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ngchimi fermentatio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8초

고추냉이 첨가가 동치미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abi (Wasabia japonica Matsum)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 장명숙;박정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92-398
    • /
    • 2004
  • 고추냉이가 동치미의 발효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고추냉이의 최적 사용량을 찾아보고자 고추냉이는 무 무게에 대하여 0, 3, 5, 7, 9%를 첨가하여 동치미를 담그고 1$0^{\circ}C$에서 55일간 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동치미 발효 10일 이후부터 5%와 7%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pH가 높았으며 총산도는 낮았다. 특히 7% 처리구는 발효 말기까지 pH는 가장 높았고, 총산도는 낮게 유지하면서 적숙기의 pH와 총산을 오랫동안 유지하여 동치미의 발효를 지연시켜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비타민 C는 발효 10∼13일까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고,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다. 7% 처리구는 발효기간 동안 서서히 감소하여 발효 말기에는 9% 처리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도 발효 10∼13일까지 증가하다 그 이후 감소하였고, 고추냉이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았다. 특히, 7% 처리구가 발효기간 동안 서서히 감소하여 발효 말기에는 가장 높은 값을 유지하여 발효가 지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탁도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고,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담금 직후에는 조금 높았으나 발효 10일 이후부터는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탁도를 보였다 특히, 7% 처리구가 발효 말기까지도 탁도가 가장 낮아 맑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명도(L)는 발효 10일 이후부터는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높았고, 그 중 특히 7%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황색도(a), 적색도(b)와 총색차($\Delta$E)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발효 10일 이후부터는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값을 보였다. 고추냉이를 첨가한 처리구의 경우 동치미 발효 10일 이후부터 발효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7% 처리구가 동치미 저장성 향상에 바람직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동치미를 담글 때 고추냉이를 7% 정도 첨 가하는 것이 동치미의 품질과 저장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동치미 젖산균에 대한 대나무(이대)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amboo(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Extracts on Lactic Acid Bacteria Related to Dongchimi)

  • 김미정;권오진;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41-746
    • /
    • 1996
  • 대나무잎 추출물을 대상으로 이들을 여러 용매별로 분획하여 동치미 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동치미 담금액 중의 총 균수는 젖산 균수와 발효기간별로 대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고 발효 8일째 (equation omitted) a $10^{7}$ CFU/m1로 최고 수치를 나타내었다. 동치미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동정한 결과, BK-02, BK-07 및 BK-22 균주는 Leuconostoc species 로, BK-05와 BK-08 균주는 Lactobaciilus species로, BK-15 균주는 Streptococcus species로 각각 확인되었다. 대나무잎(이대)의 70% ethanol추출물은 BK-02, BK-07, BK-15및 BK-22 균주들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BK-22 균주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다. 각 분획별 항균활성은 BK-22 균주가 70% ethanol 분획에서, BK-7 균주가 diethyl ether 분획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 두 추출물이 대부분의 분리 균주들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Anti-adipogenic Effects of Dongchimi Nano Juice in Mouse 3T3-L1 Adipocytes

  • Kong, Chang-Suk;Lee, Sun-Hyun;Seo, Jung-Ok;Park, Kun-Young;Rhee, Sook-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285-288
    • /
    • 2006
  •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dongchimi nano juice prepared using a nano-filtering proces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leptin and glycerol levels and the expression of 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PPAR\gamma)$ gene as indicators of lipid accumulation or lipolysis. Red pepper powder, seeds of red pepper, garlic, and ginger were added in the preparation of dongchimi. Dongchimi was fermented to reach the optimal fermentation period, followed by nano-filtration in the range of $0.0005\sim0.1\;{\mu}m$. The lactic acid bacteria of dongchimi nano juice were removed completely by a nano-filtering process. Treatment of dongchimi nano juice induced glycerol release in the 3T3-L1 adipocytes and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level of $PPAR\gamm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dongchimi nano juice may enhance lipolysis and modulat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동치미 분말을 이용한 스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nack with Added Dongchimi Powder)

  • 최진주;박유리;정장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19-826
    • /
    • 2014
  • Consumer's demand for higher dietary fiber and lower fat in processed foods are increasing. This study developed a low fat and high dietary fiber snack using egg whites and dry fermented radish powder obtained from Dongchimi fermentation.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hardness, color, fat content and total dietary fiber, of the developed snack were conducted along with a hedonic test. As the amount of the fermented powder increased in the formulation, water content and snack hardness decreased. Up to 14.5% radish powder was added (or 9.54% dietary fiber; dry weight, w/w) to the formulation, and hedonic test found snack containing 4.8% (w/w)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s for overall acceptability.

고추냉이 첨가가 동치미의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sabi (Wasabia japonica Matsum) on the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 박정은;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57-1063
    • /
    • 2006
  • 고추냉이가 동치미의 맛과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고추냉이의 최적 사용량을 찾고자 고추냉이를 무 무게에 대하여 0, 3, 5, 7, 9%를 첨가하여 $10^{\circ}C$에서 55일간 발효시키면서 미생물학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동치미 발효가 진행될수록 그 값이 증가하여 최대값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발효기간 동안 대조구의 총균수가 가장 많았고,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가 적었다. 7% 처리구는 발효기간 동안 젖산균수가 가장 완만하게 감소하여 발효 말기까지 가장 높은 젖산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는 발효 8일에서 19일, 3% 처리구는 발효 8일에서 22일, 5% 처리구는 발효 8일에서 발효 35일, 7% 처리구는 발효 8일에서 40일, 9% 처리구는 발효 8일부터 25일까지 점수를 높게 받아 좋아하였다. 5%와 7% 처리구가 발효기간이 오래 된 후에도 점수가 높아 맛있는 시기가 오랫동안 유지되었고, 특히 7% 처리구의 점수가 모든 평가 항목에서 가장 높았다. 고추냉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치미에 고추냉이를 5%와 7% 첨가한 처리구가 미생물학적인 실험 결과에서 발효를 지연시키고 맛있는 시기를 연장시켜 주었으며,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점수가 높았다. 특히 7% 처리구는 발효 중기부터 말기까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동치미에 고추냉이를 7% 첨가하여 담글 경우 동치미의 맛과 저장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동치미 최적발효 및 저장을 위한 김치냉장고의 자동숙성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aging System for the Kimchi Refrigerator for Optimal Fermentation and Storage of Dongchimi)

  • 노정숙;김종현;이명주;김명희;송영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61-668
    • /
    • 2008
  • 동치미를 김치냉장고에서 발효 숙성시켰을 때 풍미가 우수한 동치미를 장기간 먹을 수 있는 저장 조건을 확립하고자 온도별(5, 10, 15, $20^{\circ}C$)로 동치미의 발효숙성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삼성사 김치 냉장고의 자동숙성모드($23^{\circ}C$에서 25시간 발효 후 $-1^{\circ}C$ 자동전환)에서 발효시킨 동치미와 비교하였다. 동치미의 관능이 가장 좋은 시기는 pH는 $3.9{\pm}0.1$, 그리고 산도는 $0.25{\pm}0.05%$로 나타났으며 $10^{\circ}C$$15^{\circ}C$에서 숙성시킨 동치미가 적숙기에 빨리 도달하면서도 관능평가 점수가 높아 초기 발효 온도대는 $10-15^{\circ}C$가 적합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반해 자동숙성모드에서 저장한 동치미는 30일 경까지 적숙기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김치냉장고 초기 발효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동치미를 $10^{\circ}C$$15^{\circ}C$에서 저장하여 산도가 0.1, 0.2 또는 0.3%에 도달하였을 때 $-1^{\circ}C$에 7일간 저장하면서 동치미의 발효 진행 및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10^{\circ}C$에서 발효시킨 동치미가 $15^{\circ}C$ 발효군보다 탄산미가 높고 군덕맛의 강도는 낮아 종합평가 점수가 높았다. $-1^{\circ}C$에 저장한 동치미의 산도는 1주일 동안 $0.08{\pm}0.02%$ 증가하여 저장온도 $-1^{\circ}C$에서도 미생물의 발육을 완전히 억제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동치미를 김치냉장고에서 자동으로 발효 저장할 때 동치미의 특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조건으로 $10^{\circ}C$에서 산도가 0.2%에 도달하였을 때 까지 발효시킨 후 $-2.5{\pm}0.5^{\circ}C$로 전환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동치미는 계절에 상관없이 탄산미와 살얼음맛을 느낄 수 있고 군덕내의 발생은 장기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포공영(민들레)의 동치미 발효에 의한 간세포 보호 및 면역증진 효과 (Effects of fermented Taraxacum mongolicum by Dongchimi on protection of liver cell and immune activity)

  • 최복수;김혜자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21
    • /
    • 2014
  • Objective : This study set out to combine the treatment efficacy of Taraxacum with Dongchimi fermentation and investigate Taraxacum's effects on protection of liver cell and controlling nitric oxide(NO) through experiments, thus checking whether it had values as a physiological active matter. The experimental materials include Taraxacum Dongchimi (TD) and Taraxacum fermented by Dongchimi (TDF). As for methodolog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D and TDF in components, protection effects for liver cells, anticancer effects on liver cells, and protection effects for brain cells in the aspects of liver function and immunity enhancement. Method : The experimental materials include Taraxacum Dongchimi (TD) and Taraxacum fermented by Dongchimi (TDF). As for methodology,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D and TDF in components, protection effects for liver cells, anti-cancer effects on liver cells, and protection effects for brain cells in the aspects of liver function and immunity enhancement. Results : As shown in the chromatogram results, each valid component content increased in Taraxacum fermented by Dongchimi (TDF) for each time section. Of them, the valid component content at 36.80 minutes was approximately 2.7 times higher in TDF at 21.8% than in Taraxacum Dongchimi (TD) at 8.28%. TDF generated more excellent protection effects against the toxicity that caused oxidative damage to the liver cell(HepG2) with t-BHP than TD. The survival rate was low in TD of $100{\mu}g/m{\ell}$ and $300{\mu}g/m{\ell}$ and increased to 23.3% in TDF of $100{\mu}g/m{\ell}$. The survival rate was the highest at $300{\mu}M$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f 68.1%(P<0.05). Both TD and TDF showed effects of controlling nitric oxide production according to concentration with TDF recording a higher rate of controlling nitric oxide production than T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the effects of controlling nitric oxide production at 200 ug/ml, 400 ug/ml in both groups. Especially the result TDF of $400{\mu}g/m{\ell}$ was thus similar to those of bute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ies is that Taraxacum fermented by Dongchimi (TDF) increased the valid component content compared with the simple mixture(TD). The findings clearly show that it is a material with the effects of improving immunity and liver cell protection. If fermentation methods are further developed to use it as a functional material, it will be subject to more opportunities of being used in other functional foods and make a contribution to integrated medicinal food development.

숙성온도와 염농도에 따른 동치미 국물의 성분변화 및 관능적 특징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juice)

  • 김지향;손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8-34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동치미를 제조하여 그 국물의 식품학적인 특성과 관능적인 특성을 살펴보았다. 담금변수는 첨가되는 염농도와 숙성온도로, 염농도 2%, 2.5%, 3%의 동치미를 제조하여 담금 초기부터 4$^{\circ}C$의 저온과 12$^{\circ}C$의 비교적 고온, 그리고 12$^{\circ}C$에서 12시간 숙성시킨 후 4$^{\circ}C$로 옮겨 각각 숙성시켰다. 색도와 총 비타민 C 함량, 유리당과 같은 이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고 총 12명에게 6가지 항목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치미 국물의 색도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탁하고, 적색과 갈색을 띄는 양상으로 변화하였는데 숙성중기 이후에 더 급격히 변하였다. 총비타민 C는 염농도보다는 숙성온도에 더 영향을 받는 경향을 보였는데 역시 12$^{\circ}C$에서 4$^{\circ}C$로 숙성온도를 옮긴 동치미 국물에서 가장 많은 비타민 C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최고치를 유지하는 기간도 길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가 분석되었는데 이들 유리당의 총 함량은 염농도에 따라서는 차이를 알 수 없었으나 숙성온도에 따라서는 숙성온도를 바꾸어 가며 숙성시킨 동치미 국물에서 가장 많은 양이 발견되었다. 관능검사는 숙성도, 짠맛, 탄산미, 불쾌취, 투명도, 전체적인 수응도를 평가하였는데 탄산미는 각각의 변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9가지 시료중에서 가장 수응도가 좋은 동치미 국물은 12$^{\circ}C$에서 4$^{\circ}C$로 숙성온도를 바꾸어 숙성시킨 염농도 2.5%, 3% 동치미이고 이 중 2.5% 염농도의 동치미액은 불쾌취도 적게 나는 것으로 평가되어 관능적인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자 첨가 동치미의 관능적 및 텍스쳐 특성 (Sensory and Textur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 장명숙;김나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62-471
    • /
    • 1997
  • 본 연구에서 유자를 0, 1, 2, 4, 6% 첨가하여 동치미를 담그고 1$0^{\circ}C$에서 발효숙성중의 관능적 및 텍스쳐 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결과 전반적으로 유자를 첨가한 동치미를 더 좋아하였는데, 2% 유자 처리구가 대부분의 관능적 특성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비휘발성 유기산은 발효숙성 초기에는 생무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mal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발효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lactic acid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유자를 첨가한 처리구들의 값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숙성 말기에는 모든 처리구중 0%와 6%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가용성 펙틴은 전반적으로 산가용성 펙틴이 가용성 펙틴함량 가운데 비교적 높은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발효숙성이 일어나면서 열수가용성 펙틴이 감소하고 염가용성 펙틴의 값이 증가하였다. 4. 무 조직의 경도는 담근 초기에는 유자를 첨가한 처리구들이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발효숙성 23일에는 1, 2, 4% 처리구가 대체로 높은 값을 보였고, 6%와 0% 처리구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발효숙성 말기인 36일에는 이 경향이 유지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담근 초기보다 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본 실험의 조건에서는 발효숙성 초기에는 유자를 첨가한 동치미들의 발효숙성이 첨가하지 않은 것 보다 더 빨리 일어났으나, 발효숙성 말기에는 오히려 유자를 1, 2, 4%로 첨가한 처리구의 저장성이 더 컸으며, 그 중 2% 첨가한 동치미의 조직이 발효숙성말기까지 더 단단하였고 관능적으로도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수준 보다 약 45% 정도 더 손실되어 thiamin 보유율 23%를 유지하였다. 냉동 저장 15일에서 30일까지 저장한 후 재가열 했을 때 thiamin 보유율은 냉장저장 7일후 재가열군과 같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예비가열 조리 후 저장 과정을 거쳐 재가열하여 너비아니를 섭취할 경우, 4일 이내로 소비할 경우는 냉장 저장을 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 경우는 냉동저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S, FOS나 말티톨로 대체된 스폰지 케익은 설탕 100% 사용한 케익과 비교하여 크게 나쁘지 않거나 휠씬 나은 특성을 보이므로 스폰지 케익 제조에 그들의 이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thione 같은 다른 항산화제의 절약 효과, CYP2El의 유도 저하를 통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중 어떤 것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고 더욱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우와 사료에 $\omega$3계 지방산 급원을 첨가, 동물에게 이행시켜 $\omega$3계 지방산 강화식품을 제조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전자는 통조림, 과자, 건강보조식품류에 다용되며 후자는 다양한 기능성 축산식품에 활용되고 있다. $\omega$3계 지방산 강화 축산식품에는 돼지고기, 우유, 치이즈, 계란, 분유, 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식품 개발에 더욱 박차가 가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법을 이용해 생산, 시판된 제품의 현황조사에 따르면 식품별로 함량표시가 없는 제품이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제고에 장애가 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관리면에서도 이러한 미비점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소비자 입장에서도 $\omega$3계 지방산이

  • PDF

Effect of Bacteriophages on Viability and Growth of Co-cultivated Weissella and Leuconostoc in Kimchi Fermentation

  • Kong, Se-Jin;Park, J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558-561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urvival and growth patterns of bacteriophage-sensitive Weissella and Leuconostoc strains involved in kimchi fermentation. Dongchimi kimchi was prepared, and Weissella and Leuconostoc were co-cultivated in the dongchimi broth. Weissella cibaria KCTC 3807 growth was accompanied by rapid lysis with an increase in the bacteriophage quantity. Leuconostoc citreum KCCM 12030 followed the same pattern. The bacteriophage-insensitive strains W. cibaria KCTC 3499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KCCM 11325 survived longer under low pH as their growth was not accompanied by bacteriophages. The bacteriophage lysate of W. cibaria KCTC 3807 accelerated and promoted the growth of Leuconostoc. Overall, our results show that bacteriophages might affect the viability and population dynamics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