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deposition velocity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3초

오존에 대한 건성침적속도의 일반적 특성 고찰 (The Investig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for Dry Deposition Velocity of $O_3$)

  • 이화운;김유근;문난경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1-193
    • /
    • 2000
  • 오존 등 기체상 오염물질의 식물 표면에 대한 건성침적은 식물의 생물학적 활동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Runeckles and Chevone, 1992; Chappelka and Chevone, 1992), 건성침적 현상은 노출된 식물지표 환경의 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작용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있다(Businger, 1986; Galbally et al., 1986; Chang et al., 1987; Wesely, 1989; Hicks et al., 1989). 이러한 기체상 오염물질의 침적현상은 대기질 관리에 있어서 오염물질의 적절한 감소계획을 산정ㆍ평가하기 위하여 지상 오염물질의 농도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중략)

  • PDF

입자상 PAHs의 건식 침적량과 건식 침적 속도 추정 (Estimation of Dry Deposition Fluxes and Velocity for Particulate PAHs in Korea)

  • 이지이;배수야;이승묵;김용표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38
    • /
    • 2001
  •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다환방향족 탄화수소류, 이하 PAHs)는 두 개 이상의 벤젠 고리로 구성되어 있는 반휘발성 유기물질로서 가스상과 입자상에 모두 존재한다. PAHs는 주로 불완전 연소에 의해서 생성되며, 주요 고정 오염원은 주거 난방, 코크 산업, 소각이고, 주요 이동오염원은 자동차 엔진이다. PAHs에는 강한 발암성 혹은 돌연변이원성을 가진 화합물들이 포함되어 있고, 주변 대기에 널리 분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일반 대중이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중략)

  • PDF

경도법에 의한 SO$_2$의 건성침착속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Dry Deposition Velocity of SO$_2$ using the Gradient Method)

  • 박문수;박상종;박순웅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3-214
    • /
    • 2001
  • 대기오염 물질은 건성침착과 습성침착의 두 가지 과정에 의해 지표로 침착된다. 습성침착은 구름과 강수과정에 의해 지표로의 침착을 의미하며 건성침착은 오염물질이 직접 지표면에 침착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의 16 m 높이의 관측탑에 세 고도에서 관측된 농도 자료와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경도법으로 SO$_2$의 건성침착속도를 산출하고 이의 안정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중략)

  • PDF

Effects of Strong Wind and Ozone on Localized Tree Decline in the Tanzawa Mountains of Japan

  • Suto, Hitoshi;Hattori, Yasuo;Tanaka, Nobukazu;Kohno, Yoshihisa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권2호
    • /
    • pp.81-89
    • /
    • 2008
  • The numerical simulation of wind and ozone ($O_3$) transport in mountainous regions was performed with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echnique. A dry deposition model for $O_3$ was designed to estimate $O_3$ deposition in complex terrain, and the qualitative validity of the predicted $O_3$ concentration field was confirmed by comparison with observed data collected with passive samplers. The simulation revealed that wind velocity increases around ridge lines and peaks of mountains. The areas with strong wind corresponded well with the sites of tree decline at high altitudes, suggesting that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localization of tree/forest declin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forest decline and $O_3$ concentration. The $O_3$ concentration, however, tends to increase as wind velocity becomes higher, thus the $O_3$ concentration itself may be a potential secondary factor in the localized decline phenomena. While the diffusion flux of $O_3$ is not related to localized tree decline, the pattern of advection flux is related to those of high wind velocity and localized tree decli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ong wind with large advection flux of $O_3$ may play a key role in the promotion of tree/forest decline at high mountain ridges and peaks.

Diagnostics of Magnetron Sputtering Plasmas: Distributions of Density and Velocity of Sputtered Metal Atoms

  • Sasaki, Koichi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98-99
    • /
    • 2012
  • Deposition of thin films using magnetron sputtering plasmas is a well-developed, classical technology. However, detailed investigations using advanced diagnostics are insufficient in magnetron sputtering, in comparison with plasma-aided dry etching and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In this talk, we will show examples of diagnostic works on magnetron sputtering employing metal targets. Diagnostic methods which have fine spatial resolutions are suitable for magnetron sputtering plasmas since they have significant spatial distributions. We are using two-dimensional laser-induced fluorescence spectroscopy, in which the plasma space is illuminated by a tunable laser beam with a planer shape. A charge-coupled device camera with a gated image intensifier is used for taking the picture of the image of laser-induced fluorescence formed on the planer laser beam. The picture of laser-induced fluorescence directly represents the two-dimensional distribution of the atom density probed by the tunable laser beam, when an intense laser with a relatively wide line-width is used. When a weak laser beam with a relatively narrow linewidth is used, the laser-induced fluorescence represents the density distribution of atoms which feel the laser wavelength to be resonant via the Doppler shift corresponding to their velocities. In this case, we can obtain the velocity distribution function of atoms by scanning the wavelength of the laser beam around the line center.

  • PDF

수목의 초미세먼지(PM2.5) 저감 효과에 대한 CFD 수치 모의: 부산 감만동 지역을 대상으로 (CFD Simulations of the Trees' Effects on the Reduction of Fine Particles (PM2.5): Targeted at the Gammandong Area in Busan)

  • 한상철;박수진;최원식;김재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3호
    • /
    • pp.851-861
    • /
    • 2022
  • 본 연구는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모델을 이용하여 도시 지역에서 수목이 PM2.5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현실적인 수치 모의를 위해, 기상청에서 현업으로 운영 중인 국지예보시스템(LDAPS)이 예측한 기상 자료를 CFD 모델의 초기·경계 자료로 사용하였다. CFD 모델 성능 검증은 연구 대상지 내에 구축된 6개의 센서에서 측정한 PM2.5 농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이 PM2.5 농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목이 식재 되지 않았다고 가정한 경우, 수목이 식재되어 있지만 바람에 대한 항력 효과만 존재한다고 가정한 경우, 수목의 항력 효과와 침적 효과가 모두 존재한다고 가정한 경우에 대한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 기간 동안 PM2.5 저감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 세 가지 영역 중 군부대 내의 PM2.5 평균 농도를 비교한 결과, 수목이 식재되지 않은 경우는 12.8 ㎍ m-3, 수목의 항력 효과만 고려한 경우는 12.5 ㎍ m-3이 나타났고, 수목의 항력 효과와 침적 효과가 모두 고려한 경우는 6.8 ㎍ m-3가 나타났다. 수목에 의한 건성 침적이 PM2.5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article에 대한 건성침적속도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Dry Deposition Velocity of Particles)

  • 이화운;문난경;반수진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5-187
    • /
    • 2000
  • 대기 중의 오염물질들은 지표면 환경과 식생, 농작물, 수면 등의 침적 대상 표면 그리고 생물 활동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고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원이 되는 오염물질 유입을 고려해야 하는 환경문제에 있어서 오염물질 농도 예측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입자상 물질의 건성침적은 습성 침적과 더불어 중금속이나 SO$_4$$^{2-}$ , NO$_3$$^{-}$ 및 NH$_4$$^{+}$와 같은 화합물을 생태계로 전달하여 생태계를 산성화시키거나 부영양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입자상 물질에 대한 건성 침적은 관측 결과들이 submicron particle들에 대한 침적 속도가 아주 작음을 보여주고 또한 particle들의 침적 과정의 복잡성 때문에 가스상 물질에 대한 건성침적보다 관심을 덜 받고 있다. (중략)

  • PDF

Atmosphere-forest Exchange of Ammoniacal Nitrogen in a Subalpine Deciduous Forest in Central Japan during a Summer Week

  • Hayashi, Kentaro;Matsuda, Kazuhide;Takahashi, Akira;Nakaya, Ko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5권2호
    • /
    • pp.134-143
    • /
    • 2011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urnal variations in air concentrations and exchange fluxes of ammoniacal nitrogen ($NH_x$: ammonia ($NH_3$) and particulate ammonium) in a subalpine deciduous forest in central Japan during a week in summer. The $NH_3$ concentrations ($0.50\;{\mu}g\;N\;m^{-3}$ on average) showed a clear circadian variation, i.e., high and low in the daytime and nighttime,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ammonium in the coarse fractions was extremely low, whereas that for the PM2.5 fraction was relatively high $0.55\;{\mu}g\;N\;m^{-3}$ on average). The main inorganic ion components of PM2.5 at the study site were ammonium and sulfate. The exchange fluxes of $NH_x$ were bidirectional. Both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ccurred in the daytime, i.e., $0.39\;mg\;N\;m^{-2}\;hr^{-1}$ of downward flux and $0.11\;mg\;N\;m^{-2}\;hr^{-1}$ of upward flux for $NH_3$ and $0.25\;mg\;N\;m^{-2}\;hr^{-1}$ of downward flux and $0.13\;mg\;N\;m^{-2}\;hr^{-1}$ of upward flux for PM2.5 ammonium. The exchange fluxes of $NH_x$ at night could be considered as zero. The mean deposition velocity during the research period was almost zero for both $NH_3$ and PM2.5 ammonium. The atmosphere-forest exchange of $NH_x$ in the forest during the study period was balanced. The remarkably large deposition of $NH_x$ was attributable to meteorological events such as showers the night before that thoroughly washed the forest canopy and subsequent clear skies in the morning, which enhanced convection. The cleaning effect of rainfall and the rapid change in convection in the early morning should be monitored to evaluate and generalize the gas and particle exchange in a forest.

요오드의 배추에 대한 침적 (Iodine Deposition onto the Chinese Cabbage)

  • 이한수;최희주;강희석;유동한;금동권;임광묵;박효국;최용호;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73-177
    • /
    • 2004
  • 아시아 국가에서 주요한 섭취작물중 하나인 배추에 대하여 요오드 침적실험을 수행하였다. 방사선원으로 반감기가 60일인 $^{125}I$를 사용하여 농도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은 피폭시기를 다르게 하여 4번에 걸쳐 수행되었다. 요오드는 NaI의 화학반응으로부터 제조되어 사용되었는데 이유는 일반적인 결정을 증발시키는 방법으로는 비교적 큰 요오드 입자가 생기기 때문에 입자조절이 가능한 화학반응을 사용하였다. 침적속도는 공기중 농도를 시간에 대해 적분한 것과 배추 표면의 표면농도로부터 얻었다. 또한 환경제거반감기도 계산되었다.

남한강과 금당천 합류부 구간에서의 지류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 수치모의 (Numerical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s due to Tributary Inflow Variation at the Confluence of the Namhan River and the Geumdang Stream)

  • 지운;장은경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1호
    • /
    • pp.1027-103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 및 하상유지공 유실 문제가 발생했던 남한강과 금당천 합류부 지점을 대상으로 지류에서 유입되는 유량의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 특성을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구간의 수치모의 분석결과, 본류에서는 흐름집중 현상에 의해 지류 유입유량에 관계없이 합류 전에 비해 합류 후 유속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류 유입유량이 클수록 지류하천의 하도 침식이 가속화되고 따라서 주하도가 형성되어 지류에서의 마름영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로 인한 지류에서의 하도 침식은 지류에서의 유사발생량을 증가시키고 침식된 유사는 합류부 구간에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류부 구간에서의 지류 유입부 퇴적은 본류 흐름을 좌안으로 집중시키고 좌안의 하상이 저하되는 현상을 야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