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Cured Pork Neck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Effect of Packaging Method and Storage Tim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y-Cured Pork Neck Products at 10℃

  • Kim, Il-Suk;Jin, Sang-Keun;Yang, Mi-Ra;Ahn, Dong Uk;Park, Jae-Hong;Kang, Suk-Na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623-1629
    • /
    • 2014
  • Dry-cured pork neck samples were stored at $10^{\circ}C$ for 90 days under vacuum packaging (VP) 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25% $CO_2$+75% $N_2$) conditions. The pH, moisture, water activity, total aerobic bacteria, and Enterobacteriaceae counts of dry-cured pork neck products with MA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with VP (p<0.05) after 90 days of storage. However, CIE $b^*$ and 2-thiobarbituric acid reacted substance (TBARS) values of the pork product with MAP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with VP.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and Enterobacteriaceae counts of samples with MAP were lower than those with VP after 30 days of storage. Sensory results indicated that aroma, flavor and tenderness scores of the samples with both VP and MAP decreased during storage and the scores after >60 days of storage were lower than those at Day 1. In conclusion, despite presenting higher lipid oxidation, the samples stored in packages containing 25% $CO_2$ for 90 days at $10^{\circ}C$ have lower bacterial counts than vacuum-packed samples.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be performed on the packaging of dry-cured meat at adjusted concentrations of $CO_2$.

유통초기단계의 건조- 숙성햄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Dry-Cured Ham at Initial Stage of Distribution)

  • 진상근;김일석;양미라;허인철;김대승;강석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77-385
    • /
    • 2011
  • 본 연구는 시중에 유통 중인 국내산 건조-숙성햄 중 숙성기간이 24개월된 다리육(T1)과 4개월 된 목살(T2)의 성분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 지방산, 유리 아미노산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수분 함량은 T1 (45.24%)이 T2 (32.50%)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지방 함량은 T2 (26.42%)가 T1(16.46%)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T1이 69.47 mg/100g, T2가 54.80 mg/100g으로 T1이 T2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처리구간 염농도, 염용성 단백질, 보수력 및 pH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전단력은 T1이 T2 보다 낮았으며(p<0.05), 지방산패도인 TBARS는 T2가 3.25 mgMA/kg로 T1의 0.39 mgMA/kg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VBN은 T1이 134.65 mg/100 g로 T2의 47.25 mg/100 g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미생물의 경우, 모든 시험구에서 대장균 군 및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T1 및 T2의 유산균수은 각각 4.31, 3.57 log CFU/g로 T1이 T2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적색도는 T2가 T1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황색도는 6.41~7.24 수준으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의 경우, Palmitoleic acid 및 stearic acid의 함량이 T2가 T1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단가 불포화지방산은 T1이 T2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T1이 T2 보다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T1이 T2 보다 asparagine, leucine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 숙성 기간이 상대적으로 많은 T1의 연도, 단백질 변성도, 유산균수 및 유리아미노산 총량이 T2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지방산화도는 낮게 나타나 장기간의 숙성 제품이 오히려 단기간 숙성 제품보다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