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d-haploid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4초

연초(Nicotiana tabacum L.) 새포질 웅성불임 $F_1$과 Nicotiana africana의 종간 교배에 의한 반수체 식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Haploid Plants Derived from Interspecific Cross between Cytoplasmic Male-sterile Tobacco $F_1$(Nicotiana tabacum) and Nicotiana africana)

  • 정윤화;금완수;조명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49-654
    • /
    • 1995
  • 연초(N. tabacum L.)의 세포질 웅성불임 F$_1$ 식물체와 N. africana의 종간교배에 의한 웅성불임 반수체식물의 육성 및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MS NC82$\times$burley 21) F$_1$과 N. africana의 종간교배에 의한 세포질 웅성불임 반수체 식물의 출현빈도는 삭당 0.5주로 나타났다. 2. 종간교배으로 얻은 웅성불임 반수체식물 중 잎과 줄기의 색이 green(황색종)과 yellow(버어리종)의 분리비는 3 : 1로 나타났다. 3. 반수체 식물 중 잎과 줄기의 색이 yellow(버어리종 type)인 개체에 TMV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저항성과 이병성의 비는 1 : 1로 나타났다. 4. (CMS MC82 Burley 21)F$_1$과 N. africana의 종간교배으로 세포질 웅성불임 isogenic Burley 21 반수체 식물의 육성이 가능하였고 이 반수체 식물의 염색체를 배가함으로써 여교배육종법에 비하여 조기에 세포질 웅성불임 Burley 21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담배 식물체[Nicotiana tabacum L. cv. BY-4]의 배수성에 따른 공변세포의 엽록체 수 변화 (Changes of Chloroplast Number per Guard Cell pairs of Leaves by Ploidy Level in Nicotiana tabacum L. cv. BY-4)

  • 배창휴;이연희;양덕춘;민경수;김호일;이호연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79-184
    • /
    • 2001
  • 담배 정상주 (Nicotiana tabacum L. cv. BY-4), 약배양으로 유도시킨 반수체 (2n=2x=24), 콜히친 처리로 염색체를 배가한 식물체 (2n=4x=48)및 그 후대식물체 (F$_1$)를 각각 사용하여 배수성에 따른 공변세포 내 엽록체 수를 조사하였다. 공변세포 내 엽록체의 수는 정상주에서 반수체의 2배로 배수성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반수체를 콜히친으로 배가시킨 식물체에서 공변세포 내 엽록체의 수는 반수체의 2배로 배수성이 회복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배체의 후대식물에서도 공변세포 내 엽록체의 수는 반수체의 2배로 나타났다. 엽령에 따른 공변세포 내 엽록체 수의 변동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공의 공변세포 내에 분포하는 엽록체 수와 배수성 (2x와 4x)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기내에서 생장한 식물체에서 공변세포 내 엽록체의 수는 pot 재배식물체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잎의 공변세포 내 기공수는 배수성을 간단하게 판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Development of Clubroot Resistant Doubled-Haploid Inbred Lines in Kimchi Cabbage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 Park, Suhyoung;Jang, Hayoung;Park, Min Young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37-37
    • /
    • 2015
  • Kimchi cabbage (Chinese cabbage), radish and Cabbage are major Brassicaceae vegetables in Korea. Especially, we can easily develop whole plant from one microspore in Kimchi cabbage. To develop clubroot resistant doubled-haploid (DH) inbred lines, we pollinated a clubroot resistant turnip of 'IT 033820' with a Kimchi cabbage (Chinese cabbage) inbred of 'BP 079'. More than 85 DH inbred lines were developed from this combination. We screened about 400 materials including these DH inbred lines, commercial cultivars and breeding materials during 3 years using hydroponic system after inoculating single spore isolation race 4(SSI-04) inoculate. One inbred line derived from this combination selected as clubroot resistant and registered as 'Wonkyo20036ho'. We inoculated 26 DH inbred lines derived from 'Zoong-baek 2ho' using SSI-4, the percent of resistant plants varied from 0 to 83%. However the horticultural traits of highly resistant DH inbred line was poor. Thus we selected one DH line showing 77% resistant with yellow inner leaf and maid good head, was registered as 'Wonkyo20034ho'. Another DH inbred line derived from Korean variety of 'Wol-dong' showing 86% resistant was registered as 'Wonkyo20037ho'. Other DH inbred lines were derived from Chinese cultivar of 'Choon-hi-go-hang-wang' and 'Hwang-shim-zo48' showed 80 and 71% resistant, respectively, was also selected for registration. Even though DH inbred lines derived from turnip showed highly resistant to SSI-04 and provincial inoculate, they showed poor characteristics in horticultural traits. However, commercial seed companies showed interesting for adapting these DH inbred lines in commercial breeding.

  • PDF

밀 반수체 생산에서 식물생장조절제의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Haploid Production of Wheat)

  • 김영진;이광원;김학신;정영근;박광근;김기종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0-55
    • /
    • 2011
  • 반수체 육성은 육종연한을 단축시키기 위해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는 밀 품종 조기 육성을 위한 반수체 육종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반수체 육성시 식물생장조절제 처리가 배 배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한 것이다. 밀 이삭의 제웅 작업을 수행하고 옥수수와 원연교잡한 후 종자결실은 2,4-D 및 2,4,5-T 150 mg/L, dicamba 50 mg/L 처리에서 가장 좋았으며, 배형성은 2,4-D 및 2,4,5-T 100 mg/L, dicamba 50 mg/L 처리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배 형성과 반수체 생산은 2,4-D 100 mg/L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2,4-D 150 mg/L에서는 배의 발달과 재분화가 억제되었다. 식물생장조절제의 처리 시기는 옥수수 화분으로 수정한 후 24시간이 지난 후에 처리하는 것이 반수체 생산에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QTL Analysis of Protein Content in Double-haploid Lines of Rice

  • Qin, Yang;Kim, Suk-Man;Sohn, Jae-K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65-171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main-effect QTLs, epistatic QTLs and QTL-by-environment interactions (QE), which are involved in the control of protein content. A population of 120 doubled haploid (DH)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amgang' and 'Nagdong', was planted and determined for protein content over three years. Based on the population and a genetic linkage map of 172 markers, QTL analysis was conducted by WinQTLcart 2.5 and QTLMAPPER. Three main-effect QTLs affecting protein content of brown rice were detected from 2004 to 2006 on chromosomes 1 and 11. The qPC11.2 was repeatedly detected across two years. Seven pairs of epistatic loci were identified on eight chromosomes for protein content and collectively explained 39.15% of phenotype var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pistatic effects might be an even more important component of the genetic basis for protein content and that the segregation of the DH lines for protein content could be largely explained by a few main-effect QTLs and many epistatic loci.

Inheritance of Herbicide (glufosinate) Resistance in Transgenic Rice Plant through Anther Culture

  • Kang, Hyeon-Jung;Kim, Hyun-Soon;Nam, Jeong-Kwon;Lee, Young-Tae;Lee, Seung-Yeob;Kim, Chung-Kon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1-214
    • /
    • 2008
  • Haploid system by anther culture allows the development of homozygous lines when doubled. The response of anther culture to Basta (glufosinate) resistance was investigated on transgenic plants (cv. Anjungbyeo) in order to identify inheritance of bar gene associated with Basta. Most of the regenerated transgenic plants were sterile, and only a few plants produced viable seeds ($A_1$) in the greenhouse. The bar gene was analysis by PCR in basta resistant transgenic plant ($TA_0$). The transgenic seeds ($A_1$) were significantly germinated in Basta solution compared with non-transformed seeds. As a result of anther culture, in regenerated haploid plants, segregation ratio was 1:1 in five of eight cross combinations. In diploid plants, segregation ratio was 1:1 in seven of eight cross combinations. Although there was some differences in the cross combinations, most of the combinations had 1:1 segregation ratio which supports the theory. The difference may be a result of the small sample size or the difference of anther culture response caused by genotypic difference. Hence, when many cross combinations were anther-cultured the results would support the theory.

버어리종 역병저항성 계통 KB 104와 KB 106의 육성경과 및 특성 (Development of Black Shank Resistant Burley Tobacco Germplasm, KB 104 and KB 106, and Their Characteristics)

  • 조천준;김대송;정석훈;최상주;조명조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1
    • /
    • 1995
  • Black shank(Phytophthora parasitira roar. nicotianae) resistant burley tobacco (Nicotiana tabacum L.) germplasms, KB 104 and KB 106, were developed by Korea Ginseng & Tobacco Research Institute. KB 104 was developed from the single cross of Burley 21$\times$Newton 77, using a modified pedigree method. KB 104 was highly resistant to black shank, and its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ntent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Burley 21, and value per 10a was slightly higher than Burley 21, KB 106 is a maternally derived doubled haploid made by N. africana method from the single cross of Burley 21$\times$ Va 509. KB 106 was also highly resistant to black shank, had two more harvestable leaves per plant and flowered three days later than Burley 21 did. Total alkaloid and nicotine contents of KB 106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Burley 21. But its nornicotine content was higher than Burley 21 5. Key wads : Burley tobacco germplasm, Black shank resistance.

  • PDF

유채 잡종 1세대의 소포자 배양에 의한 배가반수체 집단 선발 및 지방산 조성 분석 (Production of doubled haploid population derived from the microspore culture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F1 generation and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 이지은;박주현;김광수;안다희;차영록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74-81
    • /
    • 2022
  • 유채(Brassica napus)는 배추와 양배추의 자연 교잡에 의해 만들어진 이질사배체 작물(AACC, 2n = 38)로, 유채유를 생산하는 기름 작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올레산 함량이 높은 유채 EMS26 계통과 J8634-B-30 계통의 잡종 1세대 소포자를 이용하여 배양을 실시하였고, 재분화 식물체의 배수성을 검정하고 배가반수체 집단을 선발하여 C18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꽃봉오리의 크기에 따른 소포자 발달 단계를 확인하였으며, 소포자 배 발생 효율이 높은 1핵기 말과 2핵기 발달 단계를 보이는 꽃봉오리 크기는 2.6 ~ 3.5 mm였다. 본 크기의 꽃봉오리만을 이용하여 소포자 배양을 실시하였으며, 배양 10일 후에 구형배와 심장형배가 관찰되었다. 소포자배는 캘러스를 형성하여 2차배로 발달하였으며, 이후 발달된 multilobe로부터 108 계통의 재분화 식물체를 획득하였다. 재분화된 식물체의 배수성은 4배체가 66.7% (72계통)로 다수였으며, 8배체는 27.8% (30계통), 그리고 2배체는 5.6% (6계통)로 확인되었다. 각 배수성에 따른 기공 세포의 크기는 4배체, 8배체, 2배체 각각 25.5 ㎛, 35.6 ㎛, 19.9 ㎛로 나타나, 배수성과 세포 크기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중 4배체 배가반수체 식물체 62계통을 선별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 올레산(C18:1) 함량은 72.3%, 리놀레산(C18:2) 11.8%, 리놀렌산(C18:3) 6.2%로 나타났다. 특히 올레산 함량이 가장 높은 계통은 DH22 계통으로 77.6%였으며, 리놀렌산 함량은 DH19계통에서 13.4%로 가장 높았다. 또한 모부본 보다 높은 올레산과 리놀렌산 함량을 보이는 계통은 각각 5개와 14개로 초월 분리(Transgressive segregation) 현상을 보였다. 이렇게 확보된 배가반수체 유전 집단은 유채의 불포화 지방산 생합성 기작 및 관련 유전자 탐색에 활용 가능하며, 올레산 함유량이 높은 계통들은 고품질 유채유 생산 품종 육종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벼의 낱알 특성에 관여하는 양적형질유전자좌 분석 (Genetic Mapping of QTLs that Control Grain Characteristics in Rice (Oryza sativa L.))

  • 홈레지나와세라;피카아유사피트리;이현숙;윤병욱;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925-931
    • /
    • 2015
  • 미립 품질 향상을 위하여 미립 형태를 결정하는 특성을 위한 분자육종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미립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를 탐색하고, 이들 환경요인과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디카 품종인 ‘청청’과 자포니카형인 ‘낙동’이 교배된 조합 F1의 약배양에 의해 양성된 120 계통(DH 집단)과 217개의 DNA 마커를 이용하여 전체 길이가 2,067cM이고, 마커간 평균거리가 9.5cM인 유전자 지도를 작성하였다. 미립형태 관련 유전자좌 분석에서 미립의 외형인 길이, 폭, 두께, 장폭비, 천립중과 관련하여 14개의 QTL이 탐색되었다. 현미의 미립길이 관련 3개의 QTL (qGL2, qGL5, qGL7), 미립 폭 관련 3개의 QTL (qGW2-1, qGW2-2, qGW2-3), 미립 두께 관련 1개의 QTL (qGT2), 장폭비 관련 6개의 QTL (qLWR2-1, qLWR2-2, qLWR2-3, qLWR2-4, qLWR7, qLWR12) 및 천립중 관련 1개의 QTL (qTGW8)이 선발되었다. 미립 장폭비 관련 4개의 QTL은 미립길이와 미립두께에서 동일한 염색체 상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명된 QTL 마커들은 쌀 품종개량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