O157:H7(E. coli O157:H7)은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항균활성이 약하게 나타났다. 최소생육저해농도(MIC)는 식초의 경우 V. vulnificus 16$\mu\textrm{g}$/$m\ell$, V. cholerae non-O1 18$\mu\textrm{g}$/$m\ell$, V. mimicus 16$\mu\textrm{g}$/$m\ell$, V. parahaemolyticus 12$\mu\textrm{g}$/$m\ell$, S. typhimurium 26$\mu\textrm{g}$/$m\ell$, E. coli O157:H7 20$\mu\textrm{g}$/$m\ell$를 나타내었고, 젖산의 경우 V. vulnificus 20$\mu\textrm{g}$/$m\ell$, V. cholerae non-O1 25$\mu\textrm{g}$/$m\ell$, V. mimicus 25$\mu\textrm{g}$/$m\ell$, V. parahaemolyticus 25$\mu\textrm{g}$/$m\ell$, S. typhimurium 40$\mu\textrm{g}$/$m\ell$, E. coli O157:H7 35$\mu\textrm{g}$/$m\ell$를 나타내었다. 순간 살균력 (10초)은 식초의 경우 V. vulnificus 8%, V. cholerae non-O1 14%, V. mimicus 10%, V. parahaemolyticus 4%, E. coli O157:H7 48%에서 증식되지 않았지만 S. typhimurium은 50%에서도 집락이 검출되었다. 젖산의 경우 V. vulnificus 2%, V. cholerae non-O1 3%, V. mimicus 4%, V. parahaemolyticus 3%, S. typhimurium 14%, E. coli O157:H7 17%에서 증식되지 않았다. 식초와 젖산은 낮은 농도에서 생선회 식중독 유발에 주 원인균이 되는 Vibrio 속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S. typhimurium과 E. coli O157:H7의 생육은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다.

Escherichia coli O157:H7의 제어를 위한 선학초(Agrimonia pilosa Ledebour) 추출물과 NaCl의 병용효과 (Combined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our Extract and NaCl for Control of Escherichia coli O157:H7)

  • 박신;권오진
    • KSBB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68-173
    • /
    • 1998
  • Gamma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Agrimonia pilosa Ledebour were extracted by 70% ethanol. The combined effects of the Agrimonia pilosa Ledebour extract and NaCl on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in tryptic soy broth were investigated. E. coli O157:H7 decreased ca 1 log cycle by the addition of 2% sample extract, and the anthbacterial activity wa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sample extract was increased. The irradiation effect of the sample on antibacterial activity was not observed. On the treatment of NaCl alone, E. coli O157:H7 was inactivated (ca 3~4 log cycle reduction within 48 hr) in more than 7% NaCl. The higher inactivation(ca 5 log cycle reduction within 48 hr) occurred in the presence of 2% sample extract and 5% NaCl than in the addition of each alone. The extracted antibacterial substance was stable in the pH range of 4.0 to 7.0, heat treatment at 121$^\circ C$ for 15 min, and freezing at -18$^\circ C$ and thawing at 37$^\circ C$. There fore, the sample extract, would substantially increase the food-safety in terms of E. coli O157:H7.

  • PDF

마늘즙의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작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 김명희;김소영;신원선;이준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52-755
    • /
    • 2003
  • E. coli O157:H7에 대한 마늘즙액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늘즙액의 처리량을 농도별 조건을 달리한 후 생균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마늘즙액 농도가 1%에서는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E. coli O157:H7의 생균수가 약간 줄어들었으나 마늘즙 처리량이 3%에서는 약 5 log, 마늘즙 처리량이 5%로 증가했을 때는 약 6 log의 생균수 감소를 보였다. 마늘즙의 식육내 항균작용 효과를 알아본 결과, 저육에서 3%, 6%, 10%의 마늘즙 농도별 차이에 따른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는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늘즙의 가장 뚜렷한 저해 효과는 저장 9일에 나타나 약 2 log의 생균수 감소가 관찰되었다. 저장 9일 이후에는 E. coli O157:H7의 생균수가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미루어 마늘즙의 항균 효과가 소실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실험의 결과, 마늘의 조미료로써의 기능과 더불어 천연 방부제로써의 항균효과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백년초 추출물에 의한 신선절단 사과의 저장 중 E. coli O157:H7과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육저해 (Effects of Opuntia ficus indica Extracts on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cut Apples)

  • 서영호;한창호;이정미;최성민;문광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1009-1013
    • /
    • 2012
  • 신선절단 사과에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를 인위적으로 접종한 후 백년초 추출물 처리에 따른 저장 중 미생물 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신선절단 사과에 접종된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초기 균수가 5~6 log CFU/g이 되게 하였고, 사용한 백년초 추출물은 25, 50, 100, 200 mg/mL이었으며 4, $21^{\circ}C$에서 8일간 저장하였다. E. coli O157:H7은 백년초 추출물 50 mg/mL 이상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E. coli O157:H7 생육저해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온도별로는 $21^{\circ}C$ 저장 시에 생육 억제효과가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L. monocytogenes는 E. coli O157:H7에 비교하여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저장 온도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특히 50 mg/mL 이상 처리구에서 2일째부터 4, $21^{\circ}C$ 저장 시 모두 L. monocytogenes가 검출한계 이하로 관찰되어 생육억제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관능평가에서는 100~200 mg/mL 이상의 백년초 추출물 처리가 신선절단 사과의 품질을 잘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백년초 추출물 처리는 신선 절단 사과의 저장, 유통 중 오염될 수 있는 E. coli O157:H7과 L. monocytogenes의 생육억제에 매우 효과적인 천연물이며, 향후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신선식품의 품질유지 향상에 효과적인 천연물 항균제로서 개발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Characterization of Endolysin LysECP26 Derived from rV5-Like Phage vB_EcoM-ECP26 for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 Park, Do-Won;Park, J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0호
    • /
    • pp.1552-1558
    • /
    • 2020
  • With an increase in the consumption of non-heated fresh food, foodborne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EC)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oblematic pathogens worldwide. Endolysin, a bacteriophage-derived lysis protein, is able to lyse the target bacteria without any special resistance, and thus has been garnering interest as a powerful antimicrobial agent. In this study, rV5-like phage endolysin targeting E. coli O157:H7, named as LysECP26, was identified and purified. This endolysin had a lysozyme-like catalytic domain, but differed markedly from the sequence of lambda phage endolysin. LysECP26 exhibited strong activity with a broad lytic spectrum against various gram-negative strains (29/29) and was relatively stable at a broad temperature range (4℃-55℃).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ranges of LysECP26 were identified at 37℃-42℃ and pH 7-8, respectively. NaCl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lytic activity. Although LysECP26 was limited in that it could not pass the outer membrane, E. coli O157: H7 could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adding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and citric acid (1.44 and 1.14 log CFU/ml) within 30 min. Therefore, LysECP26 may serve as an effective biocontrol agent for gram-negative pathogens, including E. coli O157:H7.

E. coli O157:H7에 의한 녹즙 저장 환경에서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조사 (Contamination of Green Vegetable Juice by E. coli O157:H7 during Storage)

  • 임은섭;구옥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46-451
    • /
    • 2015
  • 본 연구는 건강한 식이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그 수요량이 증가하고 있는 녹즙에 대한 미생물학적 품질평가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또한 날것으로 섭취하는 과채류의 장출혈성 대장균의 오염으로 인한 집단식중독 사고가 많이 보고되고 있는 상황에서 E. coli O157:H7이 녹즙에 오염되었을 경우 보관온도, 보관 시간별 미생물 커뮤니티의 변화를 정량 분석법과 DGGE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잠재적인 식중독 위험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정량 분석 결과 초기부터 총 호기성 세균수가 식품위생법상 기준치($1.0{\times}10^5CFU/mL$)를 초과한 결과를 보였으며, E. coli O157:H7에 대한 세균수 측정결과를 보면 $5^{\circ}C$$10^{\circ}C$에서 균수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GGE결과를 보면 보관시간이 길고 보관온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미생물 분포도를 보였고, 저장시간이 후반으로 갈수록 부패균인 젖산균이 다수 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 Rahnella aquatilis와 Citrobacter, Pseudomonas 등의 기회감염성 세균이 검출되었다. 이에, 위 녹즙시료는 잠재적인 식중독의 위험성을 보이므로 제품의 생산, 유통에 더욱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제품 구입 후 냉장저장을 하더라도 가능한 한 빠른 섭취가 권장되는 바이다. E. coli O157:H7에 위 제품이 오염되었을 경우 냉장과 실온조건 모두에서 세균수가 증가하였고, 특히 실온에 방치하였을 경우 그 증가폭이 크므로, 이에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E. coli O157: H7 신속검출 키트의 유효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E. coli O157: H7 Rapid Detection Kit using Immunochromatography)

  • 곽효선;이동하;문희숙;박종석;우건조;김창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8-124
    • /
    • 2003
  • 식품으로부터 다양한 병원 미생물을 신속 검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검출 원리를 이요한 키트들이 개발 시판되고 있다. 검사키트는 신속, 정확하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검사기관이나 실험실 뿐 아니라 식품회사에서 QC 또는 QA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 coli 0157:H7의 단클론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크로마토글래피법에 의해 개발된 E. coli 0157:H7 검출 키트(Donga Co, Korea, D-kit)에 대한 검출감도 및 특이성을 확인하고 식품 시료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면역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하여 개발 시판되고 있는 Reveal E. coli 0157:H7 kit (Neogen Co., USA. R-kit)와 VIP EHEC kit(Biocontro Inc., USA. V-kit)를 비교 키트로 사용하였다. E. coli 0157:H7 표준균주를 사용하여 실시한 검출감도 확인시험 결과 R-kit 및 D-kit는 104/m/의 농도에서 양성으로 확인되었고 $10^3$/ml에서도 약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V-lit는 $10^5$/ml농도로 검출감도가 낮았다. 또한, 배양액을 가열하여 kit에 적용하는 것이 가열하지 않은 경우보다 검출감도를 높일 수 있었다. E. coli 0157:H7 분리 22주, verotoxin 생성 E. coli 7주 E. coli 분리주 40주 중 3주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음성의 결과를 보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세 키트에 위양성 반응을 보인 것은 E. coli 0157:H19, E. coli 0148:H18 및 Salmonella gallinarium으로 이들 혈청형과 0157:H7 사이에는 유사한 혈청학적 특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D-kit는 E. coli 0157:H7을 검출하는데 감도 및 특이성 면에서 기존 키트인 R-kit 및 V-kit와 같이 이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Sensitivity of Escherichia coli to Seaweed (Ascophyllum nodosum) Phlorotannins and Terrestrial Tannins

  • Wang, Yuxi;Xu, Z.;Bach, S.J.;McAllister, T.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2호
    • /
    • pp.238-245
    • /
    • 2009
  • Pure cultur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bacteriostatic and bactericidal effects of phlorotannins (PT) isolated from Ascophyllum nodosum (brown seaweed) on Escherichia coli O157:H7. In Exp. 1, one non-O157:H7 strain (25922) and three strains of E. coli O157:H7 (3081, EDL933 and E318N) were cultured in M9 medium with PT included at 0 (control), 25, 50 or $100{\mu}g/ml$ (n = 3). Bacterial growth was monitored by $OD_{600}$ at 0, 4, 6, 12 and 24 h, and by dilution plating at 0, 4, 6 and 24 h. All strains were inhibited (p<0.001) by PT to varying degrees. At 50 or $100{\mu}g/ml$, PT prevented growth of all four strains. At $25{\mu}g\;PT/ml$, growth of 25922, 3081, E318N and EDL933 was inhibited for 6, 12 and 24 h, respectively, but 25922 and 3081 resumed growth by 12 and 24 h. Direct plating confirmed bactericidal effects of PT on all four strains at $100{\mu}g/ml$, and on EDL933 and E318N at $50{\mu}g/ml$. In Exp. 2, strains 25922 and 3081 were incubated with no tannins or with $50{\mu}g/ml$ of PT, purified condensed tannins (CT) from Quebracho (Schinopsis balansaei), or purified tannic acid from Rhus semialata (Anacardiaceae) as hydrolysable tannins (HT). Strain 3081 was unaffected by HT or CT, but was completely inhibited (p<0.001) by PT at 4, 6 and 24 h. Strain 25922 was unaffected by HT, slightly inhibited by CT, and almost eradicated by PT at 4 and 6 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annin-mediated alterations to bacterial cell walls. Phlorotannins from A. nodosum exhibit growth-inhibiting and bactericidal effects in vitro against the strains of E. coli O157:H7 investigated. Anti-E. coli efficacy of A. nodosum PT is superior to that of terrestrial tannins purified from Quebracho and from Rhus semial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