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uble Number Lin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19초

수 개념 학습에서 수직선의 도입과 활용 (The Introduction and the Use of Number Line on the Learning of Number Concept)

  • 김양권;홍진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31-456
    • /
    • 2016
  • 본 연구는 수직선의 적절한 도입 시기와 활용 방법을 탐구하여 초등학생들의 수개념 학습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 개념 형성을 위한 수학적 모델인 수직선, 빈 수직선, 이중 수직선과 수 세기와 수 개념의 발달유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실제 초등학생들의 수직선 도입 시기와 활용 방법에 대한 사례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수직선 도입을 2학년부터 실시하여 수직선의 은유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어지는 수 개념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덧셈과 뺄셈과 같은 연산과정에서 다양한 사고 전략을 시각적으로 그려낼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인 빈 수직선과 곱셈적 비교 상황이나 나눗셈이 이루어지는 상황인 등분제와 포함제, 비율이나 비례배분의 이해를 위한 시각적 모델인 이중 수직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직선이나 빈 수직선, 이중 수직선을 도입할 때, 수직선의 은유적 개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안내와 활용 방법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Polarization of Double Peaked Active Galactic Nuclei

  • 이희원
    • 천문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53.2-53.2
    • /
    • 2011
  • A small number of active galactic nuclei are known to exhibit prominent double peak emission profiles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relativistic accretion disk model. Using a Monte Carlo technique, we compute the linear polarization of a double peaked broad emission line. A Keplerian accretion disk is adopted for the double peak emission line region and the Schwarzschild geometry is assumed in the emission region. Far from the accretion disk where flat Minkowski geometry is appropriate, we place a scattering region in the shape of a spherical shell sliced. We generate a line photon in the accretion disk in an arbitraray direction in the local rest frame and follow the geodesic of the photon until it hits the scattering region. The profile of the polarized flux is mainly determined by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scattering region with respect to the emission source. When the scattering region is in the polar direction, the linear degree of polarization also shows a double peak structure. Under a favorable condition we show that up to 1% of linear degree of polarization may be obtained.

  • PDF

비례 추론을 돕는 시각적 모델에 대하여: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를 대상으로 (Visual Representations for Improving Proportional Reasoning in Solving Word Problems)

  • 임재훈;이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189-206
    • /
    • 2015
  • 비례 추론에 관한 여러 연구에서 학습 지도 개선 방향으로 시각적 표상의 활용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초등학교 교과서의 비와 비율,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에 사용되고 있는 시각적 표상은 질적인 면에서나 양적인 면에서나 매우 제한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교과서의 비례식과 비례배분 내용을 시각적 표상에 주목하여 분석하고, 시각적 표상의 적극적인 활용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적 논의를 전개한다. 이중수직선 모델과 이중테이프 모델은 각각 다중 묶음 관점과 변동 부분 관점에서 비례 맥락에 내재된 공변 관계와 불변성을 인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초등학교 교과서의 비례식 및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의 유형별로 이중수직선 모델과 이중테이프 모델이 어떻게 기능할 수 있는지를 논의함으로써 예시하였다. 초등 수학 교과서의 비례식 및 비례배분 실생활 문제의 각 유형은 두 관점(다중 묶음 관점과 변동 부분 관점) 및 두 모델(이중수직선 모델과 이중테이프 모델)과 모두 연결될 수 있다. 이 논문의 분석은 비례식과 비례배분 교재 구성 및 수업에서 시각적 표상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시각적 모델을 활용한 비례 추론 수업 분석: 비표, 이중수직선, 이중테이프 모델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Lessons to Teach Proportional Reasoning with Visual Models: Focused on Ratio table, Double Number Line, and Double Tape Diagram)

  • 서은미;방정숙;이지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791-810
    • /
    • 2017
  • 본 연구는 비례 추론에서 형식적 절차의 기계적 사용에 대한 비판과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시각적 모델의 사용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비례 추론 수업에서 시각적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6학년 2학기 비례식과 비례배분 단원을 비표, 이중수직선, 이중테이프 모델을 활용한 수업으로 구성하여 한 학급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시각적 모델이 비례의 의미를 이해하고 비의 성질 및 비례식의 성질을 발견하는 데, 그리고 비례식 문제 및 비례배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시각적 모델을 활용하는 데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이를 지도할 때 유의할 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시각적 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과서 개발 및 비례 추론 수업에 대한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INEAR POLARIZATION OF A DOUBLE PEAKED BROAD EMISSION LINE IN ACTIVE GALACTIC NUCLEI

  • Lee, Hee-Won
    • 천문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59-65
    • /
    • 2011
  • A small number of active galactic nuclei are known to exhibit prominent double peak emission profiles that are well-fitted by a relativistic accretion disk model. We develop a Monte Carlo code to compute the linear polarization of a double peaked broad emission line arising from Thomson scattering. A Keplerian accretion disk is adopted for the double peak emission line region and the geometry is assumed to be Schwarzschild. Far from the accretion disk where flat Minkowski geometry is appropriate, we place an azimuthally symmetric scattering region in the shape of a spherical shell sliced with ${\Delta}{\mu}=0.1$. Adopting a Monte Carlo method we generate line photons in the accretion disk in arbitrary directions in the local rest frame and follow the geodesic paths of the photons until they hit the scattering region. The profile of the polarized flux is mainly determined by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scattering region with respect to the emission source. When the scattering region is in the polar direction, the degree of linear polarization also shows a double peak structure. Under favorable conditions we show that up to 0.6% linear polarization may be obtained. We conclude that spectropolarimetry can be a powerful probe to reveal much information regarding the accretion disk geometry of these active galactic nuclei.

초등학생의 수직선 이해와 사용의 어려움 (Difficulty of understanding and using the number lin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양권;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85-101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수 개념과 관련하여 수직선을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또 그 학습의 어려움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직선 은유가 수 개념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살펴보았고, 프로이덴탈의 수 개념지도론에서 수직선의 역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제 초등학생들의 수직선에 대한 이해와 사용의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검사는 수직선에 주어진 위치에서 적절한 수를 대응시키는 문항과 학년별로 수직선이 활용되는 관련 단원 내용을 묻는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같은 내용과 구조의 문항이지만 수직선으로 표현된 것은 해결하지 못하면서 수 트랙이나 다른 그림으로 표현된 것은 해결하는 학생들이 다수 관찰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수 트랙, 그림, 빈 수직선, 이중 수직선등)를 활용하여 수직선 이해의 어려움을 보완하고 관련 수 개념 학습을 돕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일본 교과서에 제시된 이중 척도 모델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Double Scale Models in the Japanes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서은미;조선미;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29-48
    • /
    • 2019
  • 이중 척도 모델은 서로 다른 두 척도를 이용하는 시각적 모델로(정영옥, 2015), 그동안 이중 척도 모델에 관한 국내 연구는 주로 이중수직선에 한정되어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교과서에 이중 척도 모델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중 척도 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일본 교과서를 분석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이중 척도 모델이 제시된 단원의 학습 내용, 제시 목적, 형태의 변화 과정 및 문제 맥락의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이중 척도 모델은 곱셈과 관련된 학습 내용을 연결하여 지도하는 데 유용한 시각적 모델이며 특히 비율 맥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년에 따라 이중 척도 모델의 제시 목적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형태를 단계적으로 도식화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이중 척도 모델의 체계적인 활용 방안에 관해 시사점을 제시한다.

OFDM 기반의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이진 터보 부호 성능 연구 (Study on Performance of Double Binary Turbo Code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s Base on OFDM)

  • 김진영;차재상;김성권;이종주;김재현;이종훈;김은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93-199
    • /
    • 2009
  • 전력선 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기술은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 솔류션 중 높은 잠재력을 갖고 있는 후보로서 논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LC 채널에서 이중 이진 터보 부호(DBTC : Double Binary Turbo Code) 성능에 대해 연구하였다. PLC 채널 환경을 만들기 위해 Bernoulli-Gaussian 잡음을 고려하였다. 시스템 성능은 비트 오류 확률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실험 결과로부터 이중 이진 터보 부호화는 상당한 부호화 이득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터보 복호 과정에서 복호 횟수를 증가시킴에 따라서 시스템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삼상전력계통의 비대칭고장전류 저감을 위한 초전도한류기의 전류제한특성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s of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for Reduction of Unsymmetrical Fault Current in a Three-Phase Power System)

  • 김영민;임성훈;황종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8
    • /
    • 2010
  • In this paper, the limiting characteristics of the fault current in a power system with a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SFCL) applied into neutral line of main transformer in a distribution power line were analyzed. The SFCL applied into the neutral line of main transformer power system can limit the unsymmetrical fault current from the single-line ground fault or the double-line ground fault. In addition, it could be decreased a number of SFCL and a load. This method could be expected to reduction of a power loss in the neutral line, because of a neutral line current is zero in ordinary times.

  • PDF

765 kV 교류 2회선 송전선 하의 인체 및 자동차에 유도되는 전압, 전류 계산 (Calculation of the induced voltage and current for a human and a car close to 765 kV AC double circuit transmission line)

  • 민석원;김응식;명성호;이병윤;박종근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5권2호
    • /
    • pp.301-309
    • /
    • 1996
  • This paper estimates the electric field effect near 765[kV] AC double transmission line with numerical data. The induced voltage and current of a human and car under who kinds of phase arrangement are calculated when each of two objects is insulated or grounded. When the calculated results of the low-reactance and superposition phase arrangement are compared, it is proved that the induced voltage and current of the former are about 30 [%] smaller than that of the latter. The induced current of a human and car are less than 0.5[mA] which is about 10[%] less than that of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 Code. Also the induced voltage and current of dead lines by other live lines are calculated. Finally the effective number and position of shield wires to reduce the field in ground level are considered. charge simulation method and surface charge method are used to simulate the 2 or 3 dimensional transmission line model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