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ual Energy X-ray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33초

어유의 n-3 지방산이 흰쥐의 골밀도와 골격대사지표에 미치는 영향 (Beneficial effect of fish oil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iomarkers of bone metabolism in rats)

  • 윤군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2호
    • /
    • pp.121-126
    • /
    • 2012
  • 본 연구는 n-3 장쇄지방산이 풍부한 어유가 골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이유한 Sprague-Dawley 종 흰쥐 (수컷)에게 4주 동안 FO군, FICO군, SO군의 실험식이를 공급한 후, 혈액과 뇨에서 생화학적 골격대사지표와 대퇴골의 무기질함량 및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부갑상선호르몬, 칼시토닌, 오스테오 칼신은 세 그룹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뼈흡수지표인 deoxypyridinoline도 그룹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골격형성지표인 ALP의 활성은 FO군에서 SO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대퇴골의 골밀도 또한 SO군에 비해 FO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FICO군과 SO군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DHA, EPA 급원의 어유 함량이 높은 식이는 ALP활성을 높이고 골밀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성장기 흰쥐의 골격형성에 보호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식이 n-3 장쇄지방산이 골격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규정하기 위해서는 적정식이수준이나 적정 n6/n3 비율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요구되며, n-3계 내의 각 지방산이 골격에 주는 작용양상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여성의 개인적 특성과 생활양식요인을 이용한 골량감소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for Reduced Bone mass in Women us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 Life Style Factors)

  • 이은남;이은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3-109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Important modifiable risk factors for reduced bone mass and to construct prediction model which can classify women with either low or high bone mas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body weight, height, education level, family history, age of menarche, postmenopausal period, gravity, parity, menopausal status, and breast feeding period were identified and factors of life style such as past milk consumption, past physical activity, present daily activity, present calcium intake, alcohol intake, cigarette smoking, coffee consumption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factors of reduced bone mass in women. Four hundred and eighty women aged between 28 and 76 who had given measurement bone mineral density by dual energy x-ray absortiometry in lumbar vertebrae and femur from July to October, 1997 at 4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Pusa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omen were excluded if they had a history of any chronic illnes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diabetes mellitus, hyperthroidism, & gastrointestinal disorder and any medication such as calcium supplements, calcitonin, estrogen, thyroxine, antacids, & corticosteroids known affect bone. As a result of these exclusion criteria, four hundred and seventeen women were used for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developed for estimating the likelihood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duced bone mass. A SAS procedure was used to estimate risk factor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lumbar spine, the variables significant were age, body weight, menopause status, daily activity, past milk consumption, and past physical activity(p<0.01), while for femoral Ward's triangle, age, body weight, level of education, past milk consumption, past physical activity(p<0.001). Past physical activity, present daily activity and past milk consumption are the most powerful modifiable predictors in vertebrae and femur among the predictors. When the model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observed outcome with predicted outcome, the model correctly identified 74.1% of persons with reduced bone mass and 84.5% of persons with normal bone mass in the lumbar vertebrae and 82.9% of persons with reduced bone mass and 75.0% of persons with normal bone mass in the femoral Ward's triangl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 number of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reduced bone mass may be made : First, those woman who are classified as high risk group of the reduced bone mass in the prediction model should examine the bone mineral density to further examine the usefulness of this model. Second, the optimal amount of milk consumption and a regular weight bearing exercise in childhood, adolescence, and early adult should be ensured.

  • PDF

빈회재발형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에 미치는 $1-{\alpha}(OH)D3$의 효과 (Effect of $1-{\alpha}(OH)D_3$ on Steroid Induced Bone Loss in Frequently Relapsing Childhood Nephrotic Syndrome)

  • 조병수;김덕윤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1호
    • /
    • pp.13-16
    • /
    • 1997
  •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은 특히 성장하는 소아 신증후군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경우에 활성형 비타민 D원알파, 일성신약)를 1년간 투여하고 그 효과를 보기 위하여 여러가지 골대사 지표를 치료 전후에 검사하여 보았다. 대상 환자는 40명의 빈회재발형 신증후군 환아이며, 본 연구를 시작하기전까지 환자의 스테로이드 치료기간은 $50{\pm}29$ 개월 이었다. 성인에서 골형성지표로서 잘알려진 혈청 osteocalcin(ng/ml)은 치료전 $7.75{\pm}3.34$, 치료후 $9.38{\pm}5.06$으로 증가 되었고, 골 흡수 지표로 장 알려진 소변 pyridinoline(nmol/mmol Cr)은 치료전 $417.26{\pm}250.98$, 치료후 $462.59{\pm}265.15$로 증가되어 소아 에서 골대사 지표로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골밀도는 $0.71{\pm}0.016$에서 $0.73{\pm}0.015$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5).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때 활성형 비타민의 투여로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되며, 골 형성 및 골 흡수의 지표로서 성인에서 많이 쓰이는 검사법은 소아의 경우는 예민하지 않았으며, 골밀도 검사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콩단백질이 성장기 수컷흰쥐에서 골함량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 Protein on Bone Mineral Content and Bone Mineral Density in Growing Male Rats)

  • 최미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4호
    • /
    • pp.409-413
    • /
    • 2002
  • 성장기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콩단백질과 콩의 isoflavones의 함량이 골밀도 및 골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식이 효율은 대조군인 casein군에 비하여 콩단백질군이 낮았다. 2) 단백질의 종류나 isoflavones의 유무에 따른 혈 중이나 뇨 중 Ca과 P의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체중 당 총골밀도는 두 군의 콩단백질군이 대조군 보다 높았고, 콩단백질 내에서는 isoflavones를 함유한 군이 더 높았다. 4) 체중 당 spine의 골밀도나 골함량은 두 군의 콩단백질군이 대조군 보다 높았고, 콩단백질 내에서는 골밀도는 isoflavones를 함유한 군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 5) 체중 당 femur의 골밀도는 콩단백질군이 대조군 보다 높았고, 콩단백질 내에서는 isoflavones를 함유한 군이 더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콩단백질은 체중당 총골함량이나 칼슘함량에 있어서 동물성 단백질인 casein 보다 유익하였고 특히 isoflavones를 함유한 콩단백질은 체중당 총골밀도와 spine 골밀도에서 isoflavones 함량이 낮은 콩단백질에 비하여 더 유익하여 콩단백질과 isoflavones은 성장기 수컷 흰쥐에서 골밀도 향상에 유익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성장기에 콩의 섭취는 casein 단백질에 비하여 골밀도나 골함량을 높이는데 유익하며 특히 isoflavones를 함유한 콩의 섭취는 골밀도를 높이는데 더욱 유익하다고 사료된다.

저칼슘식이와 방사선조사가 백서하악과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FFECTS OF THE LOW CALCIUM DIET AND IRRADIATION ON THE MANDIBULAR CONDYLE OF RATS)

  • 안희문;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23권1호
    • /
    • pp.27-44
    • /
    • 199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andibular condyle by low calcium diet and the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bone in osteoporotic state. In order to carry out this experiment, 80 seven-week old Sprague-Dawley strain rats weighing about 150 gm were selected and equally divided into one experimental group of 40 rats and one control group with the remainde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then subdivided into two group and exposed to irradiation. The two irradiation groups received a single dose of 20 Gy on the jaw area only and irradiated with a cobalt-60 teletherapy unit. The rats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serially terminated by fours on the 3rd, the 7th, the 14th, and the 21st day after irradiation. After termination, both sides of the dead rats mandibular condyle were removed and fixed with 10% neutral formali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mandibular condyle was measured by use of dual energy X-ray bone densitometer(model DDX-alpha, Lunn Corp., U. S. A.). The mandibular condyle was radiographed with Hitex HA-80(Hitex Co., Japan). Thereafter, the obtained radiographs were observed, and the mandibular condyle was further decalcified and embedded in paraffin as the general method. The specimen sectioned and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PAS and Rabbit Anti-Human Tumor Necrosis Factor-a observed by a light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non-irradiated group with the low calcium diet,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condyle was markedly decreased after 14 days, and decrease the number of trabeculae of the condyle and resorption of the calcified cartilaginous zone were observed after 3 days. On microscopic observations, the number nd size of trabeculae were decreased after 7 days of experiment. 2. In the irradiated group with the low calcium diet,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condyle was markedly decreased after 14 days and resorption of the calcified cartilaginous zone and decrease the number and coarse of the trabeculae of the condyle were observed. These findings were extended rather than in non-irradiated group with low calcium diet. On microscopic observations, many osteoclasts were detected and the number and size of trabeculae were somewhat decreased after 7 days. Also there was degenerative changes of tissues of bone marrow on the 14th day but that condition was restored on the 21st day of experiment. 3. In the irradiated group with normal diet,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condyle was somewhat decreased with times and degree of decrease of the number of trabeculae was somewhat larger than in the non-irradiated group with normal diet. On microscopic observations, the tissues of bone marrow were atrophic and degenerative changes but that condition was restored on the 21st day of experiment. 4. In immunocytochemical findings, in the irradiated and non-irradiated groups with low calcium diet, negative or partial positive response to TNF was observed, but positive response in the normal diet groups.

  • PDF

대퇴 근위부의 골소주 패턴에 대한 복합적인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 예측 연구 (Prediction of Osteoporosis using Compositive Analysis of Trabecular Patterns on Proximal Femur)

  • 이주환;박성윤;정재훈;김성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9B권2호
    • /
    • pp.99-1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측정 부위에서 도출된 골밀도와 골소주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측정부위에 따른 평가변수의 골다공증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40대 이상의 폐경기 이후 여성 40명을 선정하였고, T-Score 분류법에 따라 각각 20명의 정상군 및 골다공증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대상의 골밀도는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통해 대퇴경부(Femoral Neck), 전자부(Trochanter) 및 워드 삼각부(Ward's Triangle)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각 측정부위에 $50{\times}50$ 픽셀 크기의 관심영역을 지정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각 영역의 골소주 패턴을 추출하였다. 골다공증을 예측하기 위한 평가변수는 구조적 변수(평균 회색조, 골면적, 골둘레, 골두께, 말단거리), 골격화 변수(골개수, 골길이) 및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으로 구분되는 총 8가지를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골면적, 골둘레, 골두께, 말단거리, 골개수, 골길이 및 프랙탈 차원이 골밀도를 유의하게 반영하였고(p<0.003), 평가변수의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의 높은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골다공증의 진단과 치료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 문준성;원규장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19-30
    • /
    • 2008
  • 골다공증은 골밀도와 골의 질로 구성되는 골의 강도가 손상됨으로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는 골격질환이며, 최근 유병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임상적으로 무증상인 경우가 많으며 방사선학적 검사인 단순 방사선 검사, 골 스캔, CT, MRI 등이 골밀도 및 골절의 진단에 유용하다. 골밀도의 정량적 검사로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 정량적 전산화 단층촬영이 사용되고 있다. 골다공증의 진단은 WHO 기준에 따라 T-score가 -2.5 이하일 경우 진단할 수 있다. 그 외에 생화학적 골표지자들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골다공증 치료제는 골흡수억제제와 골형성자극제(formation stimulator)로 나눌 수 있는데 골흡수억제제로는 칼슘, 에스트로겐, 칼시토닌,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비타민 D 등이 있으며 골량을 증가시키는 골형성자극제로는 현재 부갑상선 호르몬이 유일하며 최근 strontium ranelate가 추가되었다. 일일 1200 mg의 칼슘과 800 IU 의 비타민 D 섭취가 권장되고 있으며, 폐경기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이 효과가 입증되었고 골다공증으로 인한 통증에는 칼시토닌이 효과가 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 및 스테로이드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에 대해 FDA의 승인을 받았다.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예방에 사용되는 SERM은 골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골절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골형성자극제인 부갑상선 호르몬이 골절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strontium은 최근에 개발된 약제로 3상 연구에서 골절 위험율 감소효과를 보였으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미역취뿌리 추출물이 성장기 흰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lidago virga-aurea var. gigantea Miq. Root Extract on Bone Metabolism in Growth Period Rats)

  • 이지원;박정현;이효주;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36-24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3주령의 암컷 흰쥐를 이용하여 미역취뿌리 추출물이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미역취뿌리 메탄올 추출물을 10, 50, 100 mg/kg/day의 농도로 음용수에 희석하여 9주간 사육시켰다. 매주 체중과 사료효율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체중의 변화나 사료효율에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미역취 뿌리 추출물에 대한 기본적 독성은 없고,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리고 3주 간격으로 소변으로 배출되는 Ca과 P의함량을 ICP로 분석 한 결과, 10 mg/kg/day농도로 음용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혈액으로 유리되는 Ca과 P의 함량 또한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섭취 후 9주째에 양에너지 방사선 골밀도 측정기(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를 이용하여 척추, 대퇴골, 골반의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메탄을 추출물을 음용한 군의 척추 골밀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글 무기질 함량 또한 대퇴골과 골반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역취뿌리 메탄을 추출물의 음용이 암컷 흰쥐에서 골밀도 및 골함량에 유의하게 작용하고 또한 골대사 과정에서 유리되는 Ca와 P의 대사과정에 작용하여 유리되는 Ca과 P의 양을 감소시켜 이상의 결과로 미뤄볼 때, 적절한 미역취뿌리 추출물의 투여는 흰쥐의 성장에 대해 부작용이나 독성없이 골밀도와 골무기질 함량을 높였으며 앞으로 조골세포 기능 저하로 인한 골대사 질환에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일부 대학생의 골밀도와 생활습관간의 관련성 (The 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Lifestyle in College Students)

  • 강태훈;이무식;배석환;김용권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429-434
    • /
    • 2016
  • 본 연구는 일부 한국 대학생들의 골밀도와 생활습관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이중에너지 방사선흡수법(DEXA)을 이용하여 총 121명의 대학생들의 요추와 대퇴골두의 골밀도(BMD)를 측정하였고, 생활습관에 관련된 설문은 자기기입식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2014년 9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골밀도는 빈도분석을 통해 분포를 파악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식이습관, 운동습관, 생활습관에 따른 골밀도(T-Score)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교차분석(Chi-square test)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퇴골과 요추의 골밀도는 평균 $0.993{\pm}0.14g/cm^2$이었고, 골다공증은 없었으며, 골감소증은 30명(24.8%), 정상은 91명(75.2%)이었다.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생리주기가 규칙적인 여대생이, 주 150시간 이상 걷기를 시행한 군이, 청소년기에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 경험이 있는 군이 골감소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고, 일 기준 전자기기를 6시간 이상 사용한 군이 골감소증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신체적인 특성과 식이 운동 생활습관, 특히 청소년기의 운동습관은 골건강과 관련성이 있다. 추후 청소년과 대학생에 대한 식이 운동 생활습관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를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폐경 여성의 근감소증 및 근감소성비만과 심혈관질환 위험도와의 관련성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 자료를 활용하여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 Results for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미성;손정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78-385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analyzed data of 2,019 postmenopausal women aged 50-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2011 and were free of cardiovascular disease history. Blood pressure,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We analyzed the serum concentrations of glucose,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aist circumference was used to measure obesity.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was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Sarcopenia was defined as the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body weight<1 standard deviation below the gender-specific means for healthy young adults. The estimated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as calculated by Pooled Cohort Equation. Subjects were classified as non-sarcopenia, sarcopenia, or sarcopenic obesity based on status of waist circumference an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Results: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was 16.3% (n=317) and 18.3% (n=369), respectively. The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the sarcopenic obesity group was higher ($3.82{\pm}0.22%$) than the normal group ($2.73{\pm}0.09%$) and sarcopenia group ($3.17{\pm}0.22%$) (p < 0.000). The odd ratios (ORs) for the ${\geq}7.5%$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rcopenic obesity group (OR 3.609, 95% CI: 2.030-6.417) compared to the sarcopenia group (OR 2.799, 95% CI: 1.463-5.352) (p for trend < 0.000) after adjusting for independent variables (i.e., exercise, period of menopausal,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score, income, education level, calorie intake, %fat intake and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Conclusions: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factors predicting the 10-year risk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These findings imply that maintaining normal weight and muscle mass may be important for cardiovascular disease risk prevention in postmenopausal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