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inida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A Taxonomical Review of the Genus Aphelopus(Hymenoptera: Dryinidae: Aphelopinae) from South Korea

  • Kim, Chang-Jun;Lee, Jong-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3호
    • /
    • pp.159-168
    • /
    • 2016
  • The species of Aphelopus Dalman (Hymenoptera: Dryinidae) from South Korea are reviewed. Sixteen species are listed, of which fifteen are new records from South Korea: Aphelopus atratus (Dalman, 1823); Aphelopus bennetti Olmi, 2004; Aphelopus camus Richards, 1939; Aphelopus luteoceps Xu & He, 1999; Aphelopus maetoi Olmi, 1995; Aphelopus malayanus Olmi, 1984; Aphelopus melaleucus (Dalman, 1818); Aphelopus nepalensis Olmi, 1984; Aphelopus nigriceps Kieffer, 1905; Aphelopus prolatus Mita & Olmi, 2014; Aphelopus querceus Olmi, 1984; Aphelopus serratus Richards, 1939; Aphelopus spadiceus Xu & He, 1997; Aphelopus urbaini Olmi, 2003; Aphelopus zhaoi Xu, He & Olmi, 1998. Keys to South Korean species of Aphelopus are also provided.

First Record of the Genus Pseudodryinus (Hymenoptera: Dryinidae: Dryininae) in Korea

  • Kim, Chang-Jun;Choi, Gang-Won;Lee, Jong-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7권2호
    • /
    • pp.167-169
    • /
    • 2011
  • The genus Pseudodryinus Olmi, 1989 belonging to the subfamily Dryininae has been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ase on the discovery Pseudodryinus shihoae Mita, 2009. We have provided a redescription and photographs of the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한국산 원집게벌속 (벌목: 집게벌과: 원집게벌아과)의 한국 미기록 3종의 보고 (Three New Records of the Genus Anteon Jurine, 1807 (Hymenoptera: Dryinidae: Anteoninae) from South Korea)

  • 김창준;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97-203
    • /
    • 2016
  • 한국산 원집게벌속(Anteon)의 국내 미기록 3종, 짧은원집게벌(Anteon brachycerum (Dalman)) (신칭), 한줄원집게벌(Anteon confusum Olmi) (신칭), 광교원집게벌(Anteon infectum (Haliday)) (신칭)을 기록한다. 검색표, 식별형질, 주요 형질에 대한 그림 및 사진을 함께 제시한다.

한국산 미기록아과 Conganteoninae Olmi (벌목: 집게벌과)에 대한 보고 (First Record of the Subfamily Conganteoninae Olmi (Hymenoptera: Dryinidae) from South Korea)

  • 김창준;박비아;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75-279
    • /
    • 2015
  • 한국산 집게벌과의 미기록종인 발톱집게벌 (Conganteon nepalense Olmi) (신칭)과 짧은맥발톱집게벌 (Fiorianteon junonium Olmi) (신칭)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미기록아과인 발톱집게벌아과 (Conganteoninae Olmi) (신칭)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검색표, 식별형질, 주요 형질에 대한 그림 및 사진을 함께 제시한다.

애멸구 약충기생봉(Haplogonatopus atratus)에 관한 연구 (I) (Studies on the Nymphal Parasitism, Haplogonatopus atratus Esaki at Hashimoto (Dryinidae) of the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I))

  • 김정부;김창문;조동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6-118
    • /
    • 1984
  • 본 연구는 애멸구 약충기생봉의 1종인 Haplogatopus atratus(Dryinidae)의 애멸구 약충에 대한 세대별 기생율과 령기별 기생선호성을 조사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Haplogonatopus atratus의 애별구 약충에 대한 세대별 기생율은 월동세대가 $19.2\%$, 제 1세대인 맥전에서 $10.8\%$, 제 2세대인 본답에서 $21.5\%$였다. 2. 숙주인 애멸구 약충에 대한 령기별 기생선호성은 1령, 5령 및 성충에는 전혀 기생을 하지 않었으며 2령이 $17.5\%$, 3령이 $78.2\%$, 4령이 $4.2\%$로서 3령이 가장 높은 선호성을 보였다.

  • PDF

흰등멸구에서 약충기생벌(Pseudogonatopus nudas Perkins)의 발육기간과 산란수 조사 (Development Period and Oviposition of Pseudogonatopus nudas Perkins (Hymenoptera : Dryinidae), a Nymphal Parasitoid of th Whitebacked Planthoppe, Sogatela furcifera Horvath (Homoptera : Delphacidae))

  • 김정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5-169
    • /
    • 1990
  • 흰등멸구 약충에 기싱햐는 Pseudogonatopus nudas벌의 생태를 실내(26~$28^{\circ}C$)에서 조사하여 앞으로 약충기생벌의 인공사육 및 벼 해충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 난기간, 유충기간, 전용기간 및 용기간은 2.5일, 7.8일, 2.7일 및 14.2일 이었으며, 난에서 성충기까지 발육기간은 27.2일이었다. 성충의 우화는 83.5%가 아침인 6~10시 사이에 이루어 졌으며, 오후에는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충의 평균수명은 꿀벌과 흰등멸구 약충을 먹이로 함게 넣어 주었을 경우 수컷은 3.4일, 암컷은 11.8일이었고, 암컷의 평균산란수는 25.3개 였다. 성충의 산란기간은 5.4일 이었다. P. nudas는 기주인 흰등멸구 약충 1령과 성충에는 산란을 하지않았으며 3령층에 68.8%, 2령충 19.6%, 4령충 11.0% 및 5령충에 0.6%로 각각 나타났다.

  • PDF

미국선녀벌레 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 대량사육 체계 (Mass rearing system for Neodryinus typhlocybae(Hymenoptera: Dryinida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of Metcalfa pruinosa)

  • 서미자;김정환;노현정;서보윤;조점래;박홍현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423-432
    • /
    • 2022
  • 미국선녀벌레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기생성 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 대량사육 체계를 구축하였다. 선녀벌레집게벌 고치 생산은 기주인 미국선녀벌레 약충밀도와 기주식물의 재식밀도에 따른 차이를 보였지만, 뽕나무 기주식물 잎당 평균 5~8개, 주당 평균 70~150개가 생산되었다. 선녀벌레집게벌 암컷 평균 고치 길이는 6.01~6.46 mm, 수컷은 4.20~4.62 mm로 암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우화 전 고치상태에서의 암수 구분으로 선녀벌레집게벌을 효과적으로 방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야외조건에서 선녀벌레집게벌 기생률은 평균 13~17%로, 방사 마리수에 따른 기생률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방사 마리수가 많을수록 미국선녀벌레 개체군밀도증가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선녀벌레집게벌의 성비나 이화성은 기주의 영기에 따라 달라졌다. 기주의 영기가 낮을수록 이화성 비율이 증가했고, 4~5령 약충에 기생시 암컷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대량사육 시 개체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