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and Wet Feeding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1초

가토 근피판에서 허혈성 손상 방지를 위한 UW 관류제 사용의 효과 (Tre Effect of UW Solution for Protection of Ischemic Injury in Free Myocutaneous Flaps of the Rabbit)

  • 서우석;권우형;김상운;이수정;권굉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
    • /
    • 1993
  • 저자들은 뉴질랜드산 흰 가토의 대퇴부에 총 대퇴동맥의 분지를 영양혈관으로 하는 비복근을 이용한 유경 근피판을 만든 후에 영양혈관을 차단 직전과 12시간 동안의 허혈 기간을 가진 후 이 영양혈관으로 생리 식염수로 관류하여 씻어낸 대조군과 urokinase로 관류한 비교군 I, 최근 개발된 인체의 장기 이식시 사용되는 장기(organ) 보존용제인 UW용액을 이용한 비교군 II, UW용액과 pentoxifylline용액으로 관류한 비교군 III에서 재관류 12시간 후에 허혈 및 괴사 정도를 육안적인 관찰과 근육의 전기 자극 검사, TTC 염색, Wet/Dry 무게비 등으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육안적 소견상 대조군과 urokinase 사용군에 비해 비교군 II와 III에서 괴사가 적었으며(p<0.05) 근육 조직의 전기 자극 심사에서도 대조군과 비교군 I 은 각각 $1.76{\pm}1.01,\;2.36{\pm}\1.02$로 차이가 없었으나 비교군 II와 III에서 각각 $3.54{\pm}0.93,\;3.49{\pm}1.37gm/mm^2$으로서 대조군에 비해 근육의 강직도가 의의있게 강하게 나타났다(p<0.05). 그리고 TTC 염색에서 대조군의 7례에서 허혈성 괴사 소견이 보였고 비교군 I도 3례에서 허혈성 괴사 소견이 있었으나 비교군 II과 III에서는 허혈성 괴사가 없었으며(p<0.05) 근피판의 wet/dry 무게비에서 대조군과 비교군 I은 각각 $4.55{\pm}0.37,\;4.33{\pm}0.36$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비교군 II와 III는 각각 $3.84{\pm}0.29,\;3.75{\pm}0.48$로 대조군과 비교군 I에 비해 부종이 적음을 나타내었다(p<0.05).

  • PDF

Effects of feeding sodium metabisulfite-treated fruit and vegetable discards to Hanwoo heifers and cows

  • Lee, Won Hee;Ahmadi, Farhad;Kim, Young Il;Park, Jong Moon;Kwak, Wan Sup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3호
    • /
    • pp.410-421
    • /
    • 2022
  • Objective: Two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incremental levels of sodium metabisulfite (SMB)-treated fruit and vegetable discards (FVD) in diet of Hanwoo heifers and cows affect their performance and health. Methods: In Exp. 1, 36 Hanwoo heifers were stratified by age (13.3±0.83 mo) and initial body weight (305±19.7 kg), and divided randomly to one of three diets containing 0%, 10%, or 20% SMB-treated FVD (as-fed basis). The experiment lasted 110 d, including 20 d of adaptation. In Exp. 2, 24 multiparous Hanwoo cow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age (48.2±2.81 mo) and initial body condition score (2.64±0.33). Cows in each block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three diets containing 0%, 11%, or 22% SMB-treated FVD (as-fed basis). The experiment lasted 80 d, including a 20-d adaptation period. In both experiments, SMB-treated FVD was used as a replacement for wet brewers grain in total mixed ration (TMR). Results: Growing heifers exhibited no differences in their daily feed intake (6.58±0.61 kg/d dry matter [DM]), average daily gain (0.60±0.07 kg/d), and body condition score when they consumed the incremental levels of SMB-treated FVD. Although most blood metabolites were unaffected by treatments, blood urea-N and β-hydroxybutyrate levels decreased linearly as the SMB-treated FVD level increased in TMR. Similar to Exp. 1, minor differences were found in daily feed intake (8.27±0.72 kg DM/d) and body condition score of Hanwoo cows. Most blood metabolites remained unaffected by treatments, but blood urea-N decreased as the SMB-treated FVD level in TMR increased.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SMB-treated FVD could be safely incorporated into the diet of Hanwoo heifers and cows, potentially improving N-use efficiency in the body while not impairing performance or health.

맥주박 첨가 섬유질 배합사료가 거세흑염소의 생산성 및 영양소 이용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Mixed Ration with Wet Brewer's Grain on the Performance and Nutrient Utilization in Castrated Korean Black Goats)

  • 최순호;황보순;김상우;상병돈;김영근;조익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99-206
    • /
    • 2006
  • 본 연구는 맥주박을 첨가한 섬유질 배합사료가 육성기 거세흑염소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맥주박의 사료가치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사양시험에서는 거세흑염소 40두를 4처리구(관행사료구, 맥주박 20, 30 및 40% 첨가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0두씩, 소화율 시험에서는 처리구당 3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맥주박 첨가 수준별 섬유질 배합사료의 일반 조성분은 건물 함량이 $62.35{\sim}66.02%$, 조단백질 함량은 $14.49{\sim}15.36%$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ADF와 NDF 함량은 $28.24{\sim}29.08$$53.27{\sim}54.85%$로 나타나 맥주박 첨가 비율에 따른 섬유소 함량의 차이는 없었으나, NFC 함량은 맥주박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NFC 함량이 낮아졌다. 일당증체량은 대조구가 맥주박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섭취량, 유기물섭취량, NFC 섭취량은 맥주박 20%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p<0.05), 조단백질과 가소화 조단백질 섭취량은 맥주박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건물, 유기물, NDF 소화율은 대조구가 맥주박 첨가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맥주박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질소 축적율은 대조구 보다 맥주박 첨가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난소절제 쥐에서 붕소보충과 식이 칼슘 수준이 체내 칼슘 및 골격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Boron Supplementation and Calcium Levels on Calcium and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Female Rats)

  • 정혜경;이현숙;최창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8호
    • /
    • pp.887-895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boron supplementation and calcium levels on calcium and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female rats. The experimental group classified ovariectomized group(O) and sham operation group (S). The two groups were then each randomly divided into flour sub-groups and fed experimental diets consisting in two levels of calcium and at each level of calcium, there were boron supplemented group and non-supplemented group. Calcium levels were either 0.2%(low calcium group: L) or 1.2%(high calcium group: H). The level of boron in the diet for the boron supplemented groups(B) was 100$\mu\textrm{g}$/g diet. The experimental period was six weeks. The average food intak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of eight groups. The increase in weights of rats was observed only in ovariectonized and sham control rats(low ca without boron supplemented). The rest of the groups lost weight significantl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ranging from 26.94g to 44.34g. Significant higher calcium intakes were observed in high calcium groups, regardless of boron supplementation during experimental period. Urinary calcium excretion was not affected either by ovariectomy or diets on the first, third and sixth week of feeding. Apparent calcium absorption rate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on first week, whereas noticeable increase was observed in low calcium groups at third and sixth weeks. Femur wet and dry weight, and calcium contents of femur were higher in low calcium groups. whereas femur bone density was higher low calcium with boron supplementation groups than low calcium groups. Scapular dens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groups. Despit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ctivities of alkaline phosphatase by boron supplementation, boron supplemetation appeared to cause higher femur density. There results suggest that in both of sham-operated and ovariectomized rats low calcium did not influence greatly bone status of rats and boron increased bone density.

  • PDF

EFFECT OF ORCHARDGRASS GROWTH STAGE ON POOL SIZE AND KINETICS OF DIGESTA PARTICLES IN THE RUMEN OF SHEEP

  • Ichinohe, T.;Tamura, T.;Ueda, K.;Okubo, M.;Asahid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3호
    • /
    • pp.267-273
    • /
    • 1995
  • The differences in rumen particle pool size, passage rate and rumen degradability in sheep receiving three varieties of orchardgrass hay harvested at pre-heading (H1), early-bloom (H2) and late-bloom (H3) were investigated using four ruminal-cannulated wethers (68 kg) fed 1,300 g of the hay once a day. Representative samples of whole rumen contents were collected at different times after feeding and the quantities of rumen particle pools [large particle pool (LPP), retained on a $1,180{\mu}m$ sieve; small particle pool (SPP), retained on a 47 but passed a $1,180{\mu}m$ sieve; and soluble fraction (SOL), passed a $47{\mu}m$ sieve (SOL)] were determined by a wet-sieving technique. The fu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dry weight of whole rume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p < 0.05) for HI than for H2 or H3. The reduction rate of whole rumen contents was slightly but significantly greater for HI that, the other hay varieties. 2) The LPP disappearance rates were 26.2, 25.3 and 21.7 g DM/h for H1, H2 and H3, respectively, and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hay varieties. Appreciable changes were not observed with SPP and SOL throughout measurements for all hay varieties; however the SPP was markedly greater (p <0.05) for H2 and ill than for HI, while SOL did not differ among hay varieties. 3) The SPP passage rate (g DM/h) and effective rumen degradability (%) for HI, H2 and ill were, respectively, 9.7, 56.6; 16.9, 42.3; and 18.0, 28.9. The ruminal tum-over rate for SPP appeared to be higher for HI than for the other hay varieties.

대두올리고당이 흰쥐의 장내 균총, 지질 대사 및 면역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oligosaccharides and Varing Dietary Fats on Intestinal microflora. Lipid Profiles and Immune Responses in Rats)

  • 김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6호
    • /
    • pp.597-612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yoligosaccharides on intestinal microflora transit time lipid profiles and immune responses. Forty-eight male rats of Sprague-Dawley strain were divided into six groups(SYS: soybean oil-sucrose SYO: soybean oil-oligo SES; esame oil-sucrose SEO:sesame oil-oligo BFS : beef tallow-sucrose BFO : beef tallow-oligo) soyoligo-groups(SYO, SEO, BEO) were fed the diet containing 5% soyoligosaccharides but control groups not fed them and all groups were fed 20% fats for 4 weeks. The number of fecal bifidobacteria tended to increase after soyoligosaccharides feeding. The significant increase was found in SEO group compared to SES in that of fecal bifidobacteria,. Stool wet weight dry fecal weight and stool water conten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soyoligo-group(SYO, SEO, BFO) compared to control groups(SYS, SES, BFS) and gastrointestinal transit time(TT) tended to increase. Soyoligosaccharides lowered plasma cholesterol in SEO group significantly more than did other groups. soyoligo-groups(SYO, SEO, BFO) tended to decrease liver triglycerides compared to control groups. Plasma IgG concentration increased in beef tallow groups(BFS, BFO) than that in other dietary fat groups. Soyoligosaccharides and kinds of fats had effects on plasma C3 concentration and mitogenesis of the spleen cells. Soyoligosaccharides had no effects on plasma leptin and insulin concentration but kinds of fats did so that sesame group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plasma leptin concentration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compared to other dietary fat groups. In conclusion dietary soyoligosaccharides changed the composition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beneficially with sesame oil and partially had effect on plasma and liver lipid profiles .(Korean J Nutrition 33(6) : 597∼612, 2000)

  • PDF

입자크기분석을 위한 레이저회절 분광계의 측정오차 분석 (Analysis of Measuring Error for Particle Size Analysis by Laser Diffraction Spectrometer)

  • 하상안;손희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13-722
    • /
    • 2000
  • 본 연구는 입자크기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인 레이저회절 분광계의 측정오차 및 재현성을 분석한 것이다. 레이저회절 spectrometers는 입자크기를 분석하기 위한 장치 중에서 가장 대표적이고 중요성을 가진다. 이 측정장치는 운전이 간단하며, 입자분석에 있어서 재현성이 우수하고, 빠른 속도로 분석이 가능한 형태이다. 입자크기를 분석하는 과정에 있어서 공급되는 분산형태와 흐름율에 따라서 측정오차가 미세하게 발생되었고, 흐름율은 분산형태가 건식인 경우 0.1~23 g/min로 공급하였고, 습식인 경우는 분산되는 용매에 따라서 1.4~35 %가 되도록 조절하여 측정결과에 따라서 발생되는 측정오차를 분석하였다. 흐름을 변화에 따라서 발생되는 측정 오차는 측정 cell 내의 입자에 입사되는 레이저 회절패턴이 변화함으로서 측정오차가 다양하게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오차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입자모양, 크기, 분산형태와 용매, 흐름율과 농도의 변화에 따라서 실험을 실행하였고, 분석장치의 시스템에 따른 측정오차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장치내의 역학적인 공정, 측정시간, 초점거리, 주입압력, 전처리과정인 ultrasonic이나 혼합에 의한 분산효과에 따라 측정오차 및 재현성을 분석하였다.

  • PDF

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낙동강 하구 실뱀장어의 먹이 습성 분석 (Feeding Habits of the Glass Eel Anguilla japonica Determined by C and N Stable Isotop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of the Korean Peninsula)

  • 김정배;이원찬;김형철;홍석진;박경동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1권1호
    • /
    • pp.36-43
    • /
    • 2016
  •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자연산 실뱀장어는 마리아나 해구에서 산란 및 부화의 과정을 거친후 북적도 해류를 따라 회유한다. 자연산 미성어인 실뱀장어는 우리나라의 남 서해안에서 채집되어 양식용 종묘로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산 실뱀장어의 섭식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4년 3월과 4월 낙동강 하구에서 실뱀장어를 채집하여 전장, 습중량, 건중량, 탄소 및 질소 함량, 안정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수온과 염분을 측정하였다. 낙동강 하구의 수온은 $13.2{\pm}1.0$(평균 ${\pm}$ 1SE; 범위는 $10.1{\sim}15.7)^{\circ}C$ 이었고, 염분은 $24.8{\pm}2.4$(13.2~34.0)이었으며, 수문 개방시 염분은 13.2~30.0(평균 21.2)로 낮은 값을 보였다. 실뱀장어의 전장은 $56.5{\pm}0.2$(51.0~63.6) mm, 습중량은 $70.9{\pm}1.4$(33.6~133.2) mg, 건중량은 $16.5{\pm}0.3$(10.1~29.1) mg이었다. 실뱀장어의 탄소와 질소 함량은 각각 $51.0{\pm}0.8%$$13.9{\pm}0.1%$ 이었다. 낙동강 하구에서 채집된 실뱀장어의 ${\delta}^{13}C$${\delta}^{15}N$값은 각각 -20.9±0.2‰, 6.1±0.1‰로 북적도 해류에서 채집된 뱀장어 자어인 렙토세팔루스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낙동강 하구에서 채집된 실뱀장어는 뱀장어 자어에서 실뱀장어로의 변태과정을 거친 이후 회유하는 동안 먹이를 섭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육수온에 따른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소화기관의 trypsin 활성과 배설률 (Trypsin Activity in the Digestive Organs and Gastric Evacuation Rate of Litopenaeus vannamei at the Different Rearing Water Temperatures)

  • 김수경;김봉래;김대현;김종식;장인권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4-189
    • /
    • 2008
  •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적정 사육기법을 개발하고자 사육수온(20, 23과 $26^{\circ}C$)에 따른 간췌장, 전장과 중장에서의 trypsin 활성 및 먹이섭취량을 조사하였다. $26^{\circ}C$에서의 흰다리새우 간췌장내의 효소활성은 $23^{\circ}C$ 구간보다 2배, $20^{\circ}C$ 구간보다 3배의 활성을 보였다. 전장에서의 효소활성은 사육수온에 관계없이 300 nmol/mg/min 과 340 nmol/mg/min로 유사한 최대 활성을 보였으나 먹이섭취 후 최대 활성이 나타나는 시간은 수온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에서의 효소활성은 먹이섭취량과 관계없이 $26^{\circ}C$ 구간에서 가장 높게 기록되어 수온이 높을수록 중장에서의 효소활성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에 대한 전장과 중장의 무게 비율의 변화, 즉 섭취된 먹이량에 의한 비율변화를 조사한 결과 전장에서의 최대 먹이섭취는 $23^{\circ}C$ 구간으로 체중의 0.6%를 섭취하였으며, $26^{\circ}C$는 0.5% 그리고 $20^{\circ}C$에서는 0.4%의 먹이를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최대먹이섭취는 $23^{\circ}C$에서 일어났지만 수온이 높은 구간인 $26^{\circ}C$에서 효소의 활성은 가장 높았고 배설률 또한 높아서 먹이의 잔류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20^{\circ}C$ 구간에서는 가장 적은 양의 먹이를 섭취하였고 효소활성 또한 가장 낮았으나 소화관내 먹이 잔류율이 실험기간 동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수온에서 먹이섭취량에 따른 소화효소의 활성변화와 배설률에 따른 먹이 잔류시간을 고려하여 먹이공급량과 시간을 조절한다면 최적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형별 완전혼합사료 급여가 반추위내의 발효성상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of TMR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Nutrients Digestibility in Sheep)

  • 이덕윤;고종렬;최낙진;이상석;송재용;이세영;박성호;성하균;하종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05-812
    • /
    • 2003
  • 본 시험은 유형이 서로 다른 세 가지 형태의 TMR을 반추위에 누관이 장착된 면양을 이용하여 3${\times}$3 라틴 방각법으로 반추위내 발효성상, 효소역가 및 전장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시험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반추위 내 pH,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 총 VFA, 각종 VFA생성량, A/P ratio 및 각종 효소(CMCase, Xylanase 및 Protease) 역가는 건TMR를 급여했을 때와 비교하여 습TMR과 발효TMR급여 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건물, 유기물, 조단백질, 조지방, NDF 및 ADF의 전장 소화율도 건TMR 급여 시 보다 습TMR과 발효TMR를 급여했을 때 높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보다 안정적이고 활발한 반추위 발효과정과 영양소 이용효율 측면에서 건TMR보다 습TMR이나 발효TMR이 우수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