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plex sonography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이중초음파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목 부위의 혈관질환: 3례 (Cervical Vascular Diseases Rarely Observed by Duplex Sonography: 3 Cases)

  • 한민호;서강식;최정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31-136
    • /
    • 2021
  • 이중초음파는 반복적으로 검사를 실시할 수 있고,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다양한 진료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중, 목동맥이중초음파는 뇌혈관질환을 진단하고 예후를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한 비침습적 검사이다. 임상에서 목동맥이중초음파의 소요시간을 줄이고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정보를 미리 숙지하는 것만으로도 신속히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새롭게 발견되는 목 혈관질환으로 인해 검사하는데 종종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따라서 목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증례들을 숙지하는 것은 신속히 정확한 검사결과를 산출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목동맥이중초음파를 시행하던 중 예기치 않게 발견된 목 혈관질환 증례 3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증례1. 속목동맥 폐색과 바깥목동맥으로부터 분지된 대뇌혈관; 증례 2. 속목정맥에서 관찰된 혈전; 증례 3. 척추동맥에서 관찰된 미세색전.

이중초음파에서 관찰된 목동맥 질환: 3례 (Carotid Artery Disease in Duplex Sonography: 3 Cases)

  • 한민호;최정혜;서강식;남효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14-118
    • /
    • 2019
  • 이중초음파는 비침습적으로 목동맥 질환을 진단하고 추적검사를 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목동맥 질환 중 유동성 혈전과 목동맥박리는 심혈관질환 환자에서 매우 드물게 관찰되는 증례이다. 특히, 목동맥박리는 혈관의 가장 안쪽 내막에 열상이 발생하여 일어나는데, 목동맥 안에 참속공간과 거짓속공간이라고 불리는 2개의 속공간이 관찰된다. 본 연구는 유동성 혈전, 자발성 목동맥박리 및 타카야수동맥염에서 관찰된 목동맥박리를 포함하여 임상에서 드물게 관찰되는 3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중초음파에서 관찰된 경동맥갈퀴막: 4례 (Carotid Web in Duplex Sonography: 4 Cases)

  • 한민호;서강식;최정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8-82
    • /
    • 2020
  • 경동맥갈퀴막은 전체 뇌졸중 환자에서 매우 드물게 발견되는 희귀한 질환이며, 원인불명뇌졸중(cryptogenic stroke) 환자에서 다른 뇌졸중 아형에 비해 빈번하게 관찰되는 특징이 있다. 혈관 내막의 섬유근이형성증(fibromuscular dysplasia)이 경동맥갈퀴막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경동맥갈퀴막은 혈관 내 혈류의 교란을 야기하여 혈전을 만들고 색전성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경동맥갈퀴막은 섬유근이형성증으로 인해 비교적 딱딱한 섬유성 구조물이 혈관의 내강으로 뻗어 나오게 되고, 이중초음파에서 이중 속공간(double lumen)을 만들기 때문에 경동맥박리와 혼동하기 쉽다. 또한, 경동맥갈퀴막은 갈퀴막(web) 모양이기 때문에 궤양성죽상판과 같은 다른 경동맥질환과 혼동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경동맥갈퀴막은 시작 부위가 굵었다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경향이 있고, 박동성 혈류에 의한 펄럭임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총 4개의 경동맥갈퀴막 증례를 가지고,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함께 이중초음파의 특징적인 소견에 집중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이중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미숙아의 전 뇌동맥 혈류 측정 (The Measurement of Blood Flow of Anterior Cerebral Artery in Premature Newborns Using Duplex Doppler Ultrasonography)

  • 황미수;배경국;이재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77-84
    • /
    • 1997
  • 55명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이중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대천문을 통한 전 뇌동맥의 혈류속도 및 혈류형태를 조사하였다. 미숙아에서 뇌 혈류속도 및 pulsatility index는 재태기간, 출생 체중, 및 미숙아의 나이 등의 증가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resistive index는 감소하였다. 뇌실 출혈이 있는 환아 군에서는 특징적인 resistive index의 증가가 보였지만 혈류속도 및 plusatility index는 불규칙하였다. 정상 미숙아의 뇌혈류 관찰 및 환아 군에서의 뇌혈류 검사에서 이중 도플러 초음파 검사는 비침습적이고 재현성도 뛰어나 선별검사로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PDF

우측 빗장밑이중혈류빼앗김증후군에서 이중초음파검사의 유용성 (The Role of Duplex Sonography in Right Subclavian Double Steal Syndrome)

  • 한민호;진복희;남효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16-321
    • /
    • 2017
  • 빗장밑혈류빼앗김증후군은 좌측 몸쪽부분 빗장밑동맥 혹은 팔머리동맥에 심한 혈관 협착이나 폐색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병변이 있는 부위에서는 제한적이며, 불충분한 혈류가 발생하여 반대쪽으로부터 연결혈관을 통해 일부 혈액이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빗장밑혈류빼앗김현상이라고 한다. 이중초음파검사는 빗장밑혈류빼앗김현상을 측정하는데 유용한다. 빗장밑혈류빼앗김현상을 보이는 일부 환자에서는 척추뇌바닥혈류부전 혹은 허혈성 말초동맥질환 증상을 호소한다. 빗장밑혈류빼앗김증후군은 빗장밑혈류빼앗김현상과 더불어 신경학적 증상이 반드시 동반될 경우로 정의할 수 있다. 저자는 팔머리동맥의 심한 협착을 보이는 환자에서 척추동맥과 더불어 바깥목동맥과 전방순환계를 담당하는 온목동맥 및 속목동맥에서 이중초음파검사를 이용한 혈류빼앗김현상이 관찰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중초음파검사상 빗장밑혈류빼앗김증후군이 관찰된 환자에서의 스텐트 삽입 후 추적 (Duplex Sonography in Subclavian Steal Syndrome Treated by Stent Insertion)

  • 한민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70-374
    • /
    • 2018
  • 빗장밑혈류빼앗김증후군은 왼쪽 근위부 빗장밑동맥이나 오른쪽 팔머리동맥에 심한 협착 혹은 폐색으로 인해 반대쪽 척추동맥으로부터 관류압이 감소된 병변쪽 빗장밑동맥으로 혈류가 역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그 결과로 척추-뇌바닥혈류부전이나 허혈성 말초동맥질환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를 말한다. 빗장밑동맥을 포함한 뇌혈관 협착증에서 신경중재술을 이용한 혈류의 회복 및 방향 교정은 환자의 증상과 예후를 좋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는 오른팔에 비해 왼팔 혈압이 12 mmHg 낮은 환자에서 이중초음파검사를 시행하였고, 왼쪽 척추동맥에서 빗장밑혈류빼앗김증후군의 특징적인 혈류파형이 관찰되어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설치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6개월 후 추적검사에서 왼쪽 척추동맥의 혈류파형은 정상으로 회복되었고, 양팔의 혈압 차는 5 mmHg로 감소하였다.

관동맥 우회술 환자에서의 경동맥 협착을 진단하기 위한 Duplex sono 선별검사의 의의 (The role of carotid screening by duplex sonography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정철현;채헌;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1호
    • /
    • pp.833-837
    • /
    • 1993
  • In an effort to reduce the stroke rate of patient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many authors have studied the prevalence of the extracranial carotid disease and its role in determining neurologic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From April 1992 to August 1993, Seventy-five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were preoperatively evaluated for presence of carotid and femoral stenosis by Duplex sono. Among them, fourteen patients was positive by Duplex sono and overall prevalence of carotid or femoral stenosis was 18.7%. And significant carotid stenosis [ > 60% ] had proved to be in 3 patients [ 4.0% ].Prophylatic bilateral carotid endarterectomy was performed in one patient, at 5 months prior to and , 1 week prior to coronary artery bypass respectively. Their mean age was 57.6 years [ ranged from 40 to 70 years] and were composed of 10 males and 4 females. There was no postoperative morbidiry and mortality related to neurologic complications. Our data, although small, suggest that preoperative carotid screening is helpful to determine patients at high risk of stroke, and significant simultaneous carotid and coronary atherosclerosis should be corrected in selected patients by staged operations when feasible.

  • PDF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TCD)의 시행 방법 및 정상치 (The Technique and Normal Values of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TCD))

  • 손영호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권1호
    • /
    • pp.39-46
    • /
    • 1999
  •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TCD) is a new, non-invasive and easily applicable method to evaluate cerebral hemodynamics. Last 10 years, its use in Korea has been dramatically expanded, but the qualification of TCD laboratory has yet to be settled. Since duplex sonography is seldom used in Korea, we have to depend totally on TCD to evaluate cerebral hemodynamic changes. Thus, all of the available data from every detectabler cerebral arteries has to be obtained for accurate interpretation of TCD measurements. Moreover, flow direction and wave form should be concerned in addition to the flow velocity. In this article, I present technique to measure the anterior, meddle and posterior cerebral arteries, the internal carotid artery siphon and at cervical level, and the vertebral and the basilar artery, and normal values for these measurements which is essential for the adequate interpretation.

  • PDF

Streptococcus pyogenes 근염에 심부 정맥 혈전증이 동반한 1례 (A Case of Deep Vein Thrombosis Associated with Myositis due to Streptococcus pyogenes)

  • 이재숙;장태영;안영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1호
    • /
    • pp.87-91
    • /
    • 2009
  • 세균성 근염은 화농성 관절염, 봉와직염, 골수염, 혈전 정맥염, 다발성 근염, 혈종, 좌상, 종양과 감별이 필요하며 진단에 MRI가 도움이 된다. 저자들은 A군 사슬알균에 의한 화농성 근염을 조기에 진단하여 clindamycin으로 치료하였고 심부정맥 혈전증까지 합병되었던 환자를 경험하였다. 성인에서는 증례로 보고된 바가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가 없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고관절 주위 골절환자에서 술 전 색 도플러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심부 정맥 혈전의 빈도 (Incidence of Deep Vein Thrombosis before Hip Fracture Surgery Diagnosed by Color Doppler Sonography Surveillance)

  • 정재훈;이경재;민병우;손은석;구태원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8-104
    • /
    • 2014
  • 목적: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에서 술 전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심부 정맥 혈전증을 진단하고 그 발생 빈도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 중 이전에 심부 정맥 혈전의 과거력이 없으며 술 전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에 동의한 환자 27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8예, 여자가 19예이었다. 평균 연령은 74.3세(41-87)였다. 고관절 주위 골절의 진단명은 대퇴 경부 골절 15예, 대퇴 전자간 골절 11예, 비구 골절이 1예였다. 모든 수술은 본원 내원 후 48시간 이내에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내원 24시간 이내에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심부 정맥 혈전은 총 6예(22.2%)에서 발견되었다. 이중 2예(7.4%)는 근위 심부 정맥 혈전이었고 4예(14.8%)는 원위 심부 정맥 혈전이었다. 심부 정맥 혈전 발생 군이 평균 79세(75-87), 발생하지 않은 환자 군이 평균 72세(65-86)로 유의하게 많았다(p=0.038). 결론: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에게 수술 이전 실시한 색 도플러 초음파 검사상 22.2%로 비교적 높은 빈도로 심부 정맥 혈전이 발견되었다.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에서 술 전 심부 정맥 혈전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