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rK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5초

DNR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간호대학생과 비 보건계열대학생 비교를 중심으로) (Recognition and Attitudes on DNR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Comparison between Nursing and Non-Health Department College Students))

  • 김성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907-492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DNR(Do Not Resuscitate)과 관련된 인식 및 태도를 파악하여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DNR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일개 전문대학생 12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7월1일부터 7월31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방법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7.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x^2$-test로 분석하였다. DNR에 대한 간호대학생과 비 보건계열대학생 인식 및 태도를 비교한 결과, 인식에 있어서 DNR에 대한 필요성, DNR 찬성 이유, DNR 반대 이유, DNR 결정 주체자의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태도에서는 가족 DNR시행, 자기자신 DNR시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DNR정보제공에 대한 간호 대학생과 비 보건계열대학생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DNR에 대한 정보제공 필요성, DNR 정보제공 시기, DNR 정보 제공 결과, DNR 정보제공 지침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DNR 필요성 인식차이에서 종교, 헌혈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DNR 결정 주체자에 대한 인식차이에서 종교, 형제 자매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 DNR시행에 대한 태도에서 성별, 연령, 경제상태, 종교, 형제 자매수, 가족중 질환 및 사망자, 헌혈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자신 DNR시행에 대한 태도 차이에서 성별, 경제상태, 종교, 형제 자매수, 가족중 질환 및 사망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DNR에 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DNR(Do-Not-Resuscitate)에 대한 의사와 간호사의 경험 및 인지도 (Doctor's and Nurses'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DNR)

  • 한성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55-264
    • /
    • 2005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in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doctors and nurses with regard to DNR,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s. The period of collecting data was between July 15 and October 30, 2004, distributing 128 questionnaires to 128 participants, and a total of 110 questionnaires from 55 doctors and 55 nurses were collected (86%)among 70 different hospit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program to get real number and percentage, and were also analyzed with $X^2$-tes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Respondents who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DNR was 97.27%, the reasons of DNR necessity were 59.20% of 'impossibility of recovery in spite of lots of efforts,' and 35.20% of 'for the purpose of choosing a comfortable and dignified death,' and 97.2%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necessary to give explanation of DNR to serious case patients, terminal patients and their family. 2. Problems derived from DNR decisions were 44.44% of 'lack of treatment and nursing,' 21.11% of 'guilty conscience about failing to do best efforts,' and 71.57% of CPR implementation right after DNR decision. 3. Reasons of implementing CRP for patients with DNR decision were 50.94% of 'for the presence of family and relatives at the point of patient's death,' 20.76% of 'guardian's change of DNR decision,' and 16.98% of 'no communication for the consent after DNR decision.' 4. With regard to who was to make DNR decis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opinion between doctors' and nurses' group while the group of doctors chose 'by the consent of the family and the doctor in charge,' and the group of nurses chose 'patient's intension,' and with regard to Have you received DNR related education? and Will people who want DNR increase if there is explanation give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5. In the catholic institutions, respondents of 71.7%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take DNR depending upon the situation, and 73% said that they had performed DNR before. 6. In the institutions with over 500 beds, 91.92% of respondents said that there should be an establishment of guideline book as a written format to implement DN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DNR was implemented and executed broadly in clinical fields in the absence of necessary instructions and/or guideline, and that DNR order was placed to the group of doctors who got less opportunity for proper education than did that of nurses.

  • PDF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한 DNR 환자의 임종 (Intensive Care Nurses' Experiences of Death of Patients with DNR Orders)

  • 이지윤;이용미;장재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2호
    • /
    • pp.122-130
    • /
    • 2017
  •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가 DNR 환자 임종을 경험하면서 수용하는 개인의 주관적 경험의미와 그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다. 방법: 대상자는 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8명이었으며,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DNR 환자 임종경험은 '정답이 없는 죽음의 양면성, 죽음과 일의 경계에서 경험하는 딜레마', '가족이 안고 있는 죽음의 무게 감당하기', 상실로 얻은 삶에 대한 성찰',의 4가지 주제모음으로 나타났다. 결론: DNR에 대한 판단기준과 DNR 결정 절차에 대한 상세한 규정, DNR 환자 간호윤리 지침 및 교육이 필요하고, DNR 환자 가족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The Conflicts in Nurses Caring DNR (do-not-resuscitate) Patients)

  • 김현아;김귀분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7권2호
    • /
    • pp.139-14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conflicts in nurses caring DNR (do-not-resuscitate) pati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 nurses caring DNR patients. Data were gathered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Colaizzi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significant results can be categorized into 7 concept descriptions and 5 theme clusters by analyzing the interviews. The major theme clusters for the experiences of nurses were 'Pity about exceptional nursing actions', 'Pity about the unilateral decision making', 'Pity about halfhearted family love', 'Pity about unprepared circumstance for deathbed', and 'Pity about the absent guideline for DNR'.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will help nurses resolve conflicts in caring DNR patients and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DNR patients.

119구급대원의 심폐소생술 비 시행(DNR)과 관련된 윤리문제 인식 및 태도 (Recognition and Attitudes on Ethical Issues for DNR of 119 Rescue Party)

  • 유순규;정지연;신상열;최유임;최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931-394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에서 근무하는 119 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DNR(Do not resuscitate)과 관련된 이들의 윤리문제 인식 및 태도를 알아봄으로써, DNR 대상 환자 처치에 도움이 되는 객관적인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소방서에서 근무하는 구급대원 2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9년 5월 6일부터 6월 20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12.O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x^2$-test, 교차분석이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성별, 연령, 종교, 결혼상태, 임상근무경력, 현재 근무지 경력, 현재직위, 윤리 및 가치관에 관한 교육경험, DNR 교육 받은 곳, DNR 실행경험, DNR 상담요청에 따라 윤리적 태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DNR에 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DNR에 대한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생명윤리 교육에 따른 인식 비교) (Awareness and Ethical Attitudes about DNR of Emergency Department Students(Differences in Recognition According to Bioethics Education))

  • 정지연;신상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074-1082
    • /
    • 2014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DNR에 대한 인식과 윤리적 태도를 알아봄으로써, DNR에 대한 객관적인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 북도에 소재한 응급구조학과 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18.O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x^2$-test, 교차분석이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DNR과 관련된 윤리문제에 대한 태도 차이는 성별, 연령, 학년, 종교, 교육유무에 따라 윤리적 태도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는 지침서와 생명윤리에 따른 전문적인 DNR 교육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충분한 정보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Do-Not-Resuscitation(DNR)을 결정한 환자의 APACHE III 점수와 다발성 장기부전(MOF) 점수 비교 (The APACHE III Score and Multiple Organ Failure(MOF) Score in Patients who were Recipients of Decision-Making Do-Not-Resuscitate)

  • 김윤숙;유양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762-771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were recipients of decision-making DNR, to describe the situations of DNR, and to analyze the APACHE III and MOF scores. Metho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reviews of medical records of 51 patients and through interviews with families of patients who were decision-makers for DNR at C university K Hospital located in Seoul from April to September 2002. Results: The men's APACHE III and MOF scores were higher than the women's and the non cancer patients were higher than cancer patients. Some 80.4% of DNR orders was by communication, while 11.8% of consents were written. Each of APACHE III and MOF scores of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was higher than the patients in general ward at both points of admission and decision-making of DNR. APACHE III and MOF scores positively correlated statistically with each other.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PACHE III and MOF scores be useful for decision-making of DNR as a tool measuring severity.

  • PDF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죽음태도, 호스피스 인식 및 심폐소생술금지(DNR) 태도의 관계분석 (Attitude of Death, Perception on Hospice and Attitudes of DNR by Nursing Students in an Area)

  • 김영선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19-22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attitude on death, perception on hospice and attitude of DNR by nursing students.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214 nursing students in Busan. The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program.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June 1, 2013 to June 15, 2013. The mean scores of attitude on death, perception on hospice and attitude of DNR were 2.63, 3.30 and 3.83 point. The attitude of DNR of the nursing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grade and satisfaction of major. The attitude of DNR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ttitude on death and perception on hospice. Attitude on death and perception on hospice accounted for 16.8% of variance in attitude of DNR. Finding of this study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understanding for the attitude of DNR by considering attitude on death and perception on hospice.

전자의무기록 기반의 심폐소생술금지 동의서의 전자서식 개발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Document for DNR Informed Consent based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 박지경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99-111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developed an iPad-based animation for an electronic informed consent to directly help patients prepare an informed consent. The goal was to raise patients' understanding about the contents contained in a DNR informed consent in the current medical situation in which DNR informed consents are mostly written by a guardian. Methods : The development of a DNR electronic informed consent was done in 3 stages: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The analysis stage was done with a survey on the real status of preparing a DNR informed consent in a medical institution. The design stage was done with the contents in the DNR electronic informed consent through a primary and secondary Delphi survey. The development stage created a DNR electronic informed consent and evaluated it through a tertiary Delphi survey. Results : After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the convenience of use, the reflection of an expert opinion, and the suitability of the application, all had scores higher than 4 point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our proposed DNR electronic informed consent can help patients bette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a DNR informed consent.

말기암환자에서 심폐소생술금지 (Do-not-resuscitation in Terminal Cancer Patient)

  • 권정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3호
    • /
    • pp.179-187
    • /
    • 2015
  • 환자가 죽음에 임박했을 때 환자, 보호자, 의사 사이에서 심폐소생술에 대한 논의는 피할 수 없는 주제이다. 환자가 회복 불가능한 말기의 암환자인 경우에는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을 고려하여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음(Do-not-resuscitate, DNR)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DNR에 대한 선택은 환자와 보호자의 심폐소생술과 DNR의 의미 및 그 결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DNR에 대하여 환자, 보호자, 의료진이 상담을 할 때는 환자의 질환이 더 이상 치료가 불가능하며, 심폐소생술이 환자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아니라 죽음의 과정을 연장시키는 것이며, 심폐소생술 이후에 삶의 질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는 상황이라는 합의가 필요하다. 충분한 이해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한 DNR을 선택하도록 한다. 국내에서는 DNR 자체 보다는 이미 생명유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의 생명유지장치의 제거에 대한 법적인 문제가 2차례 발생하면서 사회적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이전보다 증가하였다. 환자와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DNR에 대한 인식과 의지가 80년대에 비해 2000년대 초반에 이르러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DNR의 결정에 있어 환자가 직접 관여를 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고 DNR 작성 시점과 사망 시점과의 시간 간격이 1주 이내로 환자가 관여를 하거나 임종시기의 의료를 결정하기에는 너무 짧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조기 완화의료의 확산을 통하여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에서는 DNR이라는 용어보다는 자연적인 죽음을 허용함(Allow-Natural-Death)이라는 용어로 바꾸어서 설명하는 것이 이해를 돕고 선택의 갈등을 줄인다는 보고를 하여 DNR 논의와 결정에 있어서 적절한 시기 이외에도 환자와 보호자에게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DNR은 말기암환자에서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며, 임상에서 DNR이 잘 시행되도록 임상적,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