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ing car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초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웰다잉 인식, 노인에 대한 태도변화 및 삶의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Well-dying, Change to Attitude toward the Old and Meaning of life through Hospice Education Program of Care Worker Trainees)

  • 한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71-4477
    • /
    • 2012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웰다잉 인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의미의 변화를 검정하여 교육 효과를 확인하는 유사 실험 설계 중 단일군 사전 사후설계이다. 연구기간은 2011년 9월11일부터 10월21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교육생 총 80명으로 본 프로그램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희망하는 자로 호스피스 교육 16시간을 이수한 자이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호스피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교육을 실시하기 전 보다 실시한 후가 웰다잉 인식과 삶의 의미, 노인에 대한 태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질적으로 우수한 노인요양보호의 전문 인력이 되기 위해서 노인들에게 필요한 교육내용과 호스피스 프로그램 개발의 질적 관리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인 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erminal Care Stress in General Hospital Nurses)

  • 박미선;김혜영;김지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8-38
    • /
    • 2019
  •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J시 소재의 일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97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2월 25일부터 31일까지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 예측요인은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태도, 이직의도, 존엄사에 대한 태도 및 영성이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39.6%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사정하고 이들 변인을 모두 고려한 구체적인 중재를 개발하여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한국사회의 웰다잉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Well-dying in Korean Society)

  • 김가혜;박연환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9-237
    • /
    • 2020
  • Purpose: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concept of well-dying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Korea. Methods: Walker and Avant's method was chosen for the concept analysi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36 papers, the attributes and definition of well-dying were derived. Results: The literature revealed that in Korean society, well-dying is defined as the process of actively preparing for death throughout life. The attributes of the concept are a reflection on death, death acceptance, searching for meaning, transcendence, advance decision-making, and sharing values with family. The motivation for thinking about death, the hope of dying with dignity, and the Korean cultural view of death precede the concept, followed by dying with dignity, personal and family happiness,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death. Conclusion: This study may lead to the unification of concept use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thus enabling effective communication in research, education, and clinical settings. This can be the rationale for the development of tools and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as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well-dying in Korea.

임종환자를 돌보는 병원간호사의 경험: 감정에 충실하면서 자신 추스르기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 이명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53-561
    • /
    • 2003
  • Purpose: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that represents hospital nurses' experience on caring for dying patients. Method: Grounded theory method guided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 purposeful sample of 15 hospital nurses participated during the period of 2001-2002.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All interviews were audio taped and transcribed verbatim.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Putting oneself into shape while being faithful to feelings and emotions' emerged as the basic social-psychological process. Three different phases were identified: being faithful to own feelings and behaviors; putting oneself into shape; and mourning death. The first phase includes the categories of 'establishing trust relationships' and 'sympathizing with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The second phase consists of 'controlling feelings,' 'adjusting ethical conflicts,' and 'providing best patient-care,' and 'helping family accept the jeath.' And the third phase consists of 'overcoming sadness' and 'releasing other negative feeling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help health professionals develop efficient support programs that support nurses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Further study needs to be done to verify findings.

종합병원 호스피스 병동부 단위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t Spaces of Hospice Unit within a General Hospital)

  • 하영창;이특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37-45
    • /
    • 2001
  • The hospice movement evolved as an alternative to hospitals as places to die. Recently, the palliative care for dying and hospice has been developed rapidly and placed itself as one of the medical systems. But the studies on hospice program and establishment method in Korea are few or no in comparison with developed countries. Hospice unit within a general hospital is more efficient hospice type than other terminal care establishments, therefor it will be developed rapidly.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puts elements of architectural planning on the hospice unit for the space requirements. Also, It is investigated the architectural conditions of hospice unit within a general hospital, analyzed the unit space and spatial composition in hospice un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fundamental data and unit space for architectural plan and design.

  • PDF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Public Attitudes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e.Palliative Care)

  • 윤영호;이영선;남소영;채유미;허대석;이소우;홍영선;김시영;이경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1호
    • /
    • pp.17-28
    • /
    • 2004
  • 목적: 말기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과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제도화를 위한 노력이 집중되고 있는지만 소비자인 일반 국민이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대한 조사가 없었다. 방법: 2004년 2월, 16개 시도의 20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시도별 인구분포에 의한 할당추출 인구구성비와 동일하게 대상자를 추출하였으며 전문조사기관의 면접원 30명에게 설문내용에 대해 교육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품위 있는 죽음의 조간 선호하는 임종장소 및 그 이유, 무의미한 치료 중단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호스피스 서비스 인식 및 이용의향, 그리고 국민들의 품위있는 죽음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환자의 입장에서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에게 부담 주지 않음'(27.8%) 및 '가족이나 의미 있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26.0%)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적인 임종장소는 응답자의 과반수(54.8%)가 자택을 선택했으며, 병원(28.0%), 호스피스 기관(7.9%), 요양원(6.5%) 순으로 나타났다. '무의미한 치료의 중단'에 응답자의 과반수인 51.7%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82.3%)가 '중단하는 것이 좋다'라고 응답하였다. 응답한 대상자의 59.4%가 '호스피스'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말기 상황인 경우 응답자의 57.4%가 '호스피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79.6%가 '호스피스 서비스를 건강보험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전의사결정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0.9%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 중 '말기 환자에 대한 재정지원'(29.8%),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한 보험인정'(16.5%), '바람직한 임종문화 호스피스 제도 정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강화'(15.9%)를 강조하였다. 결론: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를 통해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과 가족의 고통을 줄이기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제도화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가능성과 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향후 제도화를 위한 정책 방향 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 환자 임종간호 경험 (Nurses' Experiences of End-of-life Care for Elderly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이춘이;이가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9-211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describe the essence and the meaning of nurses' experiences of end-of-life care (EOLC) for elderly patients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Methods: Data were gathered from 12 nurses who had been working at LTCHs in Korea through one-on-one interview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emergent 5 themes were 'Doing the best for protecting patients' life', 'Providing a comfortable dying process for patients', 'Supporting a family's keeping on patient's death', 'Reflecting on life' and 'Desiring for the establishment of a humanity end-of-life care environment'. Conclusion: The end-of-life care for the elderly patients includes supporting elderly patients' comfortable dying process and helping the family keep the death of the elder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ysical facilities and end-of-life nursing capacity should be established in LTCH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OLC.

의과대학생을 위한 죽음교육이 말기환자 돌봄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연구 (The Influence of Death Education on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A Preliminary Study)

  • 김혜원;박중철
    • 의학교육논단
    • /
    • 제20권3호
    • /
    • pp.150-155
    • /
    • 2018
  • End-of-life care competencies have been perceived as important and essential, so it has been suggested that end-of-life care be studied in undergraduate medical education. However, end-of-life care curriculum has mostly focused on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rather than attitudes. Therefore, we aimed to explore whether education about death affects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care for dying patients and perception of death anxiety, meaning in life, and self-esteem. A total of 15 first- or second-year medical students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completing a 6-week death education course. Paired data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s caring for terminally ill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improved significantly (t=-2.84, p=0.013) with an effect size of 0.73. In contrast,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death anxiety, meaning in life, or self-esteem. All participants agreed that formal teaching about death and dying must be encouraged in medical schools. Our results suggest that death education may positively influence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Although replication with larger samples is necessary, this preliminary finding may support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ally appropriate end-of-life care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Impact of a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on Korean Hospice Volunteers: Motivation, Death Anxiety, and Communication with the Dying

  • Woo, Hee Young;Yeun, Young Ra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2호
    • /
    • pp.58-64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일개 종합병원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완화 돌봄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호스피스 완화돌봄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서울 소재 S 종합병원에 등록되어 있는 호스피스 자원봉사자 71명을 A 군(실험군, 34명) 또는 B 군(대조군, 37명)에 배정하였다. A 군에게는 2주 동안 주 3회, 총 6회기, 1회 3시간의 16개 내용으로 구성된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A군과 B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나타내었으며, 두 군 간의 일반적인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은 Chi-squire test와 t-test로 검정하였다.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 죽음 불안 및 말기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t-test로 검정하였다. 결과: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t=2.341, P=0.022), 죽음 불안(t=-2.166, P=0.034)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t=2.808, P=0.006)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완화돌봄 교육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동기를 향상시키고 죽음 불안 및 말기 환자와의 의사소통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 조혜진;김은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2호
    • /
    • pp.163-172
    • /
    • 2005
  • 목적: 본 연구는 죽음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죽음 불안과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방법: 연구대상은 J시 G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학생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자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16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실험군과 대조군 대상자 모두에게 2004년 3월 2일 일반적 특성과 죽음관련 특성,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대해 사전 조사하였고, 실험군은 2004년 3월 2일부터 3월 12일까지 죽음교육을 실시한 후 사후 조사하였으며, 대조군은 실험군의 프로그램 종료일인 2004년 3월 12일에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대해 사후 조사를 하였다. 연구 도구는 죽음교육 프로그램,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죽음교육은 Alfons[14]의 '죽음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와 죽음교육 관련문헌[8,15-17]와 송길원[18]과 김수지 등[19]을 통해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수정 보완한 것으로 죽음의 탐색, 이해, 수용, 중재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말하며, 실험군에게 주 3회 1회에 100분씩 총 6회기로 진행하였다. 죽음 불안은 Collette와 Lester[28]가 개발하고 서[20]가 수정 번안한 죽음불안척도(Fear of Death and Dying Scale)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임종 간호태도는 Frommelt와 Katherine[8]이 개발한 임종간호태도척도(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Scale)를 본 연구자가 번역한 후, 영어 전공자 2인이 역으로 번역하였고, 성인간호학 교수 2인, 정신간호학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 Windows (version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가설검증을 정규성 검증, 실험군 및 대조군의 실험 전 후 차이는 paired t-test,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는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간호대학생의 죽음불안 정도(범위 $35{\sim}160$)는 90.89점이었고, 임종간호태도 정도(범위: $30{\sim}120$)는 86.78점이었다. 2. 제 1가설 '죽음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죽음불안 정도가 죽음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라는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t=-2.11, P<.05). 3. 제 2가설 '죽음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임종 간호 태도 정도는 죽음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긍정적으로 높을 것이다'라는 제 2가설은 지지 되었다(t=2.99, P<.01). 결론: 죽음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죽음불안 정도를 낮추고 임종간호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므로 임상간호사와 호스피스 대상자 및 가족에게 적용할 필요가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