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ctus arteriosus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3초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Germinal Matrix-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term Neonates

  • Kim, Kwang-Ryeol;Jung, Sang-Won;Kim, Do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4호
    • /
    • pp.334-337
    • /
    • 201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germinal matrix-intraventricular hemorrhage (GM-IVH) and the relationship of the severity of disease and prematurity. Methods : A total of 168 premature neonates whose birth weight ${\leq}1500g$ or gestational age ${\leq}34$ weeks were examined by cranial ultrasound (CUS) for detection of GM-IVH among the babies admitted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2 in our medical center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 bab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GM-IVH and non-IVH. Clinical presentations, precipitating factors of the patients and maternal factors were analyzed. Results : In univariate analysis,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delivery method, presence of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OM) and level of sodium and glucos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factors (p<0.05). But only two factors, gestational age and presenc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p<0.05). Delivery method [normal vaginal delivery (NVD) to Caeserean section] was borderline significant (p<0.10). Conclusion : Presence of PDA and gestational age were the importa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GM-IVH.

중증 심부전 또는 심인성 악액질을 동반한 미숙아및 영아기 동맥관개존증에 대한 수술요법 (Surgical Treatment of Patent Ductus Arteriosus in Preterm and Infants with Severe Heart Failure and Cardiac Cachexia)

  • 이석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2호
    • /
    • pp.915-919
    • /
    • 1993
  • The management of Patent Ductus Arteriosus[PDA] with heart failure and cardiac cachexia in premature infants have been a disturbing and controversial problem in the field of pediatric cardiovascular surgery.We analysed our experiences to determine the rationale of surgical closure of PDA in infants . During a period of 7 years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1992, 12 infants under 2 months of age underwent operations for "hemodynamically significant" PDA which had caused severe heart failure.There were 6 male and 6 female patients. Their mean gestational age was 33.8 weeks and their mean body weight was 1990 g. ranged from 710 g. to 2900 g. Mean age at operation was 28.5days. Seven patients had history of Indomethacin trial. All patients were operated with double ligation technique under general anesthesia.There was no mortality and blood transfusion was not necessary in any patient during the operation.In all cases, we could confirm the complete closure of PDA after operation by follow-up echocardiography.Two patients died during their hospital stay and 1 patient died at 6 months after operation. The causes of death were sepsi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necrotizing entero colitis and pneumonia respectively.We can not detect any operation related complication which resulted in permanent sequelae as well as delayed complications related to nerve dam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rgical ligation of PDA in infants with severe heart failure is relatively safe and effective.effective.

  • PDF

개에서 Coil색전술을 이용한 동맥관개존중의 폐쇄 증례 (Transcatheter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a Coil Embolization in a Dog)

  • 강민희;김정현;문소정;김승곤;여정진;이창민;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6-239
    • /
    • 2011
  • 10년령의 암컷 말티즈견이 지속성 심잡음을 주증으로 내원 하였다. 환축은 2차원 색채 도플러 심초음파 및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동맥관개존증 (PDA)으로 진단되었다. 심혈관조영술을 통해 동맥관의 형태 및 크기에 대해 정확히 평가한 뒤, 동맥관 폐쇄를 위해 경도관 coil 색전술이 실시 되었다. 환자는 단일 coil을 이용하여 동맥관의 완전폐쇄가 이루어 졌으며, 폐쇄직후 지속성 심잡음이 사라지고 잔류혈류가 관찰되지 않았다. 시술 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임상증상, 심장검사 그리고 혈청 troponin-T 농도의 정기적인 평가를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관찰 하였는데,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의 경우 coil색전술을 이용한 성공적인 동맥관개존증 폐쇄술에 대한 국내 첫 증례보고이다.

동맥관 개존증에 걸린 요크셔테러어종 자견에서 경동맥 경로와 JR Coronary Catheter/Free Push Deployment System을 이용한 색전코일을 이용한 치료증례 (Transcarotid Coil Embolization in a Yorkshire Terrier Puppy with Patent Ductus Arteriosus Using a JR Coronary Catheter and Free Push Deployment System)

  • 최범술;최란;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0-243
    • /
    • 2011
  • 카테터를 이용한 비외과적인 코일 전색술이 동맥관 개존중 치료를 위해 개발되어 있다. 비록 개에서는 대퇴동맥을 이용한 코일 전색술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시술법이지만, 체중이 2 kg이하인 어린 강아지에서는 카테터 장착을 위한 혈관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증례연구에서는 체중이 적게 나가는 어린 강아지에서 적용이 가능한 경동맥 접근법과 이에 적합한 카테터 장착과 코일 장착방법을 새롭게 시도하여 치료를 하였다. 이 기법을 이용하여 1.25 kg의 요크셔테리어 강아지의 동맥관 개존증을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에서 최근의 기구들의 전략적 이용과 결과 (A new strategy for transcatheter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recent-generation devices)

  • 김상이;이수현;김남균;최재영;설준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88-493
    • /
    • 2009
  • 목 적 :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은 동맥관 개존증의 표준 치료로 시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동맥관의 최소 직경(MD)과 체혈류와 폐혈류의 비(Qp/Qs ratio)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한 각각의 기구들로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 시행한 후 추적 관찰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기구 선택 기준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2003년 2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본원에서 동맥관 개존증을 진단받고 동맥관의 크기 및 Qp/Qs 비에 따라 CDC, PNO, ADO를 선택하여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을 시행받은 1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2000년 2월부터 2003년 1월까지 본원에서 DO, PNO로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을 시행받은 89명의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시술 전 환자의 임상적, 혈역학적 지표들을 확인하였고 시술 후 1일, 1개월, 6개월, 12개월, 그리고 12개월 이후 잔류 단락 유무 및 합병증을 평가,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군 138명 모두에서 시술에 성공하였고 기구 색전도 없었으며 시술 후 12개월 이후 잔류 단락이 남아있지 않았다. 주요 합병증의 빈도는 대상군 138명 중 0명(0%), 대조군 89명 중 7명(7.9%)이었고(P<0.05) 전체 합병증의 빈도도 대상군 138명 중 2명(1.4%), 대조군 89명 중 8명(9.0%)으로(P=0.001) 대상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 있게 합병증의 빈도가 낮았다. 결 론 : 과거에 경피적 폐쇄가 어려웠던 큰 크기의 동맥관 개존에 ADO를 사용하게 되고 이전 기구들의 단점들이 개선된 최근 기구들을 각각의 특성에 적합하게 전략적으로 선택하여 시술함으로써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의 결과가 향상되었고 더욱 안전하고 완전한 효과를 나타내게 되었다.

1,250 g 미만 미숙아에서 예방적 Ibuprofen의 효과 (Effect of Prophylactic Ibuprofen in Preterm Infants Less than 1,250 g in Birth Weight)

  • 여문수;최경빈;이현주;박현경;김창렬;설인준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34-239
    • /
    • 2011
  • 목적: 최근 indomethacin의 대체약으로 ibuprofen이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1,250g 미만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ibuprofen의 예방적 치료 효과 및 임상 경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1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1,250 g 미만의 동맥관 개존증 환아 3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Ibuprofen의 예방적 투여군(출생 후 24시간 이내에 ibuprofen 투여) 13명에 대해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을 과거 대응(historical match)하여 대조군 26명으로 분류하였고, 두 군의 동맥관 개존증 빈도, 임상 경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Ibuprofen을 투여한 예방적 투여군과 대조군 간의 동맥관 폐쇄율(69.2% vs 77.7%, P=0.825)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ibuprofen 치료에 실패하여 동맥관 결찰술을 시행 받은 경우도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3.1% vs 30.8%, P=0.719). 약물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위장관 천공이 발생한 경우는 예방적 투여군에서 더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대상수의 부족 등으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30.8% vs 11.5%, P=0.194). 뇌실 내 출혈(grade${\geq}$3) 및 다른 미숙아 합병증의 발생률도 두 군간 차이는 없었다. 결론: 미숙아에서 ibuprofen의 예방적인 투여가 동맥관 폐쇄율, 동맥관 결찰술 그리고 고도의 뇌실 내 출혈의 빈도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향후 예방적 ibuprofen 사용과 관련하여 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적 치료로서 Indomethacin과 Ibuprofen의 효과 (Effects of Ibuprofen and Indomethacin for Prophylaxis of Patent Ductus Arteriosus in Premature Infants)

  • 전복선;권경아;박경희;변신연;김묘징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228-233
    • /
    • 2011
  • 목적: Indomethacin은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적 용법 및 치료적 용법에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indomethacin의 국내 보급이 중단됨에 ibuprofen이 사용되고 있다. Ibuprofen은 동맥관 폐쇄에 indomethacin만큼 효과적이며 부작용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ibuprofen의 예방적 용법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에서 동맥관 개존증의 예방적 치료에 대한 ibuprofen의 효과와 안정성을 indomethacin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 그리고 2010년 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두 기간동안 3개의 참여 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34주 미만, 1,500 g 미만의 신생아 중에서 생후 24시간 이내에 indomethacin이나 ibuprofen이 예방적 목적으로 투여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두 군간의 동맥관 폐쇄에 대한 효과와 주산기 합병증의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두 군간에 환아의 성별, 재태 연령, 출생체중, 분만 방법, 1분 및 5분 Apgar 점수, 산모의 steroid 사용 여부, 폐 표면활성제 사용 여부 및 인공호흡기 사용여부 및 사용기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후 7일에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indomethacin군은 17명 중 13명, ibuprofen군은 20명 중 19명이 동맥관의 폐쇄를 보였다. 총 입원 기간 외에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Ibuprofen의 예방적 사용은 동맥관 폐쇄에 효과적이며 주산기 합병증 측면에서 유의한 부정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indomethacin을 대체하여 ibuprofen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개에서 $Amplatz^{(R)}$ Canine Duct Occluder를 이용한 동맥관개존증의 폐쇄 증례 (Patent Ductus Arteriosus Occlusion with an $Amplatz^{(R)}$ Canine Duct Occluder in a Dog)

  • 강민희;김승곤;한태연;박현아;민사희;박지환;김태우;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98-501
    • /
    • 2012
  • 10개월의 수컷 말티즈견 (1.6 kg)이 간헐적인 기침과 지속성 심잡음을 주증으로 내원 하였다. 환축은 경흉부심초음파 검사와 혈관 조영검사를 통하여 좌우단락의 동맥관개존증 (PDA)으로 진단되었다. 혈관조영 검사를 통하여 동맥관의 형태 및 크기에 대해 평가한 뒤, 대퇴동맥으로 $Amplatz^{(R)}$ Canine Duct Occluder (ACDO) 장치를 삽입하는 투시 유도하 동맥관 폐쇄술이 시도되었다. 동맥관의 폐쇄직후 지속성 심잡음이 사라졌으며, 시술 후 실시된 혈관조영검사를 통하여 잔류혈류가 관찰되지 않았다. 투시 유도하에서 ACDO 장착 및 성공적인 동맥관의 완전폐쇄가 확인되었다. 환자는 시술 1일 뒤 퇴원하였으며, 임상증상 관찰 및 심장검사가 정기적으로 이루어 졌다. 시술 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의 경우 대퇴동맥내로 ACDO를 적용한 성공적인 동맥관개존증 폐쇄술에 대한 국내 첫 증례보고이다.

개에서 Amplatzer$^{(R)}$ vascular plug를 이용한 동맥관개존증의 폐쇄 2 증례 (Transcatheter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a Amplatzer$^{(R)}$ Vascular Plug in Two Dogs)

  • 강민희;김정현;문소정;김승곤;여정진;이창민;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91-594
    • /
    • 2011
  • 9개월령의 암컷 말티즈견과 1년령의 암컷 비글견이 지속성 심잡음을 주증으로 내원 하였다. 두 환축은 2차원 심초음파 및 심혈관조영술을 통해 동맥관개존증 (PDA)으로 진단되었다. 평가된 환축들의 동맥관 사이즈는 비교적 큰 편이었으며, 혈관 폐색장치 중 Amplatzer$^{(R)}$ vascular plug를 통한 동맥관의 폐쇄술이 시도 되었다. 말티즈 견의 경우, Amplatzer$^{(R)}$ vascular plug를 이용하여 동맥관의 완전폐쇄가 이루어 졌으며, 폐쇄직후 지속성 심잡음이 사라졌다. 비글견의 경우, Amplatzer$^{(R)}$ vascular plug 삽입 후 심잡음이 줄어들긴 했지만, 심혈관 조영검사에서 잔류혈류가 관찰되었다. 시술의 안전성 및 시술 후 합병증은 두 환자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되었다. 본 2 증례는, Amplatzer$^{(R)}$ vascular plug를 이용한 성공적인 동맥관개존증 폐쇄술에 대한 국내 첫 증례보고이다.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에서 동맥관 개존 동반유무에 따른 임상적 경과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Course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in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성주희;이현주;홍현기;배종우;최용묵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080-1084
    • /
    • 2003
  • 목 적 : 저자들은 RDS 환아의 임상 경과 중에서 PDA가 동반되는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을 비교하여, 이들의 주산기 병력의 특성, 임상 양상과 경과를 비교 관찰하여 두 군 사이에 차이점이 있는지를 검토함으로서, 향후 RDS 환아의 관리에서 PDA 동반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의 정보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경희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신생아 RDS로 진단되어 치료한 총 8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83례 중에서 PDA를 동반한 군(A군)은 17례, PDA를 동반하지 않은 군(B군)은 66례였다. PDA는 울혈성 심부전의 임상증상을 보이거나, 청진상 심잡음이 들리며, 방사선 소견상에서 폐부종이 심해지거나 CT ratio가 증가되는 경우에 심초음파를 하여 진단하였다. 후향적 방법으로 증례들의 임상 기록지를 검토하여, 두 군 사이의 임상적 양상과 경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결 과: A군에서 B군에 비해 재태기간이 짧고 출생 체중이 낮아 미숙의 정도가 심할수록 PDA의 발생 빈도가 높았다. 주산기 가사의 빈도는 A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만성 폐질환, 뇌실 내출혈, 괴사성 장염, 미숙아 망막증, 구루병, 패혈증, 담즙성 황달의 빈도가 B군에 비하여 A군에서 높았다. 결 론 : 두 군의 주산기 병력의 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고 만성 폐질환 등의 합병증의 발생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후자의 경우 재태기간을 포함한 여러 인자를 고려하여야 하므로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