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ainage Enforcement Algorith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하천 만곡부를 고려한 GIS 기반 침수지역 레이어 구축 (The Construction of GIS-based Flood Risk Area Layer Considering River Bight)

  • 이근상;유병혁;박진혁;이을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1
    • /
    • 2009
  • 홍수시 댐 방류에 따른 하류하천의 침수지역을 신속하게 가시화하는 것은 댐관리 업무에 매우 중요하다. 하천구간별로 모의된 홍수위를 기반으로 침수지역을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만곡부에서 나타나는 중복영역을 제거해야 된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분석모형 (COSFIM)과 FLDWAV 모델을 연계하여 하천 만곡부를 고려한 침수지역 가시화를 위해 배수강제 알고리듬을 적용하였다. 배수강제 알고리듬은 자동유역추출시 지형상의 함몰점을 제거함으로서 수문학적 처리연구 등에 장점을 주는 보간법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하류구간을 대상으로 하천만곡부를 고려한 침수지역 레이어 제작기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Arcobject 컴포넌트 기반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침수지역레이어 자동추출시스템은 시간측면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홍수범람가시화 업무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었다. 또한 침수지역 레이어는 IKONOS 위성영상과의 연계를 통해 홍수 재해관련 업무에 실감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Topogrid를 이용한 준평야지의 유역자동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shed Auto-Delineation of Low Topographic Relief Landscape Using Topogrid)

  • 김동인;이근상;이환주;조기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5-256
    • /
    • 1999
  • 유역추출은 수문학적 유역을 인식하기 위해 지표면을 흘러가는 물의 흐름을 추적하는 과정이다. 지표면의 물 흐름과 유역을 수작업 및 자동으로 추적하는 기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준평야지는 지형 특성상 유역추출에 많은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준평야지의 유역추출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루에서는 topogrid를 이용한 강제배수 알고리즘과 하천자료에 지형자료를 연계함으로서 준평야지의 유역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준평야지에서는 단순히 TIN을 구성하여 유역추출을 위한 Source Grid를 생성하는 것 보다 Topogrid를 이용한 강제배수 알고리즘이 유역추출을 위한 좋은 Source Grid를 생성해 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준평야지에서 표고와 하천자료를 연계하여 유역을 자동추출하여 수작업에 의한 유역과 비교한 결과 상당히 좋은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GIS 자료와 연계한 시나리오별 홍수피해액 분석 (Flood Damag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cenarios Coupled with GIS Data)

  • 이근상;박진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1-80
    • /
    • 2011
  • 우리나라는 홍수피해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간편법과 개선법을 사용하다가 현재는 2004년도에 개발된 다차원 홍수피해액 산정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 자료를 기초로 다차원 홍수피해액 산정기법을 이용한 댐 하류지역의 홍수피해액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배수강제알고리듬에 기초한 횡단측선 레이어에 FLDWAV 모델을 이용한 홍수위 자료를 입력한 후 DEM 자료와의 공간연산 처리를 통해 침수심 격자를 생성하였다. 그리고,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건물 레이어와 토지피복도에서 추출한 농경지 자료를 이용하여 지자체별 건물과 농경지 자산가치를 평가하였다. 또한 건축형태별 건축단가, 도시유형별 가정용품 평가액, 농작물 단가정보, 사업체의 유형 및 재고자산 평가액 자료를 건물, 농경지, 침수심 레이어와 연계하여 항목별로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홍수피해액 분석을 통해, 200년 빈도의 홍수피해액이 100년, 50년, 10년 빈도에 비해 각각 1.19배, 1.30배 그리고 1.96배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