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y Film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3초

완전제어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배양액, 광도 및 재식거리에 따른 Common Ice Plant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on Nutrient Solution, Light Intensity and Planting Distance in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차미경;박경섭;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9-94
    • /
    • 2016
  •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common ice plant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에 대한 적합한 배양액 조성, 배양액 산도, 급액 간격, 광도 및 재식거리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유형은 완전제어형 식물공장형태로 인공광원은 삼파장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광주기는 12시간 일장주기였다. 수경재배시스템은 3단으로 구성된 박막수경시스템이었다. 식물공장내 온도, 상대습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ON/OFF 제어하였다. 배양액은 일본원예시험장액과 식물체 분석으로 개발 배양액을 가지고 비교 실험 하였다. 배양액의 산도와 급액 간격 실험은 pH 6.0과 7.0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으로 순환 할 경우 생육 차이를 알아보았다. 광도는 90과 $180{\mu}mol{\cdot}m^{-2}{\cdot}s^{-1}$ 2처리 하였다. 재식거리는 열간 간격을 15cm로 고정한 후, 열내 간격 10cm, 15cm, 20cm와 25cm 4처리로 처리하였다. 적당한 배양액의 조성은 N 7.65, P 0.65, K 4.0, Ca 1.6과 Mg $1.0mM{\cdot}L^{-1}$이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pH 6과 7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광도 $180{\mu}mol{\cdot}m^{-2}{\cdot}s^{-1}$에서 높았다. 재식거리가 증가할수록, 단위면적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common ice plant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관리(조성, pH와 급액간격)와 재배관리(광도와 재식밀도)를 알아본 결과,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으로 pH 6.0-7.0로, 급액 10분 간격으로 공급해 주는 것이 좋으며, 광도 $180{\mu}mol{\cdot}m^{-2}{\cdot}s^{-1}$와 재식밀도 $15{\times}15cm$로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세 수준의 자당이 첨가된 배지에서 유기물의 첨가 유무에 따른 Solanum tuberosum L.의 기내 광혼합영양생장 (Photomixotrophic Growth of Solanum tuberosum L. in vitro with Addition and Omission of Organic Materials at Thee Initial Sucrose Levels in the Medium)

  • 정병룡;양찬석;김경희;박영훈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55
    • /
    • 2004
  • 식물의 조직배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MS 배지 등의 무기성분은 종속영양에 적합하도록 조성되었다. 그러므로 이들 배지가 혼합영양이나 독립영양 배양에는 부적합 할 수 도 있다. 광혼합영양 미세증식에서 배지에 첨가되는 당의 수준은 낮추고 배양기의 광과 $CO_2$ 수준은 올리며, 광합성의 의한 탄소의 획득을 증진시키기 위해 열록소가 있는 절편체를 이용한다. Factorial 실험에서 유기물 (OM, $m^{-3}$ 배지당 각각 0.5g의 thiamine, nicotinic acid 및 pyridoxine과 100g ${\cdot}$ $m^{-3}$ myo-inositiol)의 첨가(+)와 생략(_) 및 세 가지 수준의 당(0, 15 및 30 kg ${\cdot}$ $m^{-3}$)이 감자 소식물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단엽단절 절편체를 0.1${\times}$$10^{-4}m^{-3}$의 MS 아가(8 kg ${\cdot}$ $m^{-3}$) 배지(증기소독 전 pH 5.80)배지가 담긴 유리 시험관(100mm${\times}$25mm)에 치상하여 직경 6mm의 가스투과 필터(5.1 air exchanges ${\cdot}$$h^{-1}$)가 부착된 투명한 필름으로 봉하여 배양하였다. 배양체는 27일간 $23^{\circ}C$, 50% RH에서 16 h ${\cdot}$ $d^{-1}$의 명기 동안에 cool white 형광등으로 130${\mu}mol\;{\codt}\;m\;{\codt}\;s^{-1}$ PPFD의 광과 350-450${\mu}mol\;{\codt}\;mol^{-1}의CO_2$가 공급되는 배양실에서 배양되었다. 유기물이 공급된 처리(+OM)와 공급되지 않은 처리(-OM)에서 감자 소식물체의 생육은 유사하였으나 배지의 pH는 후자에서 0.2 더 낮았다. 배지에 첨가된 당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건물중, % 건물율 및 경경은 증진된데 반해 신초와 뿌리의 건물중 비율, 엽면적, 건물중당 엽록소 함량 및 배지의 pH는 감소하였다. 유기물과 당 수준간의 상호작용도 신초길이와 배지 pH에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광도와 $CO_2$농도를 높인 광혼압영양배양에서 감자 소식물체의 생장에는 배지에 첨가되는 당은 유익하지만 그 이외의 유기물은 첨가하지 않아도 악영향이 없다는 것은 나타낸다.

한국에 있어서 답리작을 이용한 양질 조사료 생산기술 (Studies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n Paddy Field in Korea)

  • 서성;육완방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2년도 창립 30주년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5-56
    • /
    • 2002
  • The problems in the current domestic forage production were evaluated, and the prospective improvement was suggested in this paper. Grassland development in forest, production of high quality forages in upland and paddy land, efficient utilization of rice straw, development of new varieties of forages suitable for our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imported forages were described Among them, preferential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forages using paddy field after rice harvest . should be enlarged for domestic supply of forages in Korea. Several studies were carried out to select the promising forage crops and barley cultivars for whole crop silage production, to determine productivity, nutritive value and production cost of forages produced in paddy field, and feeding effect of forages with Hanuwoo and milking cow for whole crop silage with forages produced in paddy field, 1999 to 2001, and also discussed restraint factors and activation plans for enlargement of forage production in paddy land. The promising forage crops in paddy field were rye and barley for Middle region, and rye, barley, early maturing Italian ryegrass and wheat for Southern region. The promising barley cultivars for whole crop silage in paddy field were Albori in Suwon, Keunalbori, Milyang 92, Saessalbori, and Naehanssalbori in Iksan, and Keunalbori, Albori, Naehanssalbori, and Saegangbori in Milyang, respectively. Silage production, quality and animal palatability of silage by trench and round bale were also compared. The production yields of whole crop barley silage(WBS) were 17,135kg as a fresh matter, and 6,011kg as a dry matter per ha, and the quality of WBS was 2∼3 grade, while that of rice straw silage was 4 grade as a farm basis. The production cost of WBS per kg was 83won as a fresh matter, and 238won as a dry matter. Feeding of WBS as forages on Hanwoo was very desirable for the improvement of live-weight gain, beef quality and farm income, particularly in growing stage of Hanwoo. Milk production and income were also increased, and feed cost was decreased by feeding of WBS. The daily voluntary intake of WBS in milking cow was 26.3kg as a fresh matter(DM 7.7kg) per head. Milk production when WBS was fed, was very similar to that of imported hay feeding such as Kentucky bluegrass or domestic corn silage. The issues to be solved in near future f3r stable forage production and supply in paddy land are sustainable livestock-forages policy, development & seed production of new varieties of barley, rye, Italian ryegrass and other promising forages, efficient demand & supply system of forages, solidification for mass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forages, efficient application management of animal slurry on paddy field considering environmental agriculture/livestock industry, and break k development of bottleneck technique in production field. Domestic production & supply of high cost agricultural machine (round baler, wrapper, handler and so on), plastic wrapping film, and silage additives are also important.

  • PDF

딜의 수경재배에 적합한 배양액 개발 (Development of Optimum Nutrient Solution for Dill (Anethum graveolens L.) in Hydroponics)

  • 여경환;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9-309
    • /
    • 1997
  • 본 실험은 수경재배에서 딜의 양수분 흡수 패턴을 밝히고 생육과 환경특성에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여 실제 재배에 응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딜의 양분 홉수율에 의한 배양액을 조성하였으며 그 적합성을 검정하기 위해 기존배양액과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딜의 NFT재배에 적합한 배양액을 개발하기 위해서 일본야채시험장 표준액을 1/4배액, 1/2배액 및 1배액으로 조성하여 재배한 결과, 1/2배액에서 생육과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근권내 pH와 EC의 변화도 안정되었고, 식물체내 무기이온 합량도 적정치로 나타나 딜의 양분흡수특성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일본야채시험장 1/2 배액의 양수분 흡수율(n/w)을 기준으로 새로운 배양액을 조성하였으며, 이온의 조성은 NO$_3$―N 8.85, NH$_4$―N 0.55, P 2.1, K 6.2, Ca 2.8, Mg 1.7 me.L$^{-1}$였다. 딜의 순환식 NFT 재배용으로 개발한 배양액의 적합성 검정실험 결과, 근권내 pH와 EC는 저농도인 SCU 1/2배액을 제외하고는 변화폭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개발된 SCU 1배액은 기존에 허브 배양액으로 사용된 일본 야채 시험장 배양액과 비교할 때 생육과 수량면에서 우수하였으며, 엽내 무기성분 함량도 적정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개발된 SCU 배양액은 딜의 NFT재배에 적합한 배양액이라 할 수 있다.

  • PDF

고효율 태양전지(I)-$N^+PP^+$ 전지의 제조 및 특성 (High Efficiency Solar Cell(I)-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PP^+$ Cells)

  • 강진영;안병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2-51
    • /
    • 1981
  • 결정방위 (100)인 단결정 P형 실리콘 기판으로 N+PP+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뒷면의 P+층의 형성은 940℃에서 60분간 boron nitride를 사용하는 첫번째 boron predeposition과 boron glass를 제거하지 않고 1145℃에서 3시간 동안 행하는 두번째 predeposition으로 이루어지며 boron 확산층의 어닐링은 1100℃에서 40분간 하였다. 앞면의 N+ 층의 형성은 900℃에서 7∼15분동안 POCI3 source를 사용하는 Phosphorus Predeposition으로 이루어지며 어닐링은 800℃에서 1시간 동안 dryO2분위기로 하였다 금속전극층의 형성은 Ti, Pd, Ag의 순으로 앞, 뒷면에 이들 금속들을 질공증착한 후 사진식각을 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에 다시 전기도금을 하여 전체 전극층의 두께를 3∼4μm정도로 증가시켰다. 표면 광반사를 줄이기 위해 앞면에 400℃에서 silicon nitride를 입혔으며 마지막으로 550℃에서 10분간 alloy를 함으로써 금속전극의 신뢰도를 높혔다. 그 결과 제작된 면적 3.36㎠의 N+PP+ 전지들은 100mW/㎠의 인공조명하에서 단락전류 103mA, 개방전압 0.59V ,충실도 0.8을 보였다. 따라서 실제 전면적(수광면적)효율이 14.4%(16.2%)가 되어 BSF가 없는 N+P 전지의 11%전면적 변환효율에서 약3.5%의 효율이 개선되었다.

  • PDF

직접인장방법에 의한 SBR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의 부착강도 특성 평가 (Evaluation For Adhesion in Tension of SBR Polymer Modified Concrete Tensile by Uniaxial Method)

  • 윤경구;장흥균;이남주;이승재;홍창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17-126
    • /
    • 2001
  • 본 연구는 일반 콘크리트와 SBR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의 부착강도 특성을 분석하고자 신 구 콘크리트로 구성된 직접인장 시험체를 제작하여 부착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험체와 측정기의 연결장치가 $360^{\circ}$ 회전이 가능하도록 시험장비를 개선하여 시험체의 편심이 부착강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였다. 주요 실험변수로는 라텍스 혼입율, 표면 처리상태, 표면 함수상태로 정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라텍스 혼입률이 증가함에 따라 부착강도도 증가하였으며, 혼입률 15%에서 37%의 증진을 보였다. 이것은 라텍스가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 사이에 충전되어 필름 막을 형성하고 부착력을 증진시켰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표면처리에 따라 부착강도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샌드 그라인딩과 와이어 부러쉬에 의해 표면처리를 하였을 경우 부착강도는 단순 절단한 경우보다 약 49% 증가하였다. 표면함수 상태에 따른 영향을 고찰한 결과, 부착강도는 기존 콘크리트 표면이 건조하였을 경우에 가장 작게 나타났고, 자유수가 표면에 있을 때가 그 다음을 나타냈으며, 표면건조포화상태에선 37% 증가하여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착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표면처리와 표면함수상태의 유지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폴리카프로락톤을 이용한 3차원 다공성 지지체 제조 및 특성 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3-D porous scaffold by polycaprolactone)

  • 김진태;방중완;현창용;최효정;김태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8-65
    • /
    • 2016
  • 본 연구는 조직공학용 지지체로 사용될 막을 개발하기 위한 초도 연구 수행으로, 염화나트륨(NaCl)을 기공형성체로 혼합한 폴리카프로락톤(PCL)용액을 유리 캐스팅판에 분주한 후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다공성 PCL필름을 성형하였다. 성형된 필름은 건조 후 증류수에 침지시켜 NaCl을 추출하여 최종 멤브레인형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3차원 다공망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NaCl을 기공형성체로 이용하였으며 $4^{\circ}C$, 실온, $40^{\circ}C$의 세 가지 건조조건에 따른 다공망의 형성과 형태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 하였으며 기초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세포독성평가를 시행하였다. 세 가지의 건조조건별 결과에서는 실온 건조조건에서 거대기공과 미세기공이 혼재된 3차원 다공망이 우수하게 형성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세포독성 시험결과 ISO10993-5 규격의 세포독성 판단기준에 따라 grade 2(mildly cytotoxic)로 나타난바 생체용으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멤브레인형 다공성 지지체 제조에 건조조건이 3차원 다공망의 형성 및 거대기공과 미세기공이 함께 형성되는 것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다공성 멤브레인 지지체의 분해성 조절 및 약물 담지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에서 다공도의 조절에 대한 기초적인 공정이 될 수 있다.

통일벼의 등숙향상과 적고방지를 위한 묘대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Nursery for Better Ripening Percentage and Prevention of Leaf Discoloration of Rice Variety 'Tongil')

  • 최범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5권
    • /
    • pp.99-113
    • /
    • 1974
  • 1. 육묘성적. 통일품종을 보온절충묘대에서 육묘하는 경우 자료대와 노력이 표준터넬식에 비하여 크게 절약되는 평상식방법중 육묘성적이 표준터넬식에 의한 것과 비등할 만한 새로운 형을 고찰해 보고져 묘대설치 및 파종에 있어 최아의 유무, 묘대정지법, 복토의 종류, 중간피복의 4요인을 가지고 실험을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최아구는 최아구에 비하여 육묘성적전반에 걸쳐 현저히 불량하여 실용가치가 없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2) 묘대정지방법 즉 건묘대식과 수묘대식에 있어 통일품종은 성묘율과 최아기의 초장비가 건묘대식의 것이 우수하였고 기외의 묘소질에는 차이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3) 복토의 종류간에는 육묘성적에 전연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평상식에 있어 중간피복으로 볏짚을 중고형으로 덮은 것은 무피복구에 비하여 묘의 소질에 있어서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전자가 폴리에틸렌 피복기간중 저온 또는 과고온이거나 강우가 많을 경우엔 안전성이 훨씬 높을 것으로 보았다. 5) 평상식과 표준터넬식 간에는 육묘성적전반에 걸쳐 유의차가 인정도지 않았는데 이는 보통조식향 보온절충묘대인 관계로 폴리에틸렌 피복기간이 짧은데 주인이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6) 품종간에는 성묘율은 아끼바레가 통일에 비하여 높았고 묘령과 초장비는 반대로 통일이 아끼바레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으나 기타 요인에서는 별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2. 본답성적. 육묘성적이 좋았던 최아구의 묘와 일반묘대를 공시하여 주로 등숙비율, 수량, 적고발생정도를 알아 보고저 본답실험을 시행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량구성요소와 수량 및 적고발생정도에 있어 통일 아끼바레 두 품종이 다 표준터넬식, 볏짚 중고형중간피복 평상식, 보통평상식의 순으로 다소 좋은 경향이었으나 각 3자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2) 통일품종에 있어 수묘대구가 보온절충묘대구에 비하여 등숙비율과 수량은 현저히 떨어지고 적고발생정도도 높았다. 3) 아끼바래품종은 등숙비율 및 수량에 있어서 보온절충묘구는 수묘대구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져 통일품종과는 정반대의 현상을 나타냈는데 이는 호엽고 발생관계가 주인인 것으로 인정되었다. 이상의 육묘와 본답의 종합성적으로 보아 통일품종의 재배에 있어 등숙비율과 수량의 향상 및 적고방지를 위하여는 보온절충묘대로 육묘해야 되며 이를 위한 묘대양식으로서는 표준터넬식이 안전하다고 보나 볏짚을 중고형으로 중간피복을 하는 평상식도 이에 비등할만한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인정되었다.

  • PDF

전통적 방법에 의한 부각의 제조 및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Boogags by Traditional Methods and Improvement of Preservation)

  • 박재익;정계환;김봉섭;허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86-993
    • /
    • 1994
  • 전통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쑥 부각, 김 부각을 대두유(대조구)와 대두유+0.01% BHA, 대두유+0.01% tocopherol 등에서 튀겨 OPP비닐 포장하여 $4^{\circ}C(RH{\;}40{\pm}5%)$의 저온 저장, $25^{\circ}C(RH{\;}80{\pm}5%)$의 실온 저장을 하면서 부각에 함유되어 있는 유지를 추출하여 품질 특성과 전통적인 제품 합리화 공정을 보며, 부각식품의 제조는 원료를 물로 세척한 다음, 그늘에서 물빠짐을 한다. 여기에 찹쌀풍를 바르거나 버무려서 건조대에서 80%정도 2~3일 건조한 다음 열풍건조기로 수분이 13%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부각을 건조상태로 포장하여 제품화하거나, $160^{\circ}C$의 기름에서 10초간 튀겨 제품화 할 수 있었다. $4^{\circ}C$의 저온저장과 $25^{\circ}C$의 실온에서 저장할 때 부각제품 추출유지의 산가, 과산 화물가, TBA가 대체적으로 $4^{\circ}C$의 저온 저장에서는 낮게 나타났으며, 품질 변화량도 적었고, $25^{\circ}C$의 실온 저장에서는 자장시간이 경과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이 많이 증가하고 품질변화량이 컸다. 부각을 대두유(대조구)와 항산화제[(BHZ(0.01 %), tocopherol(0.01%)]을 첨가한 대두유에서 튀겼을 때, 항산화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저장에 따른 산가, 과산화물가, TAB가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자정 중 산화방지효과가 BHA가 자장 컸고 tocopheriol로 다소 안정되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부각의 질감(texture)을 주관적인 관능검사와 객관적 방법인 textu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저온 저장의 경우가 실온 저장의 경우 보다 품질이 양호하게 나타났고, 견고성(hardness)도 컸다.

  • PDF

소공간 실험구의 차광과 통풍에 의한 기온저감 효과 (Air Temperature Decreasing Effects by Shading and Ventilation at Micro-scale Experiment Plots)

  • 김현철;우지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39-4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ir temperature decreasing effects by shading and ventilation at micro-scale experiment plots, especially focused on the Wet Bulb Globe Temperature (WBGT) in outdoor spaces. To monitor the time-serial changes of Dry-bulb Temperature (DT), Globe Temperature (GT) and Relative Humidity (RH) in the wind blocking and shading conditions, Two hexahedral steel frames were established on the open grass field, the dimension of each frame was 1.5m(W)${\times}$1.5m(L)${\times}$1.5m(H). Four vertical side of one frame was covered by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to prevent wind passing through (Wind break plot; WP). The top side of the other frame was covered with shading curtain which intercept 95% of solar light and energy (Shading plot; SP). And, Another vertical steel frame without any treatment preventing ventilation and sunlight was set up, which represents natural conditions (Control plot; CP).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globe temperature (GT) was highest at WP showing $50.94^{\circ}C$ and lowest at SP showing $34.58^{\circ}C$. The GT of natural condition (SP) was $42.31^{\circ}C$ locating the midst between WP and SP. The difference of GT of each plot was about $8-16^{\circ}C$, which means the ventilation and shading has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ing the temperature. 2. WP showed the highest average dry-bulb temperature (DT) of $38.41^{\circ}C$ which apparently differ from SP and CP showing $31.94^{\circ}C$ and $33.15^{\circ}C$ respectively. The DT of SP and CP were nearly the same. 3.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RH) was lowest at WP showing 15.21%, but SP and CP had similar RH 28.79%, 28.02% respectively. 4. The average of calculated WBGT were the highest at the WP ($27.61^{\circ}C$) and the lowest at the SP ($23.64^{\circ}C$). The CP ($25.49^{\circ}C$) was in the middle of the others. As summery, compared with natural condition (CP), the wind blocking increased about $2.11^{\circ}C$ WBGT, but the shading decreased about $1.84^{\circ}C$ WBGT. So It can be apparently said that the open space with much shading trees, sheltering furnitures and well-delivered wind corridor can reduce useless and even harmful energy for human outdoor activity considerably in outdoor spa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