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Fluctuation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6초

2방향 전자밸브의 PWM 신호에 의한 압력제어 특성 (Pressure Control Characteristics of a 2-Way Solenoid Valve Driven by PWM Signal)

  • 정헌술;김형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6권8호
    • /
    • pp.1565-1576
    • /
    • 2002
  • By way of driving a 2-way on/off solenoid hydraulic valve with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 control of the pressure in a certain volume is frequently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However, the pressure built-up according to the duty ratio and carrier frequency of the PWM signal is not so well understood.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2-way valve hydraulic pressure control systems, in this paper two formula fur the mean and ripple of the load pressure were derived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And the accuracy of the derived formula were verified by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test result. Generally 2-way valve systems are constructed as a bleed-off circuit, while 3-way valves are used as a control element in a meter-in circuit pressure control system. In a bleed-off circuit, the system supply pressure from a hydraulic power pack does not remain constant, but changes according to their external load. In turn, the relief valve in the hydraulic power pack reacts accordingly showing complicated dynamic behavior, which makes an analytical study difficult.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simple but accurate empirical dynamic models fer a bleed-off system were used in the course of formula derivation. As the result, selection criteria for two major control parameters of the driving signal is established and the basic strategy to suppress the unnecessary pressure fluctuation can be provided for a hydraulic pressure control system using a 2-way on/off solenoid valve.

상온 작동 환경하에서의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rformance Under Low Operating Temperatures)

  • 차도원;김보성;김용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8호
    • /
    • pp.687-69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기기에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EMFC)를 적용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작동 시의 성능특성을 정상상태와 동적상태에서 관찰하였다. 상대습도 및 공기 화학양론비에 따른 PEMFC 성능 변화를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EIS(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내부 오믹 저항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35^{\circ}C$ 조건에서 물질 전달률이 감소하여 $45^{\circ}C$ 조건에 비해 전압 변동이 10배 정도 크게 관찰되었으며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공기의 화학양론비를 2.5 보다 크게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낮은 상대습도는 오믹 저항을 크게 증가시키며,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대습도 60% 이상으로 작동하여야 한다.

한국형 틸팅차량 완화곡선 주행시 궤도작용력 발생경향 분석 (Analysis of Occurrence Tendency of Rail Force According to Running the Hanvit 200 Train on Transition Curve Track)

  • 박용걸;최승룡;김연태;최정열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678-686
    • /
    • 2009
  • 국내에서 개발된 한국형 틸팅열차는 현재 시제차량 제작을 마치고, 충북선을 시작으로 시운전 시험이 단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시운전 시험에서는 한국형 틸팅열차의 시스템 안정화를 위해 차량 외에 궤도, 구조물, 전차선, 신호 등 각 시스템 상호간의 인터페이스 검증이 필요하며, 선로구축물 분야에서는 개발차량의 증속이 궤도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비롯한 궤도부담력 검토를 통해 궤도구조의 안정성과 주행안정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완화곡선구간을 주행하는 틸팅차량(한빛200호), 고속차량(KTX) 및 일반차량(무궁화)에 의해 궤도에서 발생하는 동적 윤중 및 횡압을 측정하였다. 측정데이터를 통해 차종별 주행패턴을 비교하고 윤중과 횡압의 증감율을 확률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정식 대치구조를 갖는 기존 차량의 캔트변화에 따른 발생 윤중 및 횡압의 분포범위는 일정 범위 내에서 작은 편차로 분포하였다. 반면 진자식 대차구조인 틸팅차량의 경우 캔트변화에 따른 차체의 틸팅작용에 의해 비교적 넓은 범위에 큰 편차로 궤도작용력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RIMA 추세의 비관측요인 모형과 미국 GDP에 대한 예측력 (UC Model with ARIMA Trend and Forecasting U.S. GDP)

  • 이영수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4호
    • /
    • pp.159-172
    • /
    • 2017
  • 비관측요인(unobserved-component)모형을 이용한 GDP의 추세-순환요인 분해에서, 통상적으로 추세는 확률보행 과정을 갖는 것으로 가정된다. 본 연구는 추세를 ARIMA 과정으로 표현하는 경우, GDP 변동에서 갖는 추세요인의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펴보고, GDP에 대한 예측력이 개선될 수 있는가의 여부를 미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모형은 GDP만의 단일변수모형과 물가를 포함하는 2변수모형의 두 가지를 고려하여 설정하였으며, 모형 추정은 비관측요인모형을 상태-공간모형으로 전환한 후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한 최대우도추정법을 사용하였다. GDP에 대한 예측은 축차적 추정(recursive estimation)을 이용한 동적 표본외예측(dynamic out-of-sample)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예측력 비교결과에 대한 검정은 Diebold-Mariano 검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모형의 추정결과에서 ARIMA 추세의 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값을 가지며, 둘째, ARIMA 추세 모형이 확률보행 추세 모형보다 GDP 변동의 분산 및 자기 상관성(autocorrelation)을 보다 잘 설명하며, 셋째, 예측력에서 단일변수보다는 2변수모형의 예측력이 그리고 확률보행 추세보다는 ARIMA 추세를 갖는 모형의 예측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GDP 추세-순환 요인 분해에서 추세를 ARIMA 과정으로 표현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사다리꼴 개수로에서 동수두를 고려한 제방 침투에 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Levee Seepage Considering Dynamic Head in a Trapezoidal Open-Channel)

  • 임동균;김규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3B호
    • /
    • pp.239-245
    • /
    • 2009
  • 제방은 형태 및 구성이 중력댐과 유사한 수리구조물이나, 외력조건에서 중력댐과 다른 특성을 가진다. 제방은 제외지의 수위와 흐름의 영향을 복합적으로 받는 구조물로서 하천의 흐름조건을 무시한 기존 연구와 같이 침투 안전성 해석을 시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제방 주변의 흐름인 사다리꼴 개수로 흐름구조와 제외지 흐름이 제방침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다리꼴 개수로 흐름구조는 유속분포 및 바닥면 전단응력에 있어 직사각형 개수로 흐름과 상이하였다. 또한 유속이 0.5 m/s인 경우에 침투 수두는 흐름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10%정도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동수두, 이차류, 난류 변동성분에 의한 인자, 그리고 다양한 물리적 영향에 기인한다. 따라서 침투해석의 외력조건은 수위뿐만 아니라, 흐름에 의한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강의 연속주조시 Mold Oscillation에 따른 Flux층 내의 동적 압력변화 해석 (The Analysis of Dynamic Pressure in the Molten Flux near the Meniscus during Mold Oscillation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 박태호;김지훈;최주;예병준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6-33
    • /
    • 2004
  • The pressure of the mold flux acting on the meniscus shell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coupling analysis of heat transfer in the mold and fluid flow in the flux caused by the mold oscillation. Finite element method was employed to solve the conservation equation associated with appropriate boundary conditions. As reported by previous workers, the axial pressure is positive on the negative strip time and negative on the positive strip time. A maximum pressure is predicted toward the top of the meniscus shell which has the thin shell arid a maximum value is in proportion to the relative mold oscillation velocity. The relative mold oscillation velocity was changed by the effect of meniscus level fluctuation. Therefore the pressure of the mold flux acting on the meniscus shell was different each cycle of the mold oscillation due to the irregularity of relative mold oscillation velocity.

In/Si (111)-$4{\times}1$ 표면의 상전이에 대한 연구

  • 여종훈;전유진;심형준;이근섭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3-143
    • /
    • 2012
  • In/Si (111)-$4{\times}1$ 표면은 저온에서의 $8{\times}2$ 주기의 상과 상온에서의 $4{\times}1$ 주기의 상 사이에 상전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저온 $8{\times}2$ 주기의 상에서는 최근 제시된 hexagon 구조 모형이 가장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상온 $4{\times}1$ 주기의 상에 대해서는 정적인(static) 구조 모형과 동적요동(dynamic fluctuation) 모형이 제안되었다. 이 두 가지 구조 모형은 모두 2차 상전이를 의미하지만, 최근 엔트로피를 고려한 이론계산 결과는 이 상전이가 1차 상전이를 가짐을 시사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이 표면의 상전이를 저에너지전자회절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고, 온도를 상온에서 저온으로 낮출 때와 저온에서 상온으로 높일 때의 회절세기 변화로부터 가열과 냉각의 두 과정에서 상전이 온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보임을 관찰하였다. 이는 주사터널링현미경 이미지에서 $4{\times}1$ 상온 구조와 $8{\times}2$ 저온 구조가 상전이 온도 근처에서 공존하는 것으로 관찰되는 것과 상통하는 결과로 1차 상전이임을 나타낸다. 이에 우리는 이 표면의 구조 상전이가 1차 상전이인 것으로 결론지으며, 이와 함께 표면의 결함이 상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 PDF

Digital Recording Device를 ol용한 회전중인 블레이드 표면의 압력섭동 측정 (Measurement of Surface Pressure Fluctuations on a Rotating Blade Using a Digital Recording Device)

  • 윤정식;강웅;성형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9권10호
    • /
    • pp.1119-1129
    • /
    • 2005
  • A new measurement system of wall pressure fluctuations on a rotating machinery, composed of digital recording device, was developed and evaluated. The small-sized digital recording device was attached on the rotating machinery and then was detached for data reduction. In order to obtain the system transfer function of the digital recording system, a dynamic calibration was performed utilizing the signal from a 1/8 inch B&K microphone as input. The time history of the unsteady pressure was then reconstructed from the output of the sensor by using this transfer function. The reconstructed pressure signal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reference signal in both temporal and spectral sense. This sensor was then used to measure the wall pressure fluctuations on a rotating blade. An array of microphones were installed on the blade in the circumferential and radial directions. Various statistical moments were obtained from the measurement data set. Comparison of these quantities with the existing studies demonstrated satisfactory agreement. These tests give credence to the relevance and reliability of this device for applications in more complicated turbulent rotating machineries.

감조하천 홍수위 계산의 불확실성과 저감 대안 - 임진강 하류를 대상으로 (Uncertainty of Evaluating Design Flood and Mitigation Plan at Downstream of Imjin River)

  • 백경오;권혁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2-137
    • /
    • 2018
  • Compared with general rivers, fluctuations of the water level and the river bed are severe in the tidal river. In hydro-dynamic aspect, such fluctuation gives different river-bed data to us according to observing period. The time-dependent river-bed data and pre-estimation of the Manning's roughness coefficient which is the key factor of numerical modelling induces uncertainty of evaluating the design flood level. Thu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calculate the flood level at tidal rivers than at general rivers. In this study, downstream of the Imjin River where is affected by tide of the West Sea selected as a study site. From the numerical modelling, it was shown that the unsteady simulation gave considerable mitigation of the water level from the starting point to 15 km upstream compared to the steady simulation. Either making a detention pond or optional dredging was not effective to mitigate the flood level at Gugok - Majung region where is located in the downstream of the Imjin River. Therefore, a more sophisticated approach is required to evaluate the design flood level estimation before constructive measures adopted in general rivers when establishing the flood control plan in a tidal river.

발파하중이 인접 댐에 미치는 진동영향에 대한 연계해석적 검토 (Coupled analysis for the influence of blasting-induced vibration on adjacent dam)

  • 박인준;김성인;남기천;곽창원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1-5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기존댐 인접지에 터널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발파시, 폭괴하중으로 인한 지반진통이 댐 제체와 간극수암에 마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댐의 안정성 검토는 발파시 발생하는 코어부의 최대입자속도 (Peak Particle Velocity)를 계산하여 수행하였다. 간극수와 지반진동간의 상호 연계해석을 위하여 댐 제체에 대한 정상상태 흐름해석을 수행하여 간극수압 분포를 파악하고, 유발된 과잉간극수암 및 유효응력분포로 발파하중이 인접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발파와 같은 급속하중 재하 후 과잉간극수압의 증가 및 소산현상 해석을 위하여 Finn & Byrne Model을 적용하여 하중재하 전후의 유효응력 변화양상을 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