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mediating effect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8초

컴페션(Compassion)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감정과 긍정심리자본의 이중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mpassion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Doubl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고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123-13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 내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감정, 긍정심리자본, 그리고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하는 것이고, 이중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사회복지 10개 시설 내의 사회복지사들 369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사들이 받는 컴페션이 긍정적 감정과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긍정심리자본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또한 컴페션과 조직 동일시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과 긍정심리자본의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컴페션과 조직 동일시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과 긍정심리자본의 이중매개효과를 실증했다는 이론적 시사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표본의 일반화를 표본수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긍정적 정체성의 매개효과 검증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Effects of the Subjective Family Class on the Suicide Ideation of Adolescents: Doub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 Kim, Jiyoun;Ko, 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9-278
    • /
    • 2020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family class and suicidal ideation and to determin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on their relationship.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2015 Korean Psycho-social Anxiety which was a population-based representative was performe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on suicidal ide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6) with bootstrapping methods. Results: Subjective family class directly influenced social support (β=.20, p<.001) and sense of coherence (β=.10, p<.001). Subjective family class directly influenced suicide ideation (β=-.08, p<.001). Sense of coherence was directly influenced by social support (β=.28, p<.001). Suicide ideation was indirectly influenced by subjective family class through social support (β=-.22, p<.001) and sense of coherence (β=-.36, p=.001). The size of direct effect of subjective family class on suicide ideation was 0.24 and the total size of indirect effect was 0.12. Conclusion: Intervention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herence is needed to prevent the suicide among adolescents.

맞벌이 가정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모화 경험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과 외로움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Effect of Upper Elementary Children's Parentification on their Smartphone Dependency in Double-Income Families: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 김두영;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59-474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 smartphone dependency of upp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ouble-income families and to verify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sequen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The participants were 311 upper-elementary school students (4th to 6th graders; 126 boys, 40.5%) in doubleincome households resid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Mplus 8.7 softwa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direct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the smartphone dependency of the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l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mediated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smartphone dependency, while loneliness did not. Lastly, parentification influenced smartphone dependency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ng chann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terventions for smartphone-overdependent children from double-income families should place emphasis on children's psychological difficulties attributed to parentifi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lleviating the level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loneliness to address the issue of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in double-income families, suggesting possible involvement and support at both household and societal levels.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s of Gender Role Attitudes on Marriage Life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among Women of Double Income Household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 김주현;문영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2호
    • /
    • pp.109-126
    • /
    • 2010
  •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i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would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 of gender role attitudes of women from double income households on their satisfaction of work and marriage. A structural modelof gender role attitudes was se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as the mediating variables, and work satisfaction and marriage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713 married women from double income households and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the first year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collected by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Using SPSS 15.0 softwar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gathered, and frequency and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AMOS 7.0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both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The results indicate that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gender role attitudes on work and marriage satisfaction among women from double income households. Notably, work-family enhancement had a greater effect than work-family conflict, which suggests that the elements of work-family enhancement, which are the positive aspects of work on family and family on work, should be promoted. It is, however, also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resolve work-family conflict 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work and marriage among women from double income households.

  • PDF

클라이언트 폭력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반응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태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s Job Response)

  • 윤일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23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 job response.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between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 job response was empirically analyzed. 257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ent violence, job stress, job attitude, social support, and job response variables. Client violence was affecting variables related to social worker job response. Second, job stress, job attitude, and social support had multiple mediating effects. The parallel mediation effect an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were verified. Third, job attitude was found to be a variable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Fourth,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double mediating effect variables. In response, programs and manuals suitable for the typ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policy basis for preparing countermeasures for social workers were limited, and follow-up studies on various variables were suggested.

직장인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감 사이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효과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Impulsivity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among Office Workers)

  • 권세용;김형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55-36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대전, 충남, 충북 4개 시도에 근무 중인 직장인들이며 응답자는 총 286명이다. 통계는 기술통계, 차이검정(t-test, ANOVA), 상관분석, 이중 매개효과 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이분석 결과 본 연구대상의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월급여 등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우울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충동성 및 우울감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충동성 및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충동성은 우울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이중 매개효과 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감 사이에서 자아탄력성과 충동성은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충동성 및 우울감 저하를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자아탄력성 중심으로 하는 이론적 방안을 논의 및 제시하였다.

중년성인의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에 대한 융합연구: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 효과 (A Converged Study on the Influence of Subjective Social Class on Suicide Ideation of Middle Aged Adults: Doub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 고영;김지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08-11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45~64세) 남녀를 대상으로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이중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대상자의 주관적 사회계층이 자살생각에 영향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병렬 이중 매개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 동거인 여부와 우울을 보정한 상태에서 독립변수인 주관적 사회계층은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β =0.23, p<.001)와 자아존중감(β =0.12, p <.001)에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β =0.21, p<.001). 종속변수인 자살생각에 주관적 사회계층(β =-0.25, p<.001), 사회적 지지(β =-0.32, p<.001)와 자아존중감(β =-0.19, p=.001)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주관적 사회계층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자살생각에 미치는 간접효과와 주관적 계층이 사회적 지지 그리고 자아존중감을 거쳐 자살생각에 이르는 다중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중년성인을 대상으로 생활터 기반의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는 중년성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기여하여, 자살예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의 이중 매개효과 (Doubl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Feeling of Happin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안재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62-77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이중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녀 고등학생 245명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 검사, 정서빈도검사, 감사성향 척도 및 주관적 행복 척도를 사용하였다. 직렬적 이중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형 6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 감사성향 및 행복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은 감사성향이나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감사성향도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직렬로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행복에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주관적 웰빙 수준과 감사성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s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Displaced Aggression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 금다정;정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09-62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대학생 406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AMOS, Mplu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내면화된 수치심, 거부민감성, 전위공격성은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 관계에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전위공격성의 관계에서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황과 대상에 대해 과도하게 공격성을 나타내는 대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위공격성을 다루는 상담 장면에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College Life Adaptabil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 Il-Hyun, 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245-254
    • /
    • 2022
  • This study is a study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ulti-mediated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For this study, 216 university students were enrolled. For the collected data, SPSS Process macro was us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and multiple serial mediating effects on major satisfaction, job str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college life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 path of simple mediation and double media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the program for revitaliza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activities in the major field and improve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ability and follow-up research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