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san Seow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3초

도산서원의 건축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와 공간적 의미의 평가 (Understanding Architectural Heritage of Dosan Seowon and Assessing its Spatial Significance)

  • 유영찬;호세피나 비 알폰소;김곤
    • KIEAE Journal
    • /
    • 제8권5호
    • /
    • pp.17-22
    • /
    • 2008
  • Dosan Seowon, one of the earliest and most prestigious private Confucian academies in Korea, is an example of a heritage property citizens wish to sustain for the benefit of future generations. It is recognized of its contribution to the Korean society and as an architectural and historical interest. This study conducts architectural and cultural research about Dosan Seowon by scrutinizing its evidential, historical, aesthetic and spatial values.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cognize how appreciated qualities are vulnerable to harm through only understanding their heritage values without practical management solutions. That understanding should then provide the basi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management strategies (including maintenance, cyclical renewal and repair) that will best sustain the heritage values in a physical aspect. The conclusion suggests that communication about Dosan Seowon among those who are concerened is significant.

예안(禮安) 군자리(君子里)의 후조당(後彫堂) 연구(硏究) (A Study on Hoojo-dang in Gunja-ri, Yeaan)

  • 서치상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4호
    • /
    • pp.21-34
    • /
    • 2002
  • Hoojo-dang is the Beol-dang of Gwangsan Kim's family in Gunja-ri, Yeaan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architectural drawings of the building through actual measurement, and by investigating documentary records of Kim's family, to trace and infer when the building was originally constructed. In doing this, it enable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architectural types and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Hoojo-dang was established in 1567 by Kim Bu-pil(1516-1577). From the beginning, Hoojo-dang, Byeol-myo(family shrine) and Ju-sa(shrine kitchen) were situated in the separate area from An-chae(main building). Later the Ik-rang(additional transept part) of Hoojo-dang was added to its main body as a room for entertainment. 2) The types of floor plan and windows of Hoojo-dang are similar to those of the lecture halls of Dosan-seowon, Sosu-seowon and Yeaan-hyangyo nearby. The main reason for the similarity of floor plan and window types in those buildings is that the students of the great Korean Confucian, Lee Hwang in 16th, managed and controlled those constructions. 3) The separate area composed of Hoojo-dang, Byeol-myo and Ju-sa was mainly designed for satisfying Confucian ceremonial principles. In addition, there are lifting doors designed for elevating the spatial flexibility.

  • PDF

조선 시대 서원 조경의 특징과 역사적 의미 연구 (An Analysis on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n Seowon from 16th to 19th Century and its Historic Significance)

  • 이영훈;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0
    • /
    • 2023
  • 조선 시대 서원(書院)은 성리학적 제례 기능인 제향(祭享)과 교육적 기능인 강학(講學)이 결합 되어 병존(竝存)하는 사립 교육기관이다. 본 연구는 서원의 제향과 강학 이외에 중요한 공간인 유식(遊息) 공간에 대해 집중하려고 한다. 서원의 조경은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의 서원 건립 운동 때부터 서원의 강학 기능과 연계되어 강조되어왔다. 이와 같은 조경관(造景觀)은 소수서원(紹修書院)을 시작으로 후에 건립되는 서원에 영향을 주어 서원의 중요한 특징으로 자리 잡았다. 본 연구는 15개소의 서원을 선정하여 그 유식 공간을 조사한 후 총체적이고 시대적인 분석을 하여 두 가지 경향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유식 공간은 초기 서원에는 풍부하게 나타나지만 17세기 초반부터 점차 감소하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서원의 시대적 발전상과 함께 해석된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서원의 강학의 기능이 제향의 기능에 비해 약화되면서 강학과 직접적인 연관을 지닌 유식 공간 또한 그 중요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현재 보존되어 있는 서원의 많은 조경 요소의 조성 주체가 배향(配享)자, 그 후손, 그리고 건립자인 사례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다. 배향자가 직접 조성한 조경이 계승되어 보존되거나 배향자가 생존 강조했던 조경적 특징을, 서원의 동선이나 경관으로써 담아내는 등, 강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조성 과정 또한 기록으로 잘 보존되어 내려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선현의 흔적을 중시하는 서원의 제향적 성격에 의해, 배향자의 흔적이 잘 드러나있는 조경 요소는 상대적으로 더 잘 보존되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원의 조경은 강학과 제향이 결합된 기관이라는 정체성을 직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서원의 중요한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Image Making As a Planning/Design Principle: A Case Study of Andong Municipal Museum Complex (AMMC)

  • Lee, Do Young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21-27
    • /
    • 2001
  • This study addressing the underlying strategies for Andong municipal museum complex development is in timely view that Andong has obtained a worldwide reputation as a treasury of traditional Korean Confucian culture. Thus far, there has been a tendency that various local museums are proposed to meet architectural aspirations architects and users commonly hold. Overall, though, the major role they play in making overall city image has not been considered in a systematic manner. Based on Lee's (2001) two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ummarized the utility of cognitive distance and cognitive map concepts, which are proposed by Kevin Lunch (1976) to evaluate city image, in planning Andong municipal museum complex (AMMC). Sample is stratified into city residents and outsiders, and also into the general public and design-related professionals to see if there is any group difference in constructing their mental image. Three major findings are obtained. First, familiarity, so-called the degree of knowing, is the function of the length of stay in a designated area. That is, the longer people stay in Andong, the more likely they are familiar with its overall environmental aspects. Second, mental proximity of Andong municipal museum complex relative to existing cultural landmarks is closely related to the degree of how people value those landmarks in terms of their significance. Dosan Seowon and Hahoe folk village are most highly valued, which means higher proximity. Third, functional diversity turned out to be the most important design dimension, while display mechanism are least valued. Cognitive simulations of this sort are meaningful in that projected composite image might be a rough first approximation of true public image.

  • PDF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에 관한 연구 - 제4곡 분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ototype Landscape of Dosangugok - Focused on Valley4 Booncheon -)

  • 박은희;장운기;윤민규;조병상;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5-105
    • /
    • 2014
  • 도산구곡(陶山九曲)은 경북 안동시 도산면에 소재한 도산구곡 중 제4곡 분천을 중심으로 원형경관을 분석하였다.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을 추정하기 위하여 "농암집(聾巖集)", 시 문(詩文) 등 고문헌을 조사한 뒤 경관요소를 추출하고 현지조사에서 확인 가능한 경관요소를 제시하였으며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분천마을의 배치를 추정하였다. 시문분석에서는 29개의 경관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현지조사 결과 이중 점암(자리바위), 농암(聾巖:귀먹바위), 사자석(獅子石: 사자바위), 상암(象巖: 코끼리바위), 대(臺), 분강 등 6개소가 현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회화 작품에서는 분강과 인접한 바위 위의 애일당과 그 뒤쪽 마을 안에 분천서원, 분강변의 귀먹바위, 점암 등 바위가 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측량은 분천마을의 농암종택 옛 터를 중심으로 농암 이현보의 17대 종손(이성원 박사)과 인터뷰 및 현지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도면화 하고 이 일대의 추정도를 작성하여 원형경관을 재현코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