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nking Motive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9초

청소년기 문제성 음주 실태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Problem Drink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장승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2권
    • /
    • pp.372-396
    • /
    • 2000
  • This study focuses on high school students and aims not only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oblem drinking measures and drinking motives to cope but also to determine the factors to predict the negative consequences related to alcohol. 1,436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even big cities'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ever experienced drinking. The survey data identifi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inking motives to cope and 4 measures of problem drinking depending on gender and the school type. It should be noted that more girls and more students in vocational schools had experienced drunkenness rather than boys and students in academic schools unlike alcohol consumption, binge drinking, and negative consequences related to alcohol. Second, the use of alcohol to cope may place individuals at greater risk for alcohol problems. Four dimensions of problem drinking are moderately correlated to drinking motives to cope. Third, the result from logistic regressions indicated that factors related to drinking (binge drinking, drunkenness, and drinking reasons to cope) rather than demographic factors would be contributed more to one more as well as two more negative consequences. Especially, drunkeness seems to be the best factor to predict negative consequences related to alcoho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evention programs are suggested.

  • PDF

간호학과 남학생의 문제음주 실태와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Male Nursing Students)

  • 지은주;이은경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0-44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male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A total 126male nursing students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assess alcohol consumption, motives for drinking, and self-efficacy in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moderate and problem drinkers. Multivariate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these nursing students. Results: Problem drinkers was found to be related to young age (adjusted OR=0.83, 95% CI [0.71, 0.96], coping motives (adjusted OR=1.19, 95%CI [1.00, 1.42],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OR=0.96, 95% CI [0.93, 0.99]). Conclus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that coping motiv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play in the problems in the drinking behavior of male nursing students.

남성근로자의 음주동기, 음주거절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Drinking in Korean Male Employees for Drinking Motivation, Job Stres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 하영미;정미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8-56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motivation,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job stress and problem drinking, and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on employees' problem drinking. Methods: A total of 191 employees recruited from two worksit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 65.5% of employees has shown as hazardous drinking. Employees' problem drink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ping motives as a sub-factors of drinking motives (${\beta}$=.25) and social pressure as a sub-factors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beta}$=-.57), explained 51.2%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ealthy workplace culture for preventing employees' problem drinking should be builded. In addition, alcohol education program and effective employee assistance program need to be developed.

남자대학생의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가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rinking motives, refusal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on high risk drinking)

  • 이은경;박진화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1047-1057
    • /
    • 2016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 및 고위험음주의 관계를 파악하고 고위험음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대학생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를 동의한 139명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음주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음주결과기대, 음주량을 통한 고위험음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학년, 학과, 흡연 상태, 음주 동기 하위 영역 중 고양 동기, 음주거절효능감 하위 영역 중 사회적 압력 상황에서 음주거절효능감이 고위험음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을 위한 고위험음주 예방을 위한 중재 전략을 수립할 때 학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며 흡연 관리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고위험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흡연에 대한 금연교육과 함께 음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측면에 대한 교육과 건전한 방법으로 정서를 조절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Drinking behaviors by stress level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 Chung, Hye-Kyung;Lee, Hae-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2호
    • /
    • pp.146-154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stimate the stress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level and drinking behavior.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430 university students in the Gangwon area in Korea from November 5 to November 28, 2008, and data from 391 stu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The most stressful factor was "Worry about academic achievements" (2.86 by Likert-type 4 point scal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low stress group (${\leq}65.0$) and a high stress group (${\geq}66.0$), by the mean value (65.1) and median value (66.0) of the stress levels. The drinking frequency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stress groups, but the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The portion of students reporting drinking "7 glasses or over" was higher in the lower stress group than in the higher stress group. In addition, factor 6, "Lack of learning abi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inking frequency and the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P$ < 0.05), and factor 3, "Worry about academic achievem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mount of drinking ($P$ < 0.05). The major motive for drinking was "When overjoyed or there is something to celebrate" (2.62), and the main expected effect of drinking was "Drinking enables me to get together with people and shape my sociability" (2.73). The higher stress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everal items in the categories of motives ($P$ < 0.01), negative experience ($P$ < 0.05), and expected effects ($P$ < 0.05) of drinking than the lower stress group. Our results imply that university students at the lower stress level may drink more from social motives in positive drinking environments, while those at the higher stress level may have more problematic-drinking despite their smaller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개인의 가치가 음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음주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ersonal Value on Drinking Motive: Focus on Undergraduate Student Drinkers)

  • 김맹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6-384
    • /
    • 200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value and the motivation for drinking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 alcohol drinkers. Data were obtain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in alcohol consumption in Seoul, Kyeonggi-do, and Kyeongsangnam-do. Trained researchers for this particular study conducted the survey and data from 208 students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In this study, two personal values were examined: 'internal value' and 'external value', and four motives for drinking alcohol were identified: social motive, coping motive, enhancement motive, and conformity motiv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personal valu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motives for drinking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 alcohol drinkers: 1) The internal value was significant on the coping motive and enhancement motive. 2) The external value was significant on the social motive. 3) Neither value was significant on the conformity motiv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ersonal value would be a useful variable in the field of alcoholic beverage marketing such as alcohol consumption, consumer behaviors and segmentation of the alcoholic beverage market.

음주 동기, 문제음주 및 음주 가족력과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Motivation for Alcohol Use, Problem Drinking, Family Alcohol Use and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 서경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2호
    • /
    • pp.61-7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의 음주 행동과 데이트 폭력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이성과의 데이트 경험이 있는 440명의 대학생이었는데, 남학생이 184명이고 여학생이 256명이었다. 이들의 연령 분포는 17세에서 30세까지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0.08세(SD=1.89)였다. Straus의 갈등 책략척도(CTS), 알코올장애분류검사(AUDIT), Cooper의 음주동기 설문지(DMQ), 및 음주가족력목록(IFAU)을 참여자에게 주었다. 주요 통계분석은 2(성별) × 2(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 이원변량분석 이었다. 분석 결과, 일주일에 한번 이상 술을 마시는 대학생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데이트를 하면서 이성친구에게 폭력을 행할 가능성이 높았다. 여학생보다는 남학생들이 음주에 더 동기화가 되어 있었으며,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대처동기를 가지고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문제음주, 즉 위험음주, 의존음주, 유해음주를 더 하고,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문제음주를 더 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음주 가족력 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의존음주와 유해음주에는 성별과 데이트 폭력 가해 여부의 유의한 이원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단순주효과 분석 결과, 데이트 폭력 가해 여부에 따른 의존음주 혹은 유해음주의 차이는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 현저하게 나타났다.

  • PDF

춘천지역 대학생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Drinking by University Students in Chuncheon Area)

  • 김윤선;김복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34-942
    • /
    • 2014
  • 본 연구는 춘천지역 대학생 429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사회심리적 요인이 대학생의 문제음주정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평생음주율은 98.1%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제음주정도에서 전체 학년 모두 '위험음주'가 가장 많았다(P<0.001). AUDIT의 기준점을 8점으로 문제음주를 분류하였을 때 1학년(P<0.001)과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들(P<0.01)에서 문제음주자가 더 많았으며, 인지된 건강상태는 본인이 건강하다고 인지할수록 문제음주정도가 낮았다(P<0.001). 또한 어머니의 음주정도(P<0.05)가 많을수록, 음주시작연령이 빠를수록(P<0.001) 문제음주정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적 특성에 따른 문제음주정도에서 음주결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P<0.001)와 음주대처동기(P<0.001)는 문제음주정도가 커질수록 높고, 음주문화에 대한 인식도(P<0.001)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본인의 인지된 건강상태가 낮고, 음주시작연령이 빠를수록, 음주결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와 음주대처동기가 높을수록, 음주문화에 대한 인식도가 바람직하지 않을수록 AUDIT에 의한 문제음주정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음주결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가 높을수록 음주대처동기가 높고, 음주문화에 대한 인식도가 바람직하지 않으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대처동기가 높을수록 음주문화에 대한 인식도가 바람직하지 않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동아리 활동여부, 인지된 건강상태, 대학생활 만족도, 음주시작연령, 음주결과에 대한 긍정적 기대, 음주대처동기, 음주문화인식도, 자기효능감의 변인들이 대학생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독립변인들이 대학생의 문제음주정도를 27.0% 설명해 주고 있으며, 음주대처동기(${\beta}=0.283$, P<0.001)가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문제음주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기 위한 예방적 차원의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생들이 건전한 음주문화를 조성할 수 있도록 대학 내 음주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접근이 요구된다. 대학생들의 높은 음주율과 특히 1학년과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들에서 문제음주자가 높게 나타난 만큼 대학 당국에서는 신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절주 캠페인 및 교육을 실시하고 절주 동아리가 구성 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대학 내 음주관련 환경적 통제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음주대처동기가 과음 및 음주관련 문제행동을 증가시키고 알코올 의존으로 발전하게 하는 핵심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음주관련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정적 정서 또는 사건을 경험했을 때 대처수단으로 음주를 선택하는 자신의 음주습관을 통찰해 보고, 음주가 아닌 다른 대처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방법들이 개발 교육되어 문제성 음주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겠다.

대학생의 폭음 관련 사회인지적 요인과 음주 정도의 관계 - 지각된 음주규준의 역할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of Alcohol Drinking and Sociocognitive Factors on Binge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of Perceived Drinking Norm)

  • 류미;이민규;신희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1호
    • /
    • pp.63-79
    • /
    • 2010
  • 본 연구는 음주행동에 미치는 사회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학생 폭음 집단에서 음주와 음주 결과기대, 금주 자기효능감, 지각된 음주규준, 음주동기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은 e-mail로 이루어졌으며, Wechsler(1992)의 폭음(binge drinking) 정의에 해당하는 남학생 148, 여학생 152명, 총 300명의 폭음집단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폭음집단에서 음주정도와 음주동기, 지각된 음주규준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비폭음집단에서는 지각된 음주규준이 음주정도와 관련이 없었다. 또한 폭음집단에서 남녀 모두 친한 친구의 음주정도를 과대추정하였으며, 지각된 동료음주 규준과의 차이가 개인의 음주정도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보통의 대학생의 음주정도 추정과의 관련성에 있어서는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아울러 회귀분석을 통해 알코올기대, 금주 효능감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 지각된 음주규준이 음주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주정도에 미치는 지각된 음주규준의 영향을 음주동기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음주동기는 음주규준과 음주정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PDF

만성 간 질환자의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Drinking Behavior of Chronic Liver Disease)

  • 김태경;민혜숙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61-27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chronic liver disease that affects the drinking behavior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diagnosed with chronic liver disease outpatient visit were studied in 120 pati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8.0. Drinking behavior of chronic liver disease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significant(F=8.58, p<.001), drinking behavior of chronic liver disease a major contributor to the drinking habits(${\beta}$ = -.29, p = .004)was found in, followed by drinking motives(${\beta}$ = .20, p = .044),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beta}$ = -.17, p = .037), after which the diagnosis of the disease(${\beta}$ = .15, p = .041), respectively. These variables showed explanatory power of 44.1%. Drinking behavior is a serious health problem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The factors that influence drinking behavior by considering the management of chronic liver disease drinking continu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education is needed abstin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