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rmitory Works Processi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기숙사 업무 지원을 위한 모바일 웹 서비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Web Services for Supporting Dormitory Works)

  • 김성완;손병오;조양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389-1398
    • /
    • 2013
  • 모바일 기기의 보급 및 활용이 급증함에 따라 대학에서도 주요 학생 서비스들을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엄격한 학생 관리가 요구되는 기숙형 고등학교 및 대학 기숙사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관생들에게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웹 기반의 기숙사 업무 지원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첫째, 업무 관리 측면에서는 모바일 웹 및 전통적인 웹 기반의 관리 환경을 제공하여 점호, 외박 처리 등의 업무 처리 효율성을 높였다. 둘째, 관생 서비스 측면에서 모바일 웹 기반의 환경을 제공하여 웹에 접근 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항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수혜자의 만족도를 높였다. 제안 시스템은 250명 규모의 남자 대학생 기숙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운영되었으며 관생을 통한 설문 조사를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기숙사 관리 자동화를 위한 무선 관리 시스템 (Wireless Processing System for Automatic Management of Dormitory)

  • 박선호;신헌수;오정훈;이현관;엄기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B
    • /
    • pp.842-845
    • /
    • 2008
  • 본 논문은 RFID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숙사 사생의 인적 정보 관리, 출입관리, 식당 이용 관리 등의 기능을 가지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은 RFID 하드웨어 시스템과 미들웨어, 응용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RFID 하드웨어 시스템은 근접 거리에 적합한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미들웨어는 RFID 하드웨어 시스템의 입력 값을 RS-232c 통신방식으로 받아들여 응용프로그램을 전달하며, 응용프로그램은 RFID의 고유한 태그 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처리한다. 제안하는 기숙사 관리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여 대덕대학 생활관에 설치하여 실험한 결과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

기숙사 점호를 위한 모바일 웹 구현 (Implementation of Mobile Web for Dormitory Roll Call)

  • 김성완;한상수;윤재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1권1호
    • /
    • pp.323-32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기숙사 업무의 효율성과 사생들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바일 기반의 웹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전통적인 기숙사 업무 중 가장 전통적인 업무는 사생들의 점호와 관련된 출결 관리 업무이다. 기존의 수작업 관리 체제에서는 임원이 점호를 확인 후 엑셀 등의 자료 관리 프로그램에 자료를 입력하는 등 전산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특정 조건에 따른 조회 업무 처리 등이 불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숙사 업무 중 점호 업무를 모바일 웹 기반으로 개발하여 서비스함으로 사생들에게는 편리성을 제공하고 업무 처리에는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국내 거주용 컨테이너 건축물의 구축현황과 활성화 방안 (Building Process of Domestic Residential Container Architecture and Suggestions for Vitalization)

  • 길빛나;김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79-8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ays to vitalize residential container architecture by identifying the building process of domestic residential container architecture and analyzing various problems appeared in the process and status of construction related to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Conclusion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residential container architecture, the usage was planned mainly for accommodation. Secondly, For planning background of planning preparation stage, economic benefit for long-term residence individuality and diversity for long short term complex residence were the primary planning backgrounds. Thirdly, for floor planning of planning design stage, space planning for various purposes is necessary as creating inter-space, wide LDK space, and loft by using narrow and long container for the long-term residence. Lastly, For construction stage, ways to reduce personnel expenses are being required by reducing the term of works and simplifying the processing stage by running factory production and field construction in parallel. If reduction method of construction cost through energy saving and mass production system is considered in the future, it would be possible to expand the development to dormitory and community housing for university students who are pressured by housing c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