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rand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5초

근대 건축의 사고체계: 장-니콜라-루이 뒤랑과 국제 양식 (Systems of thought in Modern Architecture: Jean-Nicolas-Louis Durand and International style)

  • 신건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5호
    • /
    • pp.71-8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Durand's architectural theory which provided reasonable architectural logic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architectural logic of the Modern Movement of Architecture led by avant-garde architects in the 1920's. The system of thought in architecture proposed by Durand which clarified a architectural design method(composition) is very similar to the one of the International Style(Book), which summarizes commonalities in the flow of modern architecture. This approach has something in comm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ystems of thought, despite differences in external forms and time gap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systems of thought in three ways. It is to examine how the two systems of thought define architecture, what is the logic of building production, and finally the value of architecture (including aesthetic values) while eliminating classical aesthetics.

현대건축에서 그리드와 축에 관한 연구 -듀랑에서부터 르 코르뷔제까지- (The Grid and Axis in Modern Architecture From Durand to Le Corbusier)

  • 배형민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4호
    • /
    • pp.99-115
    • /
    • 2002
  • Centered on Durand and Le Corbusier, this study analyses the changing status of the grid and axis in modern architecture. In the Renaissance, the taxis grid operated as a contour grid, defining the elements and space of the building as part of closed harmonized world. In his Pre'cis des lec., ons d'architecture, Durand provides the most explicit demonstration of a new modem grid in which its lines function as spatial and structural axes. In principle these axes are coordinates for the placements of a priori elements but in Beaux-Arts practice, as Durand himself acknowledged, they involve a simultaneous process in which the spatial axis sets up the basic parti and the structural axis is developed into the building's poche'. As a coordinate, Durand's grid provides a place for the 'subject' to enter the architectural process. At the same time, it is the object of the subject's gaze, the dense site of the subject's transformative actions. Though Le Corbusier is noted for his frequent attacks on the academic system, his architecture should be seen within the continuity of the classical tradition. He redefines the Beaux-Arts axis as a moving and seeing observer, and continues the discipline of the plan, the essential discipline of the Beaux-Arts system. In his dialectics, an intellectual scheme which extends to his commentators, the intention and will of the subject must come in tune with the objective material form of the building. Like Durand, Le Corbusier's axis provides the medium for the subject to enter. Unlike the Beaux-Arts system, however, Le Corbusier's mobile subject no longer has a holistic view of the building previously provided by the central axis. If there is a parti for Le Corbusier, it consists of the domino grid as a potential, but nonetheless, tangible form. In comparison with the Beaux-Arts structural grid, his gaze no longer lingers on their lines because they no longer constitute a formal process tied to the development of a thick articulated structure. Le Corbusier's grid constitutes a 'loose' form, one that breaks down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Beaux-Arts system.

  • PDF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J.N.L. 뒤랑의 그리드 사용법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t Usage of the Grids between Leonardo da Vinci and J.N.L. Durand)

  • 황민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8호
    • /
    • pp.189-199
    • /
    • 2017
  • 본 연구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J.N.L. 뒤랑이 건축 평면도를 설계하는 과정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그리드 사용법을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를 밝혀내고 이를 통해 서양 건축사 내에서 이들의 위상을 재평가 하는데 목적이 있다. 표준화된 측정 도구가 없었던 시절에 보조선은 디자인을 하는 데 있어 필수불가결한 요소였으며, 이는 전적으로 건축가 개인의 사고방식과 디자인 편의에 의존해서 사용되었다. 이에 건축가들이 그려내는 보조선을 연구하는 것은 그 건축가가 지니고 있던 시대 의식과 사상, 철학, 과학과 수학 등이 관련된 인간의 인식체계를 연구하는데 상당히 타당성이 있는 도구라 여겨진다. 특히 디자인 분야에서의 그리드는 고대로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보조선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작 건축 분야에서만큼은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J.N.L. 뒤랑을 제외하고는 그리드 사용자가 드물다. 게다가 이들은 그 사용법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리드 규격은 동일한 것이 아니라, 선행해서 놓인 실의 가로 및 세로 규격에 맞추어 달라지고 있으며, 중심이 다른 그리드가 순차적으로 사용된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반면 J.N.L. 뒤랑의 그리드 중심은 항상 도면의 중심과 일치한다. 그리드의 모든 위치는 하나의 공통된 점을 중심으로 위상을 정할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한 규격을 전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리드를 '구상적', J.N.L. 뒤랑의 그리드를 '추상적'이라 구분하여 보았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리스.로마 신화의 이미지와 상징 해석 - 뒤랑(G. Durand)의 '상상계 이미지들의 동위적 분류도'를 중심으로 - (Interpretation of Images and Symbols from Greek and Roman Mythology in Contemporary Fashion - Focused on Durand's Classification of the Imaginary -)

  • 류수현;김민자
    • 복식
    • /
    • 제61권2호
    • /
    • pp.131-151
    • /
    • 2011
  • The study alms to identify how the symbols and images of Greek Roman myths in contemporary fashion have been reflected in respects of meaning and forms, and to find out the organic course from meaning to forms by using Durand's classification. The results define the significance of Greek Roman myths in contemporary fashion, and systematically suggest a direction of imagination for more creative design. In the diurne regime, the symbolism of purity, heroism and fear appeared. In the nocturne regime, the symbolism of maternity and sensuality appeared. In the dramatic regime, the symbolism of androgyny appeare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s contained in each symbolism are common.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trace organic relationships in the creation of images through the verbal scheme. In addition, the verbal scheme creates archetypal images that lead to images and symbol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so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archetypal images and the format of garments. The study examined how the archetypal images that appeared in the mythical images were expressed in garments through the verbal system.

한국산(韓國産) 반균강(盤菌綱)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I) (Taxonomical Studies on Discomycetes in Korea(I))

  • 박평제;이지열;대곡길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7-40
    • /
    • 1985
  • 1982년 3월부터 1984년 7월까지 경기도(京畿道) 광릉시험림(光陵試驗林)을 주로하고, 덕유산, 설악산, 전주 성수산, 수원 팔달산에서 채집(採集)된 250여점의 반균강을 동정(同定)한 결과 2목(目) 9과(科) 18속(屬) 23종(種)을 분류(分類)하였는데 그중에서 Helvella pezizoides Afz. ex Fr., Peziza celtica (Boud.) Moser, Humaria hemisphaerica (Wiggers ex Fr.) Funckel, Trichophaea gregaria (Rehm) Boud., Trichoglossum walteri (Berk.) Durand, Spathularia flavida Pers. ex Fr., Arachnopeziza aurelia (Pers. ex Fr.) Fuckel, Rutstroemia americana (Duran) White, Rutstroemia macrospora (Peck) Kanouse apud Wehmeyer forma gigaspora Korf, Ascocoryne cylichnium (Tul.) Korf et Carpenter, Chlorosplenium chlora (Schw. ex Fr.) Curtis, Chlorociboria aeruginascens (Nyl.) Kanouse ex Ramamurthi, Korf et Batra subsp. aeruginascens, Hymenoscyphus scutula (Pers. ex Fr.) Phillips, Cyathicula cyathoidea (Bull. ex Fr.) de Thumen는 한국미기록종(韓國未記錄種)이며, 그 보통명(普通名)과 기재(記載)를 보고(報告)한다.

  • PDF

게임 서사에 대한 구조주의 신화론적 고찰 (A study on game narratives in a structuralism mythologic perspective)

  • 김대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14
    • /
    • 2009
  • 이 논문의 목적은 게임 서사를 구조주의 신화론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다른 게임의 서사성을 설명해 줄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신화가 게임 서사에게 소재 이상의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가를 살피는 데 있다. 서사적 측면에서 게임과 신화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들은 계속 있어 왔다. 그러나 그 연구들은 대부분 '영웅 서사'로서의 신화가 게임 서사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들이다. 이 글은 레비-스트로스(Levi-Strauss)와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이라는 두 구조주의 신화학자의 이론이 게임 서사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연구 결과로서, 구조주의 신화론에서 끌어온 '재구성'과 '동시성'은 글말서사와는 다른 게임의 서사성을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서 자리 매김할 수 있으며, 입말문학으로서의 신화는 게임 서사에게 잊혔던 구술성을 복원시킨다.

  • PDF

MINIMAL POLYNOMIAL DYNAMICS ON THE p-ADIC INTEGERS

  • Sangtae Jeong
    • 대한수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32
    • /
    • 2023
  •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of characterizing minimal polynomials on the ring 𝐙p of p-adic integers in terms of their coefficients for an arbitrary prime p. We first revisit and provide alternative proofs of the known minimality criteria given by Larin [11] for p = 2 and Durand and Paccaut [6] for p = 3, and then we show that for any prime p ≥ 5, the proposed method enables us to classify all possible minimal polynomials on 𝐙p in terms of their coefficients, provided that two prescribed prerequisites for minimality are satisfied.

애니메이션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에서 나타난 초월적 환상 요소 분석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 구조 중심으로- (Analysis of Transcendental Fantasy Elements Appeared in Animation -Based on Gilbert Durand's the Imaginary Structure-)

  • 임운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34-141
    • /
    • 2011
  •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초월적 환상' 요소에 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상상을 통해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에서는 현실과 다른 공간이 등장하는데 이 공간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환상 요소는 왜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가를 질베르 뒤랑은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 Les Stru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에서 제시한 상상계의 세 구조인 분열구조, 신비구조, 종합 구조와 상상력의 공간 이미지 특성을 시각성, 깊이, 편재성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이에 애니메이션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에서는 어떠한 요소를 가지고 나타나는 가를 분석할 것이다. 초월적 환상 요소는 어떠한 이미지를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묘사하면서 추상적인 개념을 부여한다. 그것은 등장인물의 감성을 통해 바라보여질 때 환상 요소가 작동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에서 환상 요소들이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접근하고자 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